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불임환자

Search Result 14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alysis of $LH{\beta}$ Exon 3 (Gly102Ser) Gene Mutation in Infertil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nd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자궁내막증과 다낭성 난포증후군 불임환자에서 $LH{\beta}$ Exon 3 (Gly102Ser) 유전자의 돌연변이 분석)

  • Kim, Nam-Keun;Lee, Eu-Gene;Cho, Min-Soon;Nam, Yoon-Sung;Chung, Hyung-Min;Chung, Ki-Wha;Oh, Yu-Kyoung;Ko, Jung-Jae;Cha, Kwang-Yul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27 no.3
    • /
    • pp.291-294
    • /
    • 200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궁내막증과 다낭성 난포증후군 불임환자들을 대상으로 $LH{\beta}$ exon 3 (Gly102Ser)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탐색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그 대상으로 26명의 자궁내막증 환자와 52명의 다낭성 난포증후군 환자 그리고, 50명의 출산 경험이 있는 건강한 여성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돌연변이 탐색은 PCR-RFLP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결과 : 그 결과 자궁내막증과 다낭성 난포증후군 환자 및 출산 경험이 있는 건강한 여성에서 그 변이형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따라서, 자궁내막증과 다낭성 난포증후군 불임환자의 $LH{\beta}$ exon 3 돌연변이형은 중국인 집단에만 존재할 가능성이 높으며, 더 많은 불임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요구된다.

  • PDF

동행+함께하는 마음 - 살이 찌지 않는 몸 만들기 - 불임으로 고생하고 있나요? 혹시 비만은 아닌가요? 불임원인의 6%는 비만, 살을 빼야 임신할 수 있다

  • Lee, Ui-Jun
    • 건강소식
    • /
    • v.34 no.9
    • /
    • pp.26-27
    • /
    • 2010
  • 결혼 후 불임으로 인해서 마음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닌 부부들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불임의 원인으로는 과도한 흡연, 음주, 무정자증, 배란장애, 조기폐경, 각종질환, 환경적인 요인 등 다양하며, 비만도 불임의 한 원인이 된다. 외국의 한 통계자료에 의하면 불임 환자의 6%는 비만이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혹시 불임으로 고생하고 있다면 비만이 원인은 아닌지 진단해 보자.

  • PDF

A Case study about treatment of an Obese patient accompanied by sterility (불임을 동반한 비만환자치료 증례 1)

  • Lee, Seung-Hee;Ryu, Eun-Kyung;Jung, So-Young
    •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 /
    • v.4 no.1
    • /
    • pp.185-192
    • /
    • 2004
  • Obesity is known as a cause of variousdisease. Sterility is one of disease related to obesity. We had experienced an Obese patient accompanied by sterility. From January. 28. 2004 to April. 30. 2004. We applied Kobonkunyangdan and Ojayounjonghuan(固木健陽丹 合 五子衍宗丸), electrolipolysis and LCD(low alorie diet), behavioral theraphy, auricular acupuncture. Through this obesity treatment during 3 months, total weight loss was 23.8kg, reduction of percent body fat was 5.5% (from 22.8 to 17.3), reduction of BMI was $7.3kg/m^2$ (from 32.6 to 25.3), increase in sperm count and sperm motility was $50{\sim}60%$, hepatic index was improved.

  • PDF

Surgical Treatment of Male Infertility (남성불임의 수술적 치료법)

  • Lee, Seong-Won
    • 대한생식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6a
    • /
    • pp.31-64
    • /
    • 2005
  •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준임상적 정계정맥류이 존재가 불임 환자에서 가지는 중요성에 관하여는 아직 논란이 많다. 하지만 실제적인 정계정맥류의 크기와 신체검사에서 촉진되는 정계정맥류의 크기가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사실과 준임상적인 정계정맥류라 할지라도 고환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을 고려할 때, 준임상적 정계정맥류의 임상적 중요성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비록 현재는 불임의 치료로서 준임상적 정계정맥류의 제거술의 잇점이 뚜렷이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불임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 있어 준임상적 정계정맥류의 존재는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이라 생각된다. 또한 앞으로도 준임상적 정계정맥류의 치료 효과 및 필요성에 관하여는 잘 계획된 많은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an Endometriosis Affect the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Undergoing IVF-ET ? (자궁내막증을 갖는 불임환자의 체외수정시술에 관한 연구)

