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탈면 유지관리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초

상시계측시스템 모니터링을 위한 CCTV 활용사례 및 개선방안 연구 (Case Study on the Use of CCTV for Realtime Monitoring and Recommended Improvements)

  • 배상우;이종현;김승현;구호본
    • 지질공학
    • /
    • 제22권4호
    • /
    • pp.417-425
    • /
    • 2012
  • 최근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룩해 온 CCTV는 범죄, 보안시스템 기능 이외에도 시설물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토목공학 분야에서도 활용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도로비탈면유지관리시스템(Cut Slope Management System, 이하 CSMS)"을 통하여 도로비탈면의 붕괴 이전에 안정성을 확보하는 연구를 수행 중에 있으며, 대책공법 적용에 한계가 있는 위험비탈면에 대해서는 상시계측시스템을 구축하여 관리 중에 있다. 이들 현장 변위 발생 상황의 진위를 파악하기 위해 119개소 현장에 대해서 CCTV를 적용하여 위험활동을 감시하고 있다. 특히 변위가 인지되었던 3개소 현장에 대한 CCTV촬영영상과 변위 양상의 비교를 통하여 후속 대응을 수행했던 사례를 소개하였다. CCTV 운영에 있어 통신전송 문제, 장애 발생 문제, 야간 운영 한계, 정량적 분석의 한계성 등의 문제점 고찰을 통하여 CCTV 운영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 방향을 살펴 보았다.

지리산(智異山) 국립공원(國立公園) 도로(道路)비탈면의 식생(植生)과 경관분석(景觀分析)에 관한 연구(硏究)(II) -경관분석(景觀分析)- (A Study on the Analysis of Vegetation, Spatial Image and Visual Quality of Roadside Slopes in Chi-Ri Mt. National Park(II) -Landscape Analysis-)

  • 서병수;김세천;박종민;이창헌;이규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3호
    • /
    • pp.265-278
    • /
    • 1991
  • 지리산국립공원(智異山國立公園)의 도로(道路) 비탈면을 대상(對象)으로 물리적(物理的) 환경(環境)이 지닌 시각적(視覺的) 질(質)을 계량적(計量的) 접근방법(接近方法)으로 분석하여 합리적인 계획(計劃), 설계(設計) 및 보전관리(保全管理)에 필요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目的)으로, 도로(道路) 비탈면 구성요소의 물리량을 Mesh 분석법(分析法)에 의하여 측정(測定)하였다 또한 심리량 분석(分析)을 위해 S.D Scale을 측정하고 인지분석 Algorithm을 통하여 물리적 환경(環境)의 공간(空間) 이미지 구조(構造)를 밝혔으며, 시각적(視覺的) 선호도(選好度)를 측정하여 결정인자(決定因子) 추출(抽出)과 각(各) 인자(因子) 상호간(相互間) 중요성(重要性)을 규명하였다. Mesh 분석(分析)에 의한 시각량조사(視覺量調査) 결과(結果), 각(各) 지점 공(共)히 이지(裡地)와 암석 비탈면, seed spray 등에 의한 지피식생지(池被植生地), 인공식생지등(人工植生地等)이 상대적으로 높은 측정치를 보였다. 국립공원(國立公園) 도로비탈면의 공간 이미지를 함축하는 변인(變因)은 종합평가(綜合評價) 차원(次元), 공간적(空間的) 차원(次元), 호감성(好感性) 차원(次元), 물리적(物理的) 차원(次元), 개방적(開放的) 차원(次元) 및 품격(品格) 차원(次元) 등 6개 인자군(因子群)으로 분석되었으며, 공간적 차원, 물리적 차원 및 개방성 차원(次元)의 인자가 공간 이미지를 대표하는 인자군으로 나타났다. 비탈면 경관(景觀)에 대한 시각적(視覺的) 선호도(選好度)를 결정(決定)짓는 주요(主要) 설명변수는 비탈면내 구조물의 유지관리정도와 비탈면내의 주변 경관과의 어울림과 조화(調和)로움, 비탈면내 인공식생(人工植生)과 구조물(構造物) 등(等)으로 시각적(視覺的) 선호도(選好度) 결정(決定)의 주요(主要) 설명변수로 나타났다.

