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번식기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2초

번식기에 개구리 여포의 스테로이드 생성변화와 난자의 성숙능 획득 (Steroidogenic Shift and Acquisition of Meiotic competence by Cultured Ovarian follicles of Rana at Breeding Season)

  • 안련섭;이용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4-181
    • /
    • 1994
  • 3 종의 한국산개구리를 사용하여 여포들이 생성하는 스테로이드와 난자의 성숙능이 번식기 근처에서 어떻게 변하는가를 조사하였다. 개구리의 여포를 생체외 배양하면서 이들이 뇌하수체추출물(frog pituitary homogenate, FPH) 혹은 CAMP의 자극으로 생성하는 progesterone(Pa)과 testosterone(T)의 양을 측정하여 이로부터 P4yT의 비율을 구하였으며 여포난자들이 FPH. P4 혹은 12-0-tetrsdecanoyl phorbol-13-acetate(TPA)에 반응하여 성숙을 일으키는 시기를 조사하였다. 북방산개구리의 여포난자는 11월 부터 호르몬에 반응하여 성숙을 일으켰으며 2월에 PJT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참개구리는 5월에 가서of PJT의 비율이 현저히 증가하고 FPH에 반응하여 성숙을 일으켰다. 그러나 P4에 의한 난자성숙은 3월부터 시작하였다 옴개구리는 7월에 P4/T 비율의 증가가 있었으며 이때부터 또한 TPA에 반응하여 난자의 성숙을 일으켰다 따라서 3종의 개구리에서 모두 각각의 번식기 근처에서 PJT의 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또한 성숙능이 생긴다는 것을 알 수있었다.

  • PDF

작은땃쥐 Crocidura suaveolens의 치아 마모에 의한 연령결정과 번식의 계절적 변이의 조직학적 분석 (Age Determination by Tooth Wear and Histological Analysis of Seasonal Variation of Breeding in the Lesser White-Toothed Shrew, Crocidura suaveolens)

  • 정순정;윤명희;김숙향;함주현;임도선;최백동;박진주;정문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3호
    • /
    • pp.125-132
    • /
    • 2010
  • 작은땃쥐 Crocidura suaveolens는 치아 마모도를 이용하여 3개의 연령군으로 분류하였고 생식기관의 계절적 변이를 조사하였다. 유수들의 구치는 치아 마모를 보이지 않았고 세 번째 구치의 높이가 첫 번째와 두 번째 구치보다 낮았으며, 아성수는 약간의 치아 마모를 보였고 세 번째 구치의 높이가 첫 번째와 두 번째 구치의 높이에 이르렀고, 성수들은 깊은 치아 마모를 보였으며 세 번째 구치 높이 역시 첫 번째와 두 번째의 구치에 도달하였다. 조직학적 조사를 근거로, 번식의 계절적 변이가 명확해졌으며, 수컷 성수의 번식 상태는 2월 초에서 10월 초까지 유지되었고 4월과 7월에 가장 높은 번식 활동을 보였고 비번식기는 10월 중순에서 1월 말까지였다. 번식기에 포획된 아성수와 성수 수컷은 다양한 생식세포들로 채워진 확장된 세정관을 가진 큰 정소와 많은 정자들을 가진 팽창된 부정소 미부를 가졌고 비번식기에 포획된 아성수와 성수 수컷들은 정원세포만으로 채워진 가늘어진 세정관을 가진 작은 정소와 정자를 가지지 않는 감소된 부정소를 가졌다. 몸무게가 3.9g 이상이고 정소와 부정소 무게가 0.013 g 이상인 수컷은 번식기에 성적 성숙에 도달하였고, 몸무게가 3.8 g 이상이고 번식기에 포획된 암컷들은 5~6마리의 새끼를 가진 임신상태이거나 난소에 성숙난포들과 황체를 가지고 있었다.

