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응급

Search Result 27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국가재난의료매뉴얼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Disaster Medical Manual in Korea)

  • 왕순주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39-45
    • /
    • 2016
  • 세월호 참사 등 각종 재난에 있어 재난의료대응체계의 문제점이 노출되었는데, 이 중 현장응급의료지원팀의 현장대응 불가, 현장에서의 소방, 의료진의 협업 곤란, 현장의료지원 및 부상자의 수용, 진료를 위한 체계적이고 세부적인 매뉴얼 미비가 중요한 사항이었다. 따라서 2014년 5월부터 중앙응급의료센터 내 재난응급의료상황실 설치 운용에 따른 기존의 비공식적으로 흩어져 있던 재난의료대응 매뉴얼 수집, 수정 및 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상황이 되었으며, 재난응급의료상황실을 중심으로 한 재난 초기 의료대응체계를 확립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재난의료대응 개선 방안은 신속대응반 중심의 빠른 출동 체계 수립이나, 실제 적용할 체계가 미흡하여, 2014년 2월 응급의료법 개정 시행규칙에 따라 국가와 지자체에 재난대응 매뉴얼을 개발하고 기본안을 마련하기로 하여, 본 연구진은 학술적, 실무적으로 적절한 국가재난의료 매뉴얼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으며, 이를 훈련 및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적용하였고 그 과정을 정리 분석하였다.

일반인 응급 상황 경험자의 심폐소생술 교육 및 수행에 대한 특성 고찰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 Performance by Bystanders in an Emergency)

  • 강경희;김윤미;이희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78-386
    • /
    • 2010
  • 최근 응급상황에서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수행 능력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응급 상황을 경험한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과 심폐소생술 수행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료는 2008년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 2000명 대상의 성인을 조사한 것으로 응급상황을 경험한 최종 169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 하였다. 응급 상황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고 수행한 사람은 13.6%로 나타났고, 교육을 받았으나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못한 경우는 23.6%,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이 없는데 수행한 사람은 7.1%, 교육받지 않고 심폐소생술도 시행하지 않은 경우는 55.6%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경험이 있으면서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지식(p=0.001), 1339 번호 인지(p=0.006) 및 이용경험(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특성이나 경제적 조건을 반영한 다양한 심폐소생술 교육 전략이 필요하다 하겠다.

Switched Network 상에서 스니핑 공격 탐지에 있어서의 오탐율 감소를 위한 연구 (A Study on Decrease of False Positive Rate of Detection against Sniffing Attack over Switched Network)

  • 임정묵;양진석;한영주;이은선;임형진;정태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83-1086
    • /
    • 2004
  • Switched Network는 Shared Network 에 비해서 스니핑에 안전하다. 하지만 비교우위일뿐 절대적으로 스니핑에 안전한 것은 아니다. 이미 Switched Network 상에서 스니핑을 할 수 있는 공격툴들이 많이 소개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Switched Network 상에서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스푸핑을 통한 ARP 캐시 오염을 통하여 스니핑이 가능한 시나리오를 기술한다. 이러한 시나리오를 탐지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은 DHCP와 같은 동적인 환경이 포함된 경우 False Positive 를 자주 발생시키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False Positive를 줄인 탐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응급구조(학)과 대학생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감염관리 수행도 간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on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 and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Paramedic students)

  • 박대성;김갑선;이만진;김예림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25-32
    • /
    • 2023
  •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감염관리 수행도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라남북도,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3-4년제 응급구조(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154명이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6.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합(Sum),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응급구조(학)과 대학생들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코로나19에 대한 태도와 지식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응급구조(학)과 대학생들의 감염관리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규 또는 비정규 교육과정, 다학제적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구급대원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현장업무 프로토콜 개발 (Development of a Prehospital Protocol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 정지연;정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85-193
    • /
    • 2010
  • 본 연구는 응급의료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자 2007년 3월 1일부터 2008년 8월 30일까지 비외상성 심정지 환자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응급구조사의 현장업무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항목을 작성하고 이를 근거로 작성,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후 최종 현장 업무 프로토콜을 확정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심정지 환자 심폐소생술에 대한 현장업무 프로토콜은 정확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응급의료 서비스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응급구조에서의 음향데이터 분석을 위한 음성 부재구간 검출 기술 (Voice inactivity detection for Analysis of Acoustic data of Emergency Rescue)

