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자선

검색결과 670건 처리시간 0.028초

석영에 의한 구리(II) 흡착: 전자상자성공명 연구 (Cu(II) Adsorption by Quartz: An EPR Study)

  • 현성필;조영환;한필수;김수진
    • 한국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물학회.한국암석학회 2001년도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4-44
    • /
    • 2001
  • 구리(II)의 전자상자성공명 흉수선의 모양과 선 폭에 대한 해석을 통해 석영-물 계면에서의 구리(II) 및 흡착수와 석영 표면과의 상호 작용에 대해 연구하였다. 두 가지 흡수선이 중첩하여 흡수선을 구성하며 따라서 석영 표면에 적어도 두 종류의 구리(II)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하나는 g=2.18에 중심을 둔 초미세 갈라짐이 분해되지 않는 등방성 단일 흡수선을 보여 주는 구리(II) 이온이다. 이는 수용액 중에서와 유사한 빠른 자유 회전 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표면에 매우 약하게 결합된 구리 이온(Cu($H_2O$)$_{6}$$^{2+}$)인 것으로 해석된다. 다른 하나는 축 대칭 흡수선 $g_{∥}$=2.40, $g_{⊥}$=2.08)을 가지는 구리(II)로서 이는 표면에 강하게 결합된 것으로 해석된다. 본 결과는 흡착 현상에 대한 열역학적 접근법인 표면 착물화 모델들이 제시하는 광물 표면에서의 금속 이온 흡착 모델이 거시적 관점에서 흡착 현상을 잘 모사할지라도 분자 수준의 미시적 관점에서 흡착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독립적인 분광학적 정보가 제시되어야함을 보여 준다.다.

  • PDF

아세칠렌가스($^13C_2H_2$)분자의 흡수선을 이용한 기준 광신호 및 광섬유 파브리-페로 필터에 의한 등간격 다중채널의 안정화 (Equi-spaced multichannel stabilization with a reference frequency from ($^13C_2H_2$) molecules and optical fiber fabry-perot filter)

  • 이현재;류갑열;이동호;박창수
    • 한국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8-72
    • /
    • 1997
  • $^{13}$C$_{2}$H$_{2}$ 분자의 빛살 흡수선 중 분산천이 광섬유의 영분산 파장에 가까운 1549.49 nm 파장의 흡수선에 DFB-LD (distributed feedback laser diode)의 주파수를 안정화시켰다. 이 주파수 안정화된 DFB-LD와 광섬유 파브리-페로 필터의 투과 및 반사특성을 이용하여 광섬유 파브리-페로 필터의 중심주파수를 안정화시켰다. 자유분광너비(free spectral range)가 100 GHz인 안정화된 광섬유 파브리-페로 필터의 공진 조건에 파장이 다른 3개의 DFB-LD 빛살을 투과시켜 DFB-LD들을 안정화시킴으로써 주파수분할 다중을 하였다. 또한 레이저를 디더링(dithering) 방법으로 안정화시켰을 때 디더링 전류에 따른 레이저의 선폭변화는 600 MHz/mA였다.

  • PDF

MBE법으로 InP 기판위에 성장한 InAlAs 에피층의 특성에 대한 성장온도의 효과 (Effects of growth temperatures on properties of InAlAs epilayers grown on InP substrate by molecular beam epitaxy)

  • 우용득;김문덕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51-256
    • /
    • 2003
  • 분자선에피탁시법을 이용하여 InP(001) 기판위에 성장한 InAlAs 에피층의 특성에 대한 성장온도 (370-$430 ^{\circ}C$)의 효과를 Normalski 현미경, 원자력현미경 (AFM), 광발광 (PL), 이중결정 x-선 회절법 (DCXRD)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InAlAs 에피층의 표면형상, 구조적, 광학적 특성은 370-$400^{\circ}C$에서 성장한 시료에서는 성장온도의 증가로 향상되지만, $430 ^{\circ}C$로 성장한 시료에서는 특성이 나빠졌다. 결과적으로 $400 ^{\circ}C$로 성장한 InAlAs 에피층의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파장가변 광섬유 링 레이저를 이용한 아세틸렌(13C2H2) 분광 (Spectroscopy of acetylene (13C2H2) using a tunable erbium-doped fiber ring laser)

  • 유한영;오정미;이동한;문한섭;이원규;박갑동;서호성
    • 한국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74-67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C-밴드와 L-밴드 파장(1525 nm-1625 nm)에서 파장 변화가 가능한 광섬유 링 레이저를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아세틸렌 분자 전이선에 대한 분광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작된 광섬유 링 레이저는 공진기 내부에 FFP-TF(Fiber Fabry-Perot Tunable Filter)를 이용하여 약 102 nm(1510.4-1612.6 nm)의 범위에서 파장을 연속 가변할 수 있었다. 광섬유 링 레이저의 파장가변특성을 이용하여 C-밴드(1525-1565 nm)에서 흡수선이 많은 아세틸렌($^{13}$C$_2$H$_2$)분자에서 50개 이상의 전이선에 대하여 높은 신호대 잡음비를 갖는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동백종실유(冬柏種實油)의 트리글리세리드의 분자종(分子種)에 관한 연구(硏究) (Molecular Species of Triglycerides in Camellia japonica Seed Oil)