TBTCl (tri-n-butyltin chloride)과 bisphenol A에 의한 단기노출이 등줄쥐의 번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ort-Term Exposure with Tri-n-Butyltin Chloride (TBTCl) and Bisphenol A on the Reproduction of the Striped Field Mouse)

  • 김지혜;민병윤;윤명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06-411
    • /
    • 2011
  • TBTCl과 bisphenol A (BPA)가 등줄쥐의 번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등줄쥐를 비번식기에 포획하여 번식기 직전에TBTCl과 BPA를 근육 주사한 후, 4개월 간 사육하였다. 그 결과, 암 수 모두 체중 증가량에 차이가 없었고, 수컷 체내의 각 화합물의 체내 잔류량, 성체와 새끼(F1) 수컷에 대한 생식소중량지수(GSI) 및 정소와 부정소의 광학 및 전자현미경 조직상이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TBTCl 투여군에서는 출생한 태아의 사망 빈도가 높고, BPA 투여군에서는 유산율이 대조군에 비해서 높았다. 이로부터, 비번 식기의 성체 등줄쥐에게 TBTCl과 BPA를 단기간 투여했을 때, 이들 물질은 체내에 장기간 잔류하지 않으며, 성체 및 다음 세대 수컷의 생식기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수태된 태아의 발생을 저해하는 물질임이 밝혀졌다.

산림성 조류의 번식기 음성녹음을 이용한 조류군집 평가 (Evaluation of the Forest Bird Community in the Breeding Season by using the Sound Recording System)

  • 유승화;한현진;김동원;주우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9-46
    • /
    • 2018
  • 번식기 조류 조사(Breeding Bird surveys)는 생태계 내 군집 구조와 기능 그리고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최근 기후변화 등에 따른 생물다양성이 급변함에 따라 산림성 조류조사 데이터의 정확성 및 공간적인 확대와 시계열적 모니터링을 위해 음향 센서 등의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류 음성을 녹음한 데이터와 현장 조류조사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번식시기 산림성 조류의 군집 다양성 평가에 음향 녹음 센서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2013년 5월 2일부터 16일까지 현장조사 및 녹음을 실시하였으며, 조사 대상지는 점봉산지역의 곰배령과 조침령, 그리고 소백산지역의 죽령과 고치령 구간으로 총 4개 권역 48개 지역, 186개 지점이었다. 녹음결과를 이용하여 현장조사에 의한 조류군집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녹음에 의한 조류 종의 수와 개체수, 울음소리 횟수는 현장조사에 의한 조류의 종의 수, 개체수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녹음에 의한 조류 종의 수와 음성의 횟수는 현장조사(관측과 청음 병행)에서의 종다양도, 종풍부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종균등도와는 약한 상관관계 혹은 관계가 없음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현장에서의 음성녹음 자료를 분석할 경우 조류군집의 종조성과 함께 종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번식기의 음성녹음에 비하여 번식기의 음성녹음은 녹음결과와 종다양성과의 상관관계에서 보다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활용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소태아혈청과 Macromolecules 가 소 난자의 성숙과 핵 이식 후 배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임기순;양병철;이상기;성환후;장원경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33-33
    • /
    • 2002
  • 소난자 체외성숙에 있어 소 태아혈청 (fetal bovine serum: FBS) 첨가시 높은 성숙율을 보이며 핵 이식 후 배 발달율에 있어서도 높다. 하지만 배양액 내에 포함된 소 태아혈청은 수정란 이식 후 태아의 발육 중 및 태어난 직후에 발생되는 송아지에서 나타나는 몇몇 비정상적인 현상들의 원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Walker 등, 1998). 본 실험은 성숙배양시 소 태아혈청과 이의 대체물질로서 BSA 또는 PVA 와 같은 macromolecules의 첨가가 소 난자의 성숙과 핵 이식 후 배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중략)

  • PDF

우수리땃쥐 Crocidura lasiura의 치아 마모에 의한 연령결정과 번식의 계절적 변이의 조직학적 분석 (Age Determination by Tooth Wear and Histological Analysis of Seasonal Variation of Breeding in the Big White-Toothed Shrew, Crocidura lasiura)