  • Jung, Byeong-Jun;Song, Hyun-Jin;Oh, Ik-Hw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29 no.3
    • /
    • pp.223-227
    • /
    • 2002
  • 연구목적: 전반적인 자궁내막증이 체외수정시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특히 stage III-IV 자궁내막증을 갖는 불임환자 체외수정시술 결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1998년 9월부터 2001년 9월까지 진단복강경을 통해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 환자 중 체외수정시술을 시행 받은 91명 131주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stage III-IV의 자궁내막증을 갖는 환자는 27명 34주기였다. 비교군은 이시기에 진단된 순수 난관원인으로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한 40명 56주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학적 검사는 Student's t-test와 Chi-square test를 시행하였고, p<0.05를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전체 자궁내막증 환자와 난관인자의 체외수정시술에서 두 군간의 나이는 $31.6{\pm}3.3$, $32.6{\pm}3.6$세로 비슷하였다. 채취된 난자의 수 ($10.3{\pm}6.6$ vs $11.7{\pm}5.1$), 성숙난자 수 ($7.4{\pm}4.7$ vs $7.7{\pm}4.9$), 수정율 ($70.2{\pm}32.4%$ vs $73.7{\pm}20.0%$), Good embryo quality rate (8세포 (G1+G2)를 2PN의 개수로 나눈 값) (32.6% vs 32.4%) 및 배아이식 수 ($4.6{\pm}1.4$ vs $4.8{\pm}1.1$)로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또한 임상적 임신율의 경우도 각각 30.7%, 42.8%로 비슷하였다. 중등도 및 중증의 자궁내막증과 난관인자의 비교에서 성숙난자 및 채취된 난자의 개수는 각각 $8.8{\pm}4.9$, $7.7{\pm}3.9$, $11.3{\pm}7.0$, $11.7{\pm}5.1$개로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수정율은 stage III와 IV 군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66.2{\pm}30.0%$ vs $73.7{\pm}20.0%$). Good qulity embryo rate (GQER)는 stage III-IV 자궁내막증 환자군에서 22.0%로 순수 난관인자의 32.4%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p=0.15, Chi-square test). 배아이식 수의 경우는 각각 $4.7{\pm}1.5$, $4.8{\pm}1.1$개로 차이가 없었다. 배아이식 주기당 임상적 임신율의 경우는 stage III-IV군에서 25.0% (8/32), 난관인자 군의 42.8% (24/56)로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p=0.06, Chi-square test), 중등도 및 중증의 자궁내막증을 갖는 환자에서 임신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체외수정시술시 자궁내막증이 임신율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중등도 및 중증의 자궁 내막증을 갖는 불임환자의 체외수정시술에서는 임신율에 나쁜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Analysis of the $LH{\beta}$ Gene Mutation in Infertil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nd Amenorrhea Women (자궁내막증과 무월경 불임환자에서 $LH{\beta}$ 유전자의 돌연변이 분석)

  • Kim, Nam-Keun;Lee, Eu-Gene;Nam, Yoon-Sung;Lee, Sang-Hee;Chung, Ki-Wha;Ko, Jung-Jae;Lee, Sook-Hwan;Cha, Kwang-Yul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27 no.1
    • /
    • pp.107-110
    • /
    • 200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궁내막증과 무월경 불임환자들을 대상으로 $LH{\beta}$ exon 2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탐색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그 대상으로 22명의 자궁내막증 환자와 12명의 무월경 환자 그리고, 54명의 건강한 비임신 여성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돌연변이 탐색은 PCR-RFLP(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polymorphism)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결과: 그 결과 자궁내막증과 무월경증 환자에서 그 변이의 비율이 각각 18.2%, 16.7% 그리고, 대조군에서 역시 16.7%의 빈도를 나타냈다. 결론: 따라서, 자궁내막증과 무월경증 환자는 $LH{\beta}$ exon 2 돌연변이와는 서로 관련이 없거나 매우 적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Genetic Causes in Male Infertility of Human (남성 불임의 유전성 요인)

  • 김의수;이건수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v.3 no.1
    • /
    • pp.1-13
    • /
    • 1999
  • It is believed that genetic defects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male infertility. Since spermatogenesis is such a complex process, it seems inevitable that many genes are involved in controlling the entire development of germ cells. Genes for infertility, however, are considered to be only those which are defected in the reproduction ability, but normal in other functions. Microdeletions of the Y chromosome have been observed frequently in infertile males. At least two genes, RBM and DAZ, are known to present in the loci where microdeletions occur frequently. A number of autosomal genes were also considered as candidates of infertility genes, based on phenotypes of knockout mice that were deficient of these gen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