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정형 유형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4초

건물 형상의 비성형성과 구조시스템의 상관관계 분석 (Interrelationship between Shape Irregularity and Structural System of Buildings)

  • 이재철;김현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251-25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세계 각지의 초고층 건축물 사례 55개를 대상으로 초고층 형상의 비정형성을 대표적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해당 유형에 적용된 구조시스템을 조사함으로써 건축물의 비정형 형상과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적용된 구조시스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대표적인 비정형 형상을 5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구조시스템의 적용빈도를 조사한 결과, 적용 사례가 많은 Extrusions와 Tapers 형태에서는 적용된 구조시스템과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적용 사례가 많지 않은 Twisters, Tilted, Free Form 형태에서는 구조시스템의 상대적 적용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정형 형상에 적합한 구조시스템 대안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구조시스템 생성을 위해 형상으로부터 추출해내야 할 초기 파라미터를 선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비정형 건축곡면 패널분할과 최적화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the Panelizing for Architectural Freeform Surfaces and the Optimization of Panelizing)

  • 유정원;문준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616-4626
    • /
    • 2013
  •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비정형 건축은 그 실현가능성을 높여 왔으며, 비정형 형태로 계획된 복잡한 형태의 건축 외피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패널분할과 최적화 기법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비정형 건축곡면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한 선행과제로서 비정형 곡면과 건축곡면 패널분할 기법을 통합적 관점에서 재분류하고 명확한 개념정립을 제시하였으며, 패널분할 최적화 기법의 유형 분류와 유형별 특징 및 사례를 연구하였다.

기업의 빅데이터 적용방안 연구 -A사, Y사 빅데이터 시스템 적용 사례-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s of Big Data at a Corporation -Cases of A and Y corporation Big Data System Projects-)

  • 이재성;홍성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03-112
    • /
    • 2014
  • 지난 수년간 스마트 폰 같은 스마트 기기의 빠른 확산과 함께 인터넷과 SNS 등 소셜 미디어가 급성장함에 따라 개인 정보와 소비패턴,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된 가치 있는 데이터가 매 순간 엄청난 양으로 생성되고 있으며, M2M (Machine to Machine)과 IoT (Internet of Things) 등이 활성화되면서 IT 및 생산인프라 자체도 다량의 데이터를 직접 생성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의 대표적 유형인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의 적용사례를 고찰함으로써 데이터 유형에 따른적용 영역별 파급효과를 알아본다. 또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비정형 빅데이터는 물론 정형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로 기업에 보다 나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대한연구 결과로 빅데이터의 기업내 활동이 나아갈 수 있는 지향점으로써 내 외부에서 발생하는 정형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를 적절히 결합함으로써 분석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소집단 문제해결 학습에서 수학 문제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의 패턴 분석 (An Analysis of the Communica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Mathematical Problem Types in Small Group)

  • 최지영;이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247-265
    • /
    • 2009
  • 수학 교실에서 학생들은 교사나 동료 학생과의 의사소통을 통하여 수학적 지식을 구성하고, 서로의 지식을 타인과 교환하게 된다. 그런데 수학 학습의 주요 과정이 문제해결 활동임을 고려할 때, 학교 수학에서 다루어지는 어떤 문제 유형이 수학적 의사소통을 촉진시키는가를 알아보는 것은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학 문제유형을 정형-개념형 문제, 정형-절차형 문제, 비정형 문제, 실생활 문제로 구분하여 소집단 문제해결 과정에서 구성원들의 의사소통 패턴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로 초등학교 4학년 8명의 학생을 선정하여 2개의 소집단으로 구성하였고, 2개의 소집단이 각각 5시간에 걸쳐 4가지 문제 유형으로 구성된 5세트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소집단 문제해결 과정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전사한 자료와 관찰일지, 문서자료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비정형 문제와 같은 문제해결 방법이 다양한 문제일수록 소집단 구성원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참여도가 높았다. 또한 비정형 문제에서 다양한 풀이 방법에 대한 논의 및 새로운 풀이 전략에 대한 아이디어 공유와 같은 다수 참여의 의사소통 패턴이 나타났고, 수용적 합의, 논쟁적 합의, 정교화된 합의 등 다양한 합의 패턴이 나타났다.

  • PDF

비정형 건축물의 형태 표현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ormal Expression of Atypical Buildings)

  • 강박;홍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795-814
    • /
    • 2021
  • 최근 몇 년간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기존의 건축양식과 디지털 도구가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건축물을 구현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러한 건축물은 기존의 정형 건축물과는 확연히 다른 형태를 보이고 있다. 디자이너는 비정형 건축물을 구축할 때 다양한 방법이나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비정형 건축 형태와 보다 자유로운 건축 형식을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비정형 건축형태 특성 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첫째, 본문은 비정형 건축물의 외부형태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비정형 외부 형태 요소를 고찰하고 통합하여 재구성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비정형 형태의 유형을 분류하는 동시에 비정형 건축형태의 디지털 프로세스 디자인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셋째, 본문은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비정형 건축물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그 형태 표현의 특징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관련 분야의 연구를 위한 사례 근거를 제공함과 동시에 비정형 건축물의 특징과 관련된 분포 법칙과 존재 가치를 모색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기능적 용도의 분포와 결합하여 분석을 전개하였으며, 비정형 형태가 용도별로 건축물에 적용되고, 이러한 형태의 적용 추이를 파악하여 비정형 건축물의 형태에 대한 이해를 강화하고자 한 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비정형근로 유형의 선택에 대한 이론적 모형 (A Theoretical Model for the Choice of Alternative Work Arrangements)