  • 정순정;윤명희;최정미;김현대;임도선;박진주;최백동;정문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1호
    • /
    • pp.37-45
    • /
    • 2010
  • 포획된 야생의 우수리땃쥐 Crocidura lasiura는 구치의 마모와 높이를 이용하여 3개의 연령군으로 분류하였고 번식과 생식기관의 계절적 변이를 조사하였다. 유수들은 구치에서 마모를 가지지 않았고 세 번째 구치 높이가 첫 번째와 두 번째 구치보다 낮았고 비번식상태만을 가졌다. 아성수들은 약간의 마모를 가졌고 세 번째 구치가 첫 번째와 두 번째 구치 높이에 도달했고 성수들은 구치에 깊은 마모를 가졌으며 아성수와 성수는 계절에 따라 번식 혹은 비번식상태를 가졌다. 조직학적 관찰을 근거로 아성수와 성수 수컷의 번식상태는 2월 초에서 10월 초까지 유지되었고 4월에 가장 높은 번식활동을 보였으며 암컷의 번식 상태는 3월 말에서 10월까지 유지되어, 수컷이 암컷보다 빨리 성적 성숙에 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번식상태는 비번식기 동안 중단되며 이것은 식량자원인 토양 무척추동물의 부족때문이라 생각된다. 번식기의 아성수와 성수들은 많은 생식세포들로 채워진 확장된 세정관을 가지는 큰 정소와 많은 정자들을 가진 팽창된 부정소 미부를 가졌고 10.0 g 이상의 몸무게와 0.03 g 이상의 정소와 부정소 무게를 가졌다. 번식기의 암컷들은 4~6개의 새끼를 가진 임신상태이거나 난소에 성숙난포들과 황체를 가졌고 9.6 g 이상의 몸무게를 가졌다.

도시공원내 야생조류의 먹이자원 및 인공새집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od Resource and Utilization of Artificial Nest of Wild-birds in Urban Woodland)

  • 김종갑;이성규;민희규;민기철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5호
    • /
    • pp.275-282
    • /
    • 2002
  • 먹이식물에 대한 야생조류의 기호성을 조사한 결과 28종 중에서 특히 소나무, 팽나무, 노박덩굴, 찔레꽃, 주목, 사철나무 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생조류의 먹이섭식량은 번식기(5∼6월)에는 동물성(섭식률 92.2%)을 식물성(섭식률 32.7%)보다 선호하였으나 비번식기(11∼12월)에는 동·식물성 모두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먹이 종류별 선호도는 식물성은 조, 좁쌀을 동물성은 쇠기름덩이, 번데기를 선호하였다. 공원별 인공새집 이용률은 노산공원 77.5%, 산호공원 50.3%, 진주성지 44.1%, 비봉공원 42.2% 순으로 노산공원에서 인공새집의 의존률이 가장 높았고, 인공새집 구멍 크기별로는 5cm 출입공보다 3cm 출입공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자세포유전학적 기법을 이용한 Freematin의 진단

  • 강민영;전혜정;손시환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23-23
    • /
    • 2003
  • 프리마틴(freemartin)이라 함은 반추동물들 중 특히 소에서 나타나는 간성(intersex)형태로 이성 쌍자의 경우 태어난 암컷의 대부분이 정상적인 자성 생식기의 발육 및 발생양상을 지니지 못하여 생식불능상태로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실용화된 수정란이식이나 쌍자유기 등의 기술은 현재 일반 농가에 까지 정책적으로 확대 보급되어 산업화되고 있는 실정이나 불행히도 이러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생산된 개체들 중 상당수가 이성쌍자로 이들 중 암컷 개체들은 거의 freemartin으로 생산되어 실지 노력에 비해 경제적 효과들을 크게 반감시키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생산된 freemartin 개체들에 대하여 조기 진단 없이 다만 형태적으로 암컷으로 판단하여 번식우로 사양관리 함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매우 크다 할 수 있겠다.

