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불임증

Search Result 8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Useful Biomarkers for the Diagnosis of Endometriosis (자궁내막증 진단을 위한 생표지자의 유용성)

  • Kim, Sun-Young;Lee, Byung-Seok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7 no.1
    • /
    • pp.1-12
    • /
    • 2010
  • 진단적 복강경을 하지 않으면 자궁내막증의 진단이 불가능하다는 점은 의사들이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이다. 아직까지는 자궁내막증을 진단할 수 있는 획기적인 표지자가 없기 때문에 CA-125 같은 종양 표지자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으나 진단 도구로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초기 자궁내막증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기 위한 여러 시도들이 있었는데 특히 자궁내막증 1, 2기 환자에서 병의 초기 상태에 복강경적 치료를 하였을 경우 자연 임신 성공률이 2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기 때문에 불임 여성에 있어 자궁내막증의 진단 시기는 임상적으로도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겠다. CA-125는 자궁내막증 환자의 추적관찰에 있어 특이도가 높은 편이며 효용성이 있는데 특히 수술적 치료 후 장기적으로 병의 활성 혹은 재발을 평가하는데 있어 유용하다. 무작위적인 임상 연구 결과 자궁내막증과 관련된 불임이나 통증은 수술적 치료시 분명한 이득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84 자궁내막증은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한 질환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상기해야 한다. 또한 병의 진행에 따른 여러 면역학적인 변화들이 확인되면서 자궁내막증의 진단에 있어 면역학적 표지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복막액이나 혈청 내 사이토카인은 진단 도구로서 그 가능성에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규모 연구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최근의 면역학적 발견과 DNA 기술 발전은 자궁내막증의 진단에 있어 핵심적인 screening 도구의 발견에 일조할 것이며 이러한 기술적 발전을 근간으로 하여 머지 않아 획기적인 표지자가 개발될 것으로 기대한다.

Effects of Y Chromosome Microdeletion on the Outcome of in vitro Fertilization (남성 불임 환자에서 Y 염색체 미세 결손이 체외 수정 결과에 미치는 영향)

  • Choi, Noh-Mi;Yang, Kwang-Moon;Kang, Inn-Soo;Seo, Ju-Tae;Song, In-Ok;Park, Chan-Woo;Lee, Hyoung-Song;Lee, Hyun-Joo;Ahn, Ka-Young;Hahn, Ho-Suap;Lee, Hee-Jung;Kim, Na-Young;Yu, Seung-Yo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4 no.1
    • /
    • pp.41-48
    • /
    • 2007
  • Objective: To determine whether the presence of Y-chromosome microdeletion affects the outcome of in vitro fertilization (IVF) and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program. Methods: Fourteen couples with microdeletion in azoospermic factor (AZF)c region who attempted IVF/ICSI or cryopreserved and thawed embryo transfer cycles were enrolled. All of the men showed severe oligoasthenoteratoazoospermia (OATS) or azoospermia. As a control, 12 couples with OATS or azoospermia and having normal Y-chromosome were included. Both group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by sperm source used in ICSI such as those who underwent testicular sperm extraction (TESE) and those used ejaculate sperm. We retrospectively analyzed our database in respect to the IVF outcomes. The outcome measures were mean number of good quality embryos, fertilization rates, implantation rates, $\beta$-hCG positive rates, early pregnancy loss and live birth rates. Results: Mean number of good quality embryos, implantation rates, $\beta$-hCG positive rates, early pregnancy loss rates and live birth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Y-chromosome microdeletion and control groups. But, fertilization rates in the Y-chromosome microdeletion group (61.1%)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79.8%, p=0.003). Also, the subgroup underwent TESE and having AZFc microdeletion showed significantly lower fertilization rates (52.9%) than the subgroup underwent TESE and having normal Y-chromosome (79.5%, p=0.008). Otherwise, in the subgroups used ejaculate sperm, fertilization rates were showed tendency toward lower in couples having Y-chromosome microdeletion than couples with normal Y-chromosome. (65.5% versus 79.9%, p=0.082).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statistically. Conclusions: In IVF/ICSI cycles using TESE sperm, presence of V-chromosome microdeletion may adversely affect to fertilization ability of injected sperm. But, in cases of ejaculate sperm available for ICSI, IVF outcome was not affected by presence of Y-chromosome AZFc microdeletion. However, more larger scaled prospective study was needed to support our results.