  • PDF

AHP 분석을 활용한 비탈면 보강공 성능평가를 위한 중요항목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Factors for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Slope Reinforcement Using AHP)

  • 이종현;권오일;김진환;김우석;최정해
    • 지질공학
    • /
    • 제29권4호
    • /
    • pp.531-539
    • /
    • 2019
  • 주요 시설물 주변에 분포하고 있는 비탈면은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다양한 보강 공법을 적용하고 있으며 적용된 보강 공법은 비탈면의 안전을 확보하여 시설물을 보호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보강 공법은 비탈면에 적용될 당시에는 안전성을 완벽하게 보장하고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전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태로 변화되기도 한다. 특히 시간에 따른 보강 공법의 노후화는 비탈면의 안정성을 급격히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따라서 보강 공법의 유지/관리를 위해 필요한 항목들을정하고 이를 현장 조사자가 확인함으로써 비탈면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항목을 정하고 항목들 가운데 중요도를 선정하기 위해서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고 이들의 자료를 바탕으로 계층화 분석을 활용하여 항목들간의 중요도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항목들은 현장 조사자들의 조사 항목으로 활용되고 이를 바탕으로 비탈면에 적용된 보강 공법의 유지/관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절리암반비탈면의 상태평가항목에 대한 혼합가중치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to Calculate Mixed Weights of the Condition Evaluation of Rock Slope)

  • 변요셉;최정찬;성주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37-44
    • /
    • 2018
  • 본 연구는 시특법에 따른 비탈면 상태평가에 활용되는 절리암면비탈면의 가중치에 대한 수정안을 제안했다. 일반적으로 평가 항목수정 및 각 항목별 가중치 부여와 항목별 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는 Delphi 방법 및 AHP 방법 등 전문가의 경험에 의존하는 의사결정기법으로 결정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합리적인 결과를 얻기 위하여 기존의 주관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비탈면의 점검 및 진단 데이터를 활용한 통계적 기법을 함께 활용하여 객관적인 가중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절리암반 비탈면의 점검 데이터를 활용하여 엔트로피의 개념을 적용한 객관적인 가중치를 산정하고, AHP 기법에 의한 주관적 가중치는 전문가의 의견을 토대로 산정하였다. 그리고 두 가지를 결합하여 수정가중치가 제안하였으며, 그 결과, 도출된 절리암반 비탈면의 수정 가중치는 인위적 요인과 손상상태 항목들이 높은 가중치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정된 평가 기준을 향후 비탈면 세부지침 개정 등에 반영되면 보다 합리적인 절리암반 비탈면의 상태안정성 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비탈면 점검 효율화를 위한 휴대형 복합센서 개발 (Development of Portable Multi-function Sensor (Mini CPT Cone + VWC Senso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lope Inspection)

  • 김종우;조윤범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49-57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비탈면의 안전점검에서 지반정수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휴대형 시추기에 적용이 가능한 콘 형태의 복합센서를 개발하였으며, 지반정보를 예측할 수 있는 휴대용 지반정보 계측기 (Portable Tester)를 개발하였다. 휴대가 간편한 비탈면 안전점검용 센서개발을 위해서, 비탈면취약도 평가에 필요한 지층 및 지반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들을 포함하며, 비탈면안전성 평가에 필요한 조사데이터(토층심도, 강도정수 등)를 자동 추출하고, 상부 자연사면 토사붕괴 징후파악을 위해 깊이별 함수비 측정도 가능하도록 복합센서로 설계하였다. 지반정보 복합센서의 선단을 구성하는 소형 전자식 콘 프로브는 CPT 및 DCPT를 수행하기 위해 개발하였으며, 직경 30mm 콘과 길이 250mm Friction Sleeve를 기본 스펙으로 콘관입력과 마찰력을 손실 없이 로드셀로 전달하기 위한 로드와 어댑터, 로드셀 모듈로 설계하였다. 복합센서의 로드셀 부분를 응용하여, 토양경도계 형태로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CPT처럼 표토층의 콘관입력을 측정하면서 동시에 슬리브 마찰력 측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좀 더 구체적인 지반정보를 예측할 수 있는 휴대용 지반정보 계측기 (Portable Tester)도 개발하였다. 개발한 센서 시스템은 실내 시험을 통해서 CPT 시험과 휴대용 지반정보 계측기 시험의 상관성을 확인하였으며, 현장시험을 통해서 CPT 콘저항값과 표준관입시험의 N치를 추정하여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임도시설에 관한 관리자 집단 간의 의식성향 분석 (Preference Analysis between Two Administrator Groups on Forest Road Facilities)

  • 지병윤;권형근;황진성;정도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4호
    • /
    • pp.449-455
    • /
    • 2016
  • 본 연구는 임도사업의 계획과 유지관리 단계에서 임도 관리자 집단의 의식성향을 파악하여 체계적인 임도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임도의 계획과 유지관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임도 노선의 계획시 고려사항으로는 육림작업, 산지재해 예방, 목재수확 등의 항목에서 높은 중요도를 보였으며, 간선임도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임도 유지관리 작업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인력 및 예산부족으로 인한 어려움(92.9%)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임도의 개설로 우려되는 주요 피해형태로는 사면붕괴로 인한 인명피해, 사유지 통행에 대한 분쟁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실행하고 있는 임도 유지 관리작업의 주요 내용으로는 배수시설의 정비와 노면정비가 높게 나타났다. 임도시설에 대한 주요 보완사항으로는 배수시설, 비탈면 녹화와 안정에 대한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건설공사 비탈면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 Management spectrum for the Cut Slope)

  • 신관영;김용수;장범수;신창건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81-787
    • /
    • 2005
  • Recently, disaster that is earthquake, sever rainstorm and the tidal wave were increased by abnormal weather. These influence which is the slope stability of the completed slope as well as under construction slope is affected by disaster. But the management standard for the construction slope is incomplete. Also, the standard connected with construction slope is not integrated with the important public paper organic enemy and it is duplicated and the standards which conflict are being scattered. In this research which it sees consequently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construction slope the maintenance civil official relation law and standard investigation it leads and the problem point and a improvement program of management criterion and to sleep the construction slope which is suitable in domestic actuality it prepares and propose.