  • PDF

안성 도시 소생태계 조성사업 지역의 조류 군집 특성과 서식지 조성 효과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and Effects of Habitat Creation in Manmade Small Ecosystem, Anseong)

  • 김정수;강미현;남궁형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2호
    • /
    • pp.117-127
    • /
    • 2022
  • 안성 도시 소생태계 조성사업이 조류 군집 특성과 서식지 조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6년과 2017년 5월과 10월 4회에 걸쳐 조류 군집 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번 조사를 통하여 연구지역에서 모두 24종 94개체의 조류가 관찰되었다. 우점종은 참새 Passer montanus 19.1%, 까치 Pica pica 12.8%, 물까치 Cyanopica cyana 8.51% 그리고 붉은머리오목눈이 Sinosuthora webbiana와 방울새 Carduelis sinica ussuriensis 각 7.45%였고, 종다양도는 2.787이었다. 관찰된 조류 25종을 이동성에 따라 나누어 보면 텃새 72.0%, 여름철새 20.0% 그리고 겨울철새 8.00%이었다. 번식조류(확인 또는 가능성) 22종의 영소길드는 수관층(C)을 이용하는 종 54.5%, 수동(H)을 이용하는 종 31.8%, 덤불(B)을 이용하는 종 9.09% 그리고 지표면(G)을 이용하는 종 4.55%이었다. 채이길드는 번식기와 비번식기로 나누었으며, 번식기에 관찰된 조류 23종은 수관층(C)을 이용하는 종 69.6%, 덤불(b)을 이용하는 종 21.7% 그리고 물(W)과 지표면(G)을 이용하는 종 각 4.35%였고, 비번식기에 관찰된 조류 25종은 수관층을 이용하는 종 64.0%, 덤불을 이용하는 종 24.0%, 지표면을 이용하는 종 8.00% 그리고 물을 이용하는 종 4.00%였다. 연구지역에서 조성된 대표적인 조류 서식지는 인공둥지와 습지(빗물정원)이다. 둥지는 연구지역에 모두 7개를 설치하였다. 박새 Parus major가 2016년과 2017년 각 한 둥지에서 번식하였고, 참새 Passer montanus가 2017년 한 둥지에서 번식하였다. 빗물 정원에서 지속 가능한 우수(rainwater)의 공급은 조류가 습지를 서식지로 이용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었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습지로 조성된 빗물정원은 수량의 부족으로 이를 서식지로 이용하는 조류는 확인되지 않았다.

주당 적정줄기수와 번식방법이 구기자의 수량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em Number and Propagation Method on Yield Components of Boxthorn(Lycium chines Mill.))

  • 이봉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1-75
    • /
    • 1996
  • 구범자(枸杞子)의 주당(株當) 적정(適正) 줄기수와 번식방법(繁殖方法)을 구명(究明)하고자, $1993\sim1994$년(年)까지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여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구기자(拘杞子) 번식방법(繁殖方法)은 종자번식(種子繁殖)에 비해 개화기(開化期)가 15일 빠르고, 건과수량(乾果收量)이 91kg/10a로 30%가 증수(增收)된 지삽(枝揷) 20cm가 가장 좋았다. 2 삽수 굵기는 건과수량(乾果收量)이 227kg/10a로 방임구(放任區)에 비해 28% 증수(增收)된 0.9cm가 좋았다. 3. 주당 적정(適定) 줄기수는 줄기수 5본에서 생육(生育)이 가장 좋았고 100과중도 13.4g으로 가장 무거웠다. 4. 주당(株當) 착과수는 864개로 줄기수 5본에서 증가(增加)되었고 건과수량(乾果收量)도 줄기수 5본에서 104kg/10a로 방임구(放任區)에 비해 16% 증수(增收)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