  • 황승현;장준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48-134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응급구조의 신고 상황에서의 수보자의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대응를 위하여 수화자의 음향환경을 분석하여 주변상황에 대한 정보를 알고자 심화 신경망 기반의 음성 부재구간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음성 신호에서의 23차의 Mel-filter bank를 추출하고 이를 심화 신경망 기법을 이용하여 음성 부재구간을 검출한다. 객관적인 성능 평가를 위해 제안된 기법은 실제 응급구조 상황에서 평가되었으며, 기존의 음성검출기를 이용한 음성 부재구간 검출 성능에 비하여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무선 인체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응급데이터 전송기법 (A Life-Critical Data Transmission Scheme for Wireless Body Area Networks)

  • 최원석;조성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12B호
    • /
    • pp.1329-133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무선 인체 통신 네트워크에서 응급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송 지연시간을 보장하는 DCTW(Dual Channel Transmission Scheme for WBAN)기법을 제안한다. 무선 인체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의학적인 응용을 고려하고 개발되었기 때문에, 의학적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른 차등 전송 기법이 필요하다. DCTW에서는 응급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을 위하여 협대역 채널을 사용하며 일반 데이터 프레임 전송을 위하여 광대역 채널을 사용한다. 협대역 채널을 통하여 응급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긴급한 데이터를 보내고자 하는 노드가 데이터를 신속히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전송 지연시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본 논문은 다양한 성능 분석을 통해 DCTW 기법이 다른 기법에 비해 우수함을 증명하였다.

119 구급대에 의해 이송된 환자들 중 직접적 의료지도가 필요한 범위와 그에 따른 수요 추정 (Indications and Estimations of the Needs for Direct Medical Control in the Patients Transported by 119 Rescuers)

  • 박재영;정구영;배현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2-47
    • /
    • 2006
  • 응급의료체계에서의 의료지도는 필수적인 요소로 인정되어지고 있다. 응급의료에관한법률에 의해서도 응급구조사에 의한 응급처치 시 의사의 지도를 필수적인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법에서 정하는 응급처치의 범위 외에 119 구급대에서조차 의료지도가 필요한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지도의사의 자격이나 역할, 책임과 권리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없어 소방에서 2004년 1월부터 서울 119에서 서울종합방제센터에 지도의사를 두고 직접적 의료지도를 담당하고 있으나 그 이용이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다. 이에 서울종합방재센터의 의료지도 사례를 바탕으로 의사의 직접적 의료지도가 필요한 범위를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의료지도의 수요를 추정하여 의료지도체계를 확립하는데 필수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에 2004년 11월 한 달 동안 서울종합방재센터 의료지도실에 의뢰되어진 의료지도 793건을 사례집단으로 직접적 의료지도가 필요한 기준의 타당성을 검증한 결과 직접적 의료지도가 필요한 기준으로 환자의 상태에 따른 조건, 응급처치에 따른 조건과 사고의 종류에 따른 조건으로 구분하여 각 항목의 직접적 의료지도 필요는 비정상적인 의식상태, 산소투여 등 6가지 응급처치를 시행한 경우, 교통사고 등 4가지 손상기전과 분만이 직접적 의료지도가 필요한 환자의 조건으로 설정되었고 서울 소방의 전체 구급대 이송환자 중 직접적 의료지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환자는 45.9%에 달했다. 직접적 의료지도를 받아야 할 경우로 판단되었으나 실제 의료지도가 의뢰된 경우는 4.6%였다. 따라서 이상적인 직접적 의료지도 체계는 응급의학과 의사 등의 지도의사를 확보하고 각 응급의료기관과의 의사소통과정을 통해 구급대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향상시키는 교육과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비외상성 동맥류성지주막하출혈 환자에서 SAFARI 점수를 이용한 경련 발생 예측의 유용성 (Usefulness of the SAFARI score for predicting convulsive seizure in patients with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 백승준;홍대영;김신영;김종원;박상오;이경룡;백광제
    • 대한응급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49-454
    • /
    • 2018
  • Objective: The SAFARI score was introduced to assess the risk of convulsive seizure during admission for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in 201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SAFARI score derived from the afore-mentioned study could be applied to patients with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in Korea.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from March 2013 to October 2017. Patients' age, sex, blood pressure, pulse rate, body temperature, Glasgow-Coma Scale, Hunt-Hess scale, modified Fisher grade, size of ruptured aneurysm, surgery type, transfusion, and SAFARI score were compared between the seizure and non-seizure groups.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curves was calculated to evaluate the predictive ability for seizure during admiss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predictive factors for seizure during admission. Results: A total of 220 patients were included. Ninety-seven (44.1%) were male and 123 (55.9%) were female.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5.8 years old (range, 56-75). The area under the curve of the SAFARI score for predicting seizure was 0.813. The SAFARI score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seizure during admission, while other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up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The SAFARI score could be used for predicting seizure during admission in patients with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