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가치활동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Factors Decreas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and Waste Factors with Relation to Lean Construction (린 건설과 연계한 생산성 저하 요인과 Waste 요인과의 상호 관련성 연구)

  • Park Joo-Hyun;Kim Dae-Young;Lee Hak-Ki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4 no.4 s.16
    • /
    • pp.164-172
    • /
    • 2003
  • 생산성은 프로젝트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효율성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또한 건설 생산성은 비용 및 일정과 연관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와도 관련이 크다. 프로젝트에서 생산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의 생산성 관련 연구는 생산성에 대한 기본 개념 및 원칙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 없이 정량적인 연구에 집중되어 있으며, 관련 데이터 수도 적은 실정이다. 국내 건설 공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생산성 관리의 정량적친 요인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요인까지 관리해야 하며, 저하요인에 따른 체계적이고 세부적인 프로세스 및 기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에 국내 건설 공사의 생산성 관리에 린 건설을 도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생산성 저하요인과 린 건설에서의 Waste 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국내 건설 공사 현장에서의 Waste 주요 의미를 살펴보고 두 요인간의 상호 관련성을 파악하여, 린 건설의 프로세스 및 기법을 국내 건설 공사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이론적인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Flood analysis of yeongsan and sumjin river basin in 2020 (2020년 영산강 및 섬진강유역 홍수상황 분석)

  • Kwon, Min Sung;Jung, Chung Gil;Lee, Joon Ho;Kim, Kyu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60-360
    • /
    • 2021
  • 최근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화, 그에 따른 이상기후로 인하여 대규모 홍수피해가 발생함과 동시에 오랜 시간 동안 가뭄이 지속되어 재난관리가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영산강홍수통제소는 효율적인 재난관리를 위해 영산강권역의 5대강 및 해안지역의 수위·강수량·유량 등 수문조사시설을 설치·운영하여 홍수·갈수예보를 통해 재난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2020년 영산강홍수통제소 관할권역의 홍수기 강수량은 예년에 비해 약 150% 내외의 많은 강수가 내렸다. 영산강, 섬진강, 동진강 수계는 8월에 가장 많은 비가 내려 487.4 mm, 619.5 mm, 503.7 mm의 강수가 기록되었고, 8월의 예년 대비 강수량은 181%, 200%, 192% 수준이었다. 만경강과 탐진강은 7월 강수량이 535.1 mm, 365.5 mm로 가장 많았고, 7월 강수량의 예년비는 193%, 141%의 수준이었다. 특히 8.7~8.8일 섬진강 유역의 남원시(신덕리)와 영산강 유역 담양군(광주댐)에는 각각 542 mm, 654 mm의 기록적인 강수가 관측되었다. 이틀간의 집중호우로 영산강 및 섬진강 유역의 여러 지역에서 홍수피해가 발생했으며, 특히 남원시, 구례군, 하동군에서 홍수 피해 규모가 컸다. 영산강홍수통제소는 2020년 총 51회의 비상근무를 실시하여 홍수상황에 대응 하였으며, 15개 홍수특보지점 중 탐진강 유역 장흥군(예양교)를 제외한 14개 지점에 대해 홍수주의보 22회, 홍수경보 14회 등 36회의 홍수특보를 발령하였다. 홍수특보 지점의 대부분 지점에서 기왕 최고치에 근접하거나 이를 초과하였다. 홍수주의보 수위를 초과한 지점은 총 14개소이며, 이 중 계획홍수위 초과 6개소, 홍수경보 수위 초과 5개소, 홍수주의보 수위 초과 3개소이다. 또한 위기단계별 홍수정보 943건을 30개기관 595명에게 제공하여 관계기관의 방재활동을 지원하였으며, 관할수계 다목적댐 3개소, 발전댐 1개소, 용수댐 1개소, 농업용저수지 10개소, 다기능보 2개소, 홍수조절지 2개소에 181회의 방류승인을 통해 홍수조절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20년 홍수기간 동안 영산강 및 섬진강의 홍수상황 및 홍수대응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홍수상황에 대비코자 한다.

  • PDF

Factors Influencing the Regular Oral Check-Ups: Based on the Data of the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우리나라 경제활동자의 구강검진 수진 영향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2014) 자료를 바탕으로)

  • Kim, Dong-Hwi;Seo, Young-Joon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7 no.4
    • /
    • pp.323-332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 on whether to receive regular oral check-ups amo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beneficiaries with income and aged over 20 years in Korea.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data from the 2014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final sample included 2,843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 examination survey and oral check-ups. The IBM SPSS Statistics ver. 20.0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complex sampling design. The Rao-Scott chi-square test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with regard to oral check-ups.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influencing factors. The ratio of beneficiaries who received oral check-ups was less than half of those who received medical examinations. The Rao-Scott chi-square tes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ge group (p<0.05) of the predisposing factors, toothache within a year (p<0.001), untreated dental caries (p<0.001) of the need factors, personal income level (p<0.001), educational level (p<0.001), type of medical insurance (p<0.001), and private health insurance (p<0.01) of the enabling factors. In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actors influencing oral check-ups were age group, personal income level, educational level, toothache within a year, and untreated dental caries. These findings show a variety of factors influencing the utilization of regular oral check-ups.

Relationship between Dyspnea and Disease Severity, Quality of Life, and Social Factor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폐쇄성폐질환자에서 질병 중증도 및 삶의 질을 비롯한 사회적 요인과 호흡곤란과의 관계)

  • Kim, Eun-Jin;Park, Jae-Hyung;Yoon, Suk-Jin;Lee, Seung-Jun;Cha, Seung-Ick;Park, Jae-Yong;Jung, Tae-Hoon;Kim, Chang-Ho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60 no.4
    • /
    • pp.397-403
    • /
    • 2006
  • Backgrou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is categorized by the percentage of the predicted $FEV_1$(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result which is highly correlated with disease severity(morbidity and mortality). In COPD patients, dyspnea seems to be different from disease severity. We investigated whether dyspnea is correlated with disease severity, as measured by $FEV_1$, quality of life(QoL), occupation, and supporting level of family members and neighbors. Method: Thirty-six clinically stable patients with chronically irreversible airflow limitation were enrolled. We used the Medical Research Council(MRC) dyspnea scale to assess the level of dyspnea and the Korean St. Goe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SGRQ) as measure the QoL. Result: The mean percentage of the predicted $FEV_1$ was 32.0%. Dyspnea was not correlated with GOLD stage using $FEV_1$(p=0.114). With deteriorating level of dyspnea the scores of symptoms(p=0.041), activity(p=0.004), impact(p=0.001), and total SGRQ score(p<0.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Dyspnea was not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occupation(p=0.259). The supporting level of family members and neighbors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dyspnea scale(p=0.011). Conclusion: In the management of COPD patients, we have to remember that the level of subjective dyspnea is correlated with QoL(symptom, activity and impact on society) and social supporting level as well as GOLD stage($FEV_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