• 제목/요약/키워드: 비판과학연구

검색결과 359건 처리시간 0.021초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있어서 심화.보충 수업의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In-Depth and Supplementary Class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 이은숙;최영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98-306
    • /
    • 2004
  •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8학년) 학생들과 중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과의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상황과 문제점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제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제7차 교육과정의 수준별 교육과정이 우리나라의 교육 실정에 맞지 않아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지만, 심화 보충 수업을 받아본 학생들의 반 수 이상이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 수준별 교육과정을 무조건 비판하기보다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하고 수정함으로써 활성화시킬 수 있어야 하겠다. 제7차 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자료와 학습환경을 요구하는 만큼 행정적, 재정적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 학생, 학부모가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여, 학교 교육과정이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여러 교육전문가들의 제7차 교육과정의 지속적인 관심과 분석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의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현장에서 잘 적용될 수 있는 교육과정이 되기를 기대한다.

과학교과에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세계의 동향에 준거하여 우리나라 현장 교사들의 인식 연구 (Study on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s of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Worldwide)

  • 고은정;정대홍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35-547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영국,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온타리오주, 싱가포르 및 우리나라의 과학교과 핵심역량에 대한 동향을 조사하여 과학교육을 통해 기를 수 있는 핵심역량이 무엇인가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또한, 현장 과학교사들이 핵심역량 기반의 과학수업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 특히 최근 핵심역량 기반의 과학교육과정을 접한 경기도 지역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것이었다. 외국의 역량 기반 과학과 교육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각종 문헌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현장 과학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위해, 135명의 초 중 고등학교 교사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외국의 역량기반 과학과 교육과정 탐색 결과, 각 국가들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범교과 역량과의 연계', '과학 내용과 과학 활동의 결합', '의사소통 능력중시', '역량별 성취 수준 제시' 등이 나타났다. 또한, 각국에서 강조하는 과학과 핵심역량으로는,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탐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이해력', '학문간 통합능력', '적용능력', '개인적 역량과 사회적 역량'이 있었다. 현장 과학교사들은 현재 핵심역량에 대한 인지정도 및 과학수업에서의 실행 정도는 보통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나, 가르쳐야 한다는 움직임과 가르칠 의사에는 긍정적인 인식을 보임으로써,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었다. 중요한 핵심역량으로는, 초 중 고 세 학교급 모두에서 '창의적 사고력', '문제 해결력', '탐구 능력'을 꼽았으며, 교육 요구도가 가장 높은 역량은 '창의적 사고력'이었다. 경기도 지역의 교사들이 다른 일반지역의 교사들보다 핵심역량에 대한 인지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핵심역량 기반의 과학 수업이 과학적 태도와 의사소통능력 형성에 큰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수업 운영 방법에 익숙하지 않은 점, 많은 수업 준비시간 등을 어려운 점으로 꼽았다.

중학교 과학 수업 학습 환경에 대한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s of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 이재봉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17-72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의 학습 환경에 10년 간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지난 3주기 간의 TIMSS 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 현황,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 학교 환경 측면으로 범주화해 분석하였다. 보다 세부적으로 과학 수업 현황의 경우는 교수 학습 활동, 평가, 숙제로 3가지 범주로,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은 교사 연수, 교사의 교류, 교사 평가의 3가지 범주로, 학교 환경은 학교 특성, 지원 환경의 2가지 범주로 구분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그동안의 과학 교육 관련 정책들이 어느 정도 성과를 보이고 있었다. 과학 수업에서는 다양한 과학 탐구 활동의 빈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교사 중심의 수업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실험이나 조사 활동을 직접 수행하는 활동이 감소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평가에 있어서도 사실이나 개념 지식의 이해와 관련된 문제의 비중이 높지만, 최근 과학적 탐구나 정당화를 요구하는 문제가 많이 증가하고 있었다. 숙제와 관련해서는 피드백을 주거나 토론을 위해 사용하는 비중은 낮고 숙제를 다 했는지 점검하거나 성적 산출을 위해 사용하는 비중이 높은 편이지만 점차 개선되고 있었다.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에서는 교사들은 다양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지만 여전히 전통적인 과학 내용과 교육 과정, 교수법에 대한 비중이 높은 편이었으며, 과학과 정보 기술을 통합하거나 비판적 사고력이나 탐구 능력 향상에 대한 연수 비중은 적었다. 학교 지원 환경과 관련해서는 교사의 직무 만족도는 증가하고 있으며 학교 교육과정 목표에 대한 교사의 이해나 실행 성과도 점차 증가하고 있었다. 자원과 관련해서도 과학 수업을 위한 자원의 부족이 과학 수업에서 많은 영향을 주지 않고 있으며, 일부 부족한 경우도 점차 개선되고 있었다.