  • 이종훈
    • 노동경제논집
    • /
    • 제29권1호
    • /
    • pp.75-98
    • /
    • 2006
  • 본 논문은 다양한 비정형 근로계약 선택의 결정요인이 무엇인가를 거래비용 이론에 의거하여 제시하고 있다. 풀타임 상용고의 정형근로를 조직내거래, 비정형근로를 시장거래 내지 시장거래와 조직내거래 중간의 다양한 영역이라고 볼 때, 시장거래비용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정형큰로 및 비정형근로의 유형이 선택될 것이다. 스킬의 기업특수성, 스킬의 수준, 직무수행의 범위 및 불확실성, 근로계약 기간 등 4가지 조건에 따라 해당 근로계약의 거래비용이 결정되며, 이에 따라 적합한 근로계약이 선택되는 과정으로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결국 직종의 성격에 따라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유형이 결정되는 현상, 즉 직종간 분리된 근로계약의 선택으로 귀결되며, 이는 비정규고용의 업종 및 기간 제한, 임금차별 규제 등의 법적 보호장치가 실제적으로는 큰 효과가 없을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 PDF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해외건설공사 입찰정보 분석 - 해외건설공사의 입찰자 질의(Bidder Inquiry) 정보를 대상으로 - (Construction Bid Data Analysis for Overseas Projects Based on Text Mining - Focusing on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Bidder Inquiry)

  • 이지희;이준성;손정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89-96
    • /
    • 2016
  • 건설 프로젝트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데이터는 텍스트 기반의 비정형 데이터이다. 계약서, 시방서, RFi 등 수많은 텍스트 문서들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마이닝과 같은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 분석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거에 수행되었던 해외건설공사 프로젝트의 입찰 관련 문서들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빈출단어의 유형, 단어들 간의 연관관계, 문서들의 토픽 유형들에 대한 파악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해외건설공사 입찰 정보 분석을 통해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관련 분야 연구를 확장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뉴스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가뭄지수 재생산 (Reproduction of drought index using news big data analysis)

  • 정진홍;박동혁;안재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386-386
    • /
    • 2020
  • 가뭄은 강수, 증발산, 대기온도, 토양수분 등 다양한 수문기상학적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되기 때문에 가뭄의 정확한 사상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또한 어떤 요인을 중심으로 고려하느냐에 따라 가뭄은 다양한 시각으로 정의되고 있다. 일정기간 평균 강수량보다 적은 강수로 인해 건조한 날이 지속되는 것, 즉 기상요소를 중심으로 가뭄을 정의하는 것을 기상학적 가뭄이라 하며,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중심으로 고려하는 것을 농업적 가뭄이라 한다. 또한 하천유량, 댐 저수량 등 전반적인 수자원 공급원의 부족을 수문학적 가뭄이라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하게 나타는 가뭄의 발생특성을 정량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다양한 가뭄지수가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가뭄지수들은 공통적으로 정형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정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비정형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수(Index)를 산정하거나, 재난관리에 적용하는 등 비정형 데이터의 활용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 데이터(뉴스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하고 기존의 가뭄지수들과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 한 뒤, 지수결합을 통해 가뭄사상 분석의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범위는 2014~2015 충남서북부가뭄 지역 중 가장 큰 피해를 입었던 보령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시간적범위는 2013~2016년으로 설정하였다. 비정형 데이터의 구축은 크롤링(Crawling)을 활용하여 네이버 뉴스의 기사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의 신뢰성을 위해 URL이 동일한 중복기사 및 '보령', '가뭄' 단어가 없는 기사는 제거하였다. 구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월별 빈도를 산출하고 표준점수(Z-score)로 환산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가뭄지수가 어떤 가뭄의 유형(기상학적, 농업적, 수문학적)을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기존의 가뭄지수들과 상관성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가뭄지수와 결합을 통해 새로운 가뭄 사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가뭄사상 분석은 향후 가뭄만이 아니라 다양한 재난분야에서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의 기초로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조선왕릉의 신로(神路)·어로(御路) 형식에 관한 연구 - 비정형(非定型) 신로·어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ype of Sinro·Eoro in Joseon Royal Tombs - Focused on the Type of Irregular Sinro·Eoro -)

  • 김규연;정기호;최종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8-49
    • /
    • 2011
  • 본 연구는 조선왕릉의 입지 및 공간구성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조선왕릉 내 신로 어로 형식의 구명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왕릉 신로 어로의 형식은 진입로-홍살문-정자각의 관계에 의하여 정형(定型)과 비정형 (非定型)으로, 비정형은 다시 굴절형(屈折型)과 분절형(分節型)으로 구분된다. 또한 선로 어로의 길이와 비정형 신로 어로의 유무에 따라 신로 어로의 조성 유형을 전기, 과도기, 후기로 구분하였으며, 전기에 정형의 경우 건원릉의 신로 어로가 최소 길이 기준으로 작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비정형 신로 어로가 나타나는 정릉(貞陵, 신덕왕후) 현릉(顯陵) 목릉(穆陵) 장릉(莊陵, 단종) 영릉(寧陵, 효종)의 경우, 지형 및 수계가 형식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로 파악되었다. 즉, 조선왕릉의 신로 어로는 건원릉 신로 어로의 길이를 기본적 준거로 해당 조선왕릉의 지형 및 수계에 부합하는 형태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