Can Endometriosis Affect the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Undergoing IVF-ET ? (자궁내막증을 갖는 불임환자의 체외수정시술에 관한 연구)

  • Jung, Byeong-Jun;Song, Hyun-Jin;Oh, Ik-Hw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29 no.3
    • /
    • pp.223-227
    • /
    • 2002
  • 연구목적: 전반적인 자궁내막증이 체외수정시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특히 stage III-IV 자궁내막증을 갖는 불임환자 체외수정시술 결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1998년 9월부터 2001년 9월까지 진단복강경을 통해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 환자 중 체외수정시술을 시행 받은 91명 131주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stage III-IV의 자궁내막증을 갖는 환자는 27명 34주기였다. 비교군은 이시기에 진단된 순수 난관원인으로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한 40명 56주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학적 검사는 Student's t-test와 Chi-square test를 시행하였고, p<0.05를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전체 자궁내막증 환자와 난관인자의 체외수정시술에서 두 군간의 나이는 $31.6{\pm}3.3$, $32.6{\pm}3.6$세로 비슷하였다. 채취된 난자의 수 ($10.3{\pm}6.6$ vs $11.7{\pm}5.1$), 성숙난자 수 ($7.4{\pm}4.7$ vs $7.7{\pm}4.9$), 수정율 ($70.2{\pm}32.4%$ vs $73.7{\pm}20.0%$), Good embryo quality rate (8세포 (G1+G2)를 2PN의 개수로 나눈 값) (32.6% vs 32.4%) 및 배아이식 수 ($4.6{\pm}1.4$ vs $4.8{\pm}1.1$)로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또한 임상적 임신율의 경우도 각각 30.7%, 42.8%로 비슷하였다. 중등도 및 중증의 자궁내막증과 난관인자의 비교에서 성숙난자 및 채취된 난자의 개수는 각각 $8.8{\pm}4.9$, $7.7{\pm}3.9$, $11.3{\pm}7.0$, $11.7{\pm}5.1$개로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수정율은 stage III와 IV 군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66.2{\pm}30.0%$ vs $73.7{\pm}20.0%$). Good qulity embryo rate (GQER)는 stage III-IV 자궁내막증 환자군에서 22.0%로 순수 난관인자의 32.4%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p=0.15, Chi-square test). 배아이식 수의 경우는 각각 $4.7{\pm}1.5$, $4.8{\pm}1.1$개로 차이가 없었다. 배아이식 주기당 임상적 임신율의 경우는 stage III-IV군에서 25.0% (8/32), 난관인자 군의 42.8% (24/56)로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p=0.06, Chi-square test), 중등도 및 중증의 자궁내막증을 갖는 환자에서 임신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체외수정시술시 자궁내막증이 임신율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중등도 및 중증의 자궁 내막증을 갖는 불임환자의 체외수정시술에서는 임신율에 나쁜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utcome of Gonadotropin Therapy for Infertile Men with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으로 진단된 남성불임 환자에서 성선자극호르몬 (Gonadotropin) 치료가 정자형성 및 임신에 미치는 영향)

  • Joo, Young-Min;Kim, Tae-Hong;Seo, Ju-Tae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6 no.3
    • /
    • pp.219-224
    • /
    • 2009
  • Objective: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HH) is an uncommon cause of male infertility. We investigated the outcome of gonadotropin therapy for restoring fertility and pregnancy outcomes in patients with HH. Methods: Medical charts of 10 infertile male patients with HH treated with gonadotropin were reviewed. Initial testicular volume were estimated. Semen analysis parameters (semen volume, sperm counts, motility), serum leutenizing hormone (LH),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total testosterone were determined before and after human chorionic gonadotropin/human menopausal gonadotropin (hCG/hMG) treatment. Difference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Of 10 patients, 7 (70%) succeed at pregnancy (nature pregnancy in 4). Semen analysis parameters, serum FSH, and testosterone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eatment. The population was stratified according to initial testicular volume into a small testis subset (testicular volume less than 10 cc in 4) and a large testis subset (testicular volume 10 cc or greater in 6). Semen analysis parameters and serum testosterone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eatment in large testis subset. Conclusion: Infertile men with HH initiate and maintain spermatogenesis with gonadotropin (hCG/hMG alone or combined) therapy, thus gonadotropin therapy is good choice in infertile men with H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