탐구실험 수업에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적용: 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대한 효과 (Applications for Self-Regulating Learning Strategy to Quantitative Relationships in Chemical Reaction)

  • 김연철;박종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487-495
    • /
    • 2021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창의적 및 비판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는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이용하여, 고등학교 화학I '화학반응에서의 양적관계' 단원의 탐구실험 수업에 응용하였으며, 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대한 효과를 연구하였다. 학업성취도의 경우,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의 평균값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실험집단 학생들은 모둠별 토의, 메타인지 활동 등으로 부피비, 몰비, 입자수 비 및 계수 비, 등의 양적관계를 더 잘 이해하였다. 학업성취도는 메타인지와의 상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과학적 태도의 경우, 준비성, 호기심, 등에서 두 집단 간의 평균점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과학적 태도는 행동조절과의 상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메타인지와 과학적 태도에 대한 효과를 고려할 때, 자기조절학습 전략이 이 시대에 필요한 창의성 및 인성교육에 가장 적합한 교수-학습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테크놀로지 교육과정 구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onstruction Concerned Technology Curriculum Through the Using Educational Robot)

  • 오동규;홍명희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10-215
    • /
    • 2006
  • 과학을 어려워하는 어린이들에게 테크놀로지 교육은 학습자가 직접 로봇을 제작, 프로그래밍, 실행해 봄으로써 게임을 즐기듯 재미있게 참여하면서 창의적인 사고 능력과 문제 해결능력을 길러주는데 효과적이다. 본 논문은 현재 실시되고 있는 외국의 로봇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준에 맞는 테크놀로지 교육과정을 수준별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로 하여금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이끌어 냄으로써, 논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 능력 함양은 물론, 창의적이고 자기 주도적 문제해결능력 신장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 PDF

Reconsidering the Formal Accounts of Continuity in the Theory-Change from Newtonian to Einsteinian Physics

  • Yang, Kyoung-Eun
    • 논리연구
    • /
    • 제12권2호
    • /
    • pp.171-199
    • /
    • 2009
  • 본 논문은 형식적인 조건을 통하여 뉴턴 물리학에서 아인슈타인 물리학으로의 이론변화의 연속성을 이해하려는 과학이론에 대한 진보적 견해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상응 원리'이나 '공변 원리'와 같은 형식적인 측면이 이 이론변화에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지만, 이 형식적 속성은 뉴턴역학에서 아인슈타인의 특수 그리고 일반 상대성 이론으로의 발전에 대한 진화적 견해를 위한 본질적 요소를 제공하기에는 충분치 않다.

  • PDF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비판적 사고 성향 및 전공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go Resili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atisfaction in Major in Nursing students)

  • 김은희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720-729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fine Ego resili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atisfaction in major, and to relationships among above variables. Method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elected as 163 P city nursing student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6 to December 16, 2016. Date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SPSS WIN/PC 22.0.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go resilience depending on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admission motivations. Satisfaction in maj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relationship with friend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go resili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atisfaction in major in nursing students.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program for improving ego resilience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major in nursing students.

간호사 인력의 수요추계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1991~2014년간의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A Critical Review of Nurse Demand Forecasting Methods in Empirical Studies 1991~2014)

  • 정수용;김진현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81-87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nurse demand forecasting methods in empirical studies published during 1991~2014 and suggest ideas to improve the validity in nurse demand forecasting. Methods: Previous studies on nurse demand forecasting methodology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time series analysis, top-down approach of workforce requirement, bottom-up approach of workforce requirement, and labor market analysis. Major methodological properties of each group were summarized and compared. Results: Time series analysis and top-down approach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forecasting methodologies. Conclusion: To improve decision-making in nursing workforce planning, stakeholders should consider a variety of demand forecasting methods and appraise the validity of forecasting nurse demand.

현대 기술과 구원의 문제 (Contemporary Technology and Problem of Salvation)

  • 류의근
    • 철학연구
    • /
    • 제131권
    • /
    • pp.105-130
    • /
    • 2014
  • 우리는 21세기 첨단 기술 공학을 맞이하여 기술에 대한 철학적 반성을 새롭게 하고 싶다. 기존의 기술 이론 또는 기술 철학의 논의들은 현대 과학 기술의 첨예한 발전 상황에 대해서 적극적인 대응과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느껴지지 않는다. 이 점에서 전통적 기술론들은 새로운 담론을 제시해야 하는 시점에 접어들고 있지 않을까 사료된다. 이 논문은 현대의 고전적 기술론들이 21세기에 새롭게 발전한 기술 공학들이 함유하는 철학적 문제성이나 실질적 영향력과 파급력을 감당하기에는 힘이 부치지 않는가 하는 판단에서 하이데거와 엘륄을 현대의 고전적 기술론의 주요 인물로 설정하고 그들의 논의의 통찰과 효용과 한계와 약점 등을 비판적으로 살펴보며 평가를 통해 대안적 모색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다중 신경망으로부터 해석 중심의 적응적 지식 증류 (Explanation-focused Adaptive Multi-teacher Knowledge Distillation)

  • 이자윤;조인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92-595
    • /
    • 2024
  • 엄청난 성능에도 불구하고, 심층 신경망은 예측결과에 대한 설명이 없는 블랙 박스로 작동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불투명한 표현은 신뢰성을 제한하고 모델의 대한 과학적 이해를 방해한다. 본 연구는 여러 개의 교사 신경망으로부터 설명 중심의 학생 신경망으로 지식 증류를 통해 해석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인간이 정의한 개념 활성화 벡터 (CAV)를 통해 교사 모델의 개념 민감도를 방향성 도함수를 사용하여 계량화한다. 목표 개념에 대한 민감도 점수에 비례하여 교사 지식 융합을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증류된 학생 모델은 양호한 성능을 달성하면서 네트워크 논리를 해석으로 집중시킨다. 실험 결과, ResNet50, DenseNet201 및 EfficientNetV2-S 앙상블을 7 배 작은 아키텍처로 압축하여 정확도가 6% 향상되었다. 이 방법은 모델 용량, 예측 능력 및 해석 가능성 사이의 트레이드오프를 조화하고자 한다. 이는 모바일 플랫폼부터 안정성이 중요한 도메인에 걸쳐 믿을 수 있는 AI 의 미래를 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