  • PDF

건설공사 비탈면 유지관리를 위한 보강공법별 점검항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pection item classified by reinforcement method for the construction slope maintenance)

  • 김용수;장범수;신관영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59-764
    • /
    • 2005
  • With the tunnel to case of the construction slope it executes the periodic maintenance due to an objectivity standard. But, the standard connected with construction slope is not integrated with the important public paper organic enemy and it is duplicated and the standards which conflict are being scattered. Also, it is referred to some specifications simply and the feature which is diffuse appears. Therefore, there is a necessity which it investigates the problem point of the maintenance civil official and it improves rationally and it takes a triangular position a confusedly be standard system. In this research which it sees accomplished the fundamental research against the inspection item classified by reinforcement method for the construction slope maintenance.

  • PDF

도로(道路)비탈면의 경관안정(景觀安定)을 위한 기본(基本)모델 설정(設定)에 관한 연구(硏究) (Fundamental Model Development for Rehabilitation of the Roadside Slopes)

  • 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69-79
    • /
    • 1983
  • 도로(道路)비탈면 처리효과(處理效果)를 증진확보(增進確保)하기 위하여 도로(道路)비탈면의 안정(安定)과 경관조성(景觀造成)에 관(關)한 기본(基本)모델을 설정(設定)하고자 수도권지역(首都圈地域)에 위치(位置)한 100개소(個所)의 도로(道路)비탈면 시공지(施工地)에 대(對)한 조사(調査)를 수행(遂行)한 결과(結果), 일반적(一般的)으로 도로(道路)비탈면 본래의 물리적(物理的) 특성(特性)에 적합(適合)한 시공처리(施工處理)가 실행(實行)되지 못하여 훼손(毁損)비탈면의 경관안정(景觀安定) 목표(目標)가 달성(達成)되지 못하고, 또 유지관리기술(維持管理技術)의 미비(未備) 등으로 조기(早期)에 식생(植生)의 쇠퇴고사현상(衰退枯死現象) 및 경관재손상현상(景觀再損傷現象) 등이 많이 발생(發生)되고 있다. 이 연구(硏究)의 수행(遂行) 결과(結果)로 설정(設定)된 도로(道路)비탈면 처리(處理)에 관(關)한 6가지 기본(基本)모델은 삼림경관조화형(森林景觀調和型), 도로경관조성형(道路景觀造成型), 훼손지녹화형(毁損地綠化型), 암벽면녹화형(岩壁面綠化型), 절대안정형(絶對安定型) 그리고 환경식수대조성형(環境植樹帶造成型) 등이다. 이 기본(基本)모델은 장차 우리나라에서 도로(道路)비탈면 처리(處理)에 관(關)한 기본(基本)모델 제정(制定)에 기초자료(基礎資料)가 될 것이다.

  • PDF

토석채취지의 복구 실태 분석 II (Analysis of the Restoration Actual Conditions on the Quarries II)

  • 박재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558-566
    • /
    • 2012
  • 이 연구는 채석장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토석채취 후 합리적이고도 완벽한 복구를 실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국의 18개 토석채취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어촌정비사업에 따른 토석 채취 후 산지복구지는 대부분 조경적 녹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복구공사 후 유지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식재한 나무가 고사하거나 비탈면녹화가 제대로 되지 않아 여름철에는 강우에 의한 표층토양의 유실 및 붕괴로 이어지고, 복구녹화공사를 실시한 비탈면은 황폐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자연친화적이고 완벽한 복구녹화공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비탈면녹화를 실시하기 전에 현장의 토질특성, 지질특성 등에 대해서 조사하고 그곳에 적합한 복구공법에 대하여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아울러 계획된 복구공법의 적용에 있어서도 복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공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조사 결과 토석채취지의 경우 토질이 토사질 또는 리핑암, 풍화토가 대부분으로 이러한 지역은 복구녹화가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이 되므로 여기에 적용하는 공법도 가능하면 간단하면서도 복구녹화가 충분히 될 수 있는 공법의 선정이 중요하다. 아울러 복구녹화계획 및 검토시에는 반드시 산지복구를 전공으로 하는 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함으로써 그 지역에 가장 적합한 복구녹화공법의 선정 및 완벽한 복구녹화가 가능하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