  • 김성진;최은진;임희영;김태숙;조용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7-34
    • /
    • 1991
  • 동백종실유(冬栢種實油)에서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지질(脂質) 성분(成分)을 상호(相互) 분리(分離)하였다. 여기서 얻은 트리글리세리드의 일부(一部)를 취하여 알칼리로 가수분해(加水分解)하거나 또는 pancreatic lipase로 가수분해(加水分解) 하여,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構成) 지방산(脂肪酸) 또는 1, 3- 위치(位置)와 2-위치(位置)에 급합(給合) 한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을 조사(調査)하였다. 나머지 트리글리세리드는 16% $AgNO_3$ TLC로 이중결합선(二重結合敾)별로 나누었으며, 이렇게 나누어진 분획(分劃)을 다시 HPLC로 PN별로 재분획(再分劃) 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획분(劃分)들 중 PN이 같은 것은 모두 모아서 알칼리 가수분해(加水分解)로 PN의 총지방산(總脂肪酸) 조성(組成)을, pancreatic lipase로 1,3 위치(位置)에 결합선(結合敾)한 지방산(脂肪酸)의 조성(組成)을 조사(調査) 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결과(結果)로 부터 구성(構成) 트리그리셀리드 분자종(分子種)을 산출(算出)하였더니 다음과 같은 결과(算出)를 얻었다. 1) 종실유(種實油)는 투명(透明)한 액체(液體)로 그 함량(含量)이 73.5%였으며, 그 중 트리글리세리드가 94.8%, 극성(極性) 지질(極性)이 2.0%, 탄화(炭化) 수소(水素)가 1.8%였다. 2) $AgNO_3$-TLC로 트리글리세리드를 분획(分劃)하였더니 5개의 획분(劃分)을 얻었으며, 대부분(大部分)의 트리글리세리드가 이중(二重) 결합선(結合敾) 3${\sim}$5개인 band 2와 band 3에 80% 이상 존재(存在)하였다. 3) $AgNO_3-TLC$에서 얻은 각 획분(劃分)은 모두가 HPLC상에서 PN 46, 48 및 50으로 나누어졌으며 전체(全體) 분획(分劃)에서 PN 48이 78.13%로 제일 많았으며, 다음으로 PN 50이 12.04%였으며, PN 46이 9.83%였다. 4) 전체(全體) 트리글리세리드 분자종(分子種) 중에서 0.1mol%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분자종(分子種)이 43종(種)이었으며, OOO와 POO가 각각 39.8mol%와 25.8mol%로 제일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OPO가 5.5 mol%, OOL가 4.8 mol%, POS가 3.9mol%, SOO가 3.5mol%. POL이 3.0mol%였다. 또 동백종실유(冬栢種實油)에 존재(存在)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분자종(分子種)의 조성(組成)은 1,3-random, 2-random 분포설(分布說)에 따라 구성(分布說)되어 있었다.

Sulfamethoxypyridazine의 결정 및 분자구조 (The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s of Sulfamethoxypyridazine)

  • 이영자;박영자
    • 대한화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19-227
    • /
    • 1981
  • Sulfamethoxypyridazine, $C_{11}H_{12}N_4O_3S$의 결정 및 분자구조를 X-선 사진 회절법으로 구성하였다. 결정구조는 직접법으로 밝혀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 하였으며 2615개의 회절 반점에 대한 최종 R값은 0.085이었다. 비대칭단위내의 분자 두개 A와 B는 S-N(2) 결합에 대한 형태가 서로 다른 형태 이성질체를 이루며, N(2A)H${\ldots}$N(3B)와 N(2B)H${\ldotst}$O(1A) 수소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벤젠과 피리다진 고리의 면들이 이루는 각은 분자 A에서는 $89^{\circ}$, 분자 B에서는 $77^{\circ}$이다.

  • PDF

ORION A의 TRAO CO 관측과 별탄생의 새로운 실마리

  • 김영식;김광태
    • 천문학회보
    • /
    • 제36권2호
    • /
    • pp.110.1-110.1
    • /
    • 2011
  • 오리온 A 분자운은 별탄생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영역이다. 때문에 분자운 연구를 통해서 별탄생을 연구하기에는 최적의 곳이다. 특기할 것은 Orion A에는 필라멘트 구조가 있다는 점이다. 필라멘트는 전형적으로는 길이 4.8pc, 너비 1.4 pc 로 제시되었다(Nagahama et al. 1998). 많은 미지의 조건들 가운데 필라멘트 구조는 별탄생에 대한 새로운 조명을 던져주는 데, 가령 분자운이 수축, 분열하며 작은 덩어리를 만드는 과정에 이런 기다란 구조가 별탄생에 어떤 과정에서 나타나며 이것이 별탄생이 어떤 효과를 발생하는지 연구되어야 하는 문제들이다. 대덕전파안테나의 1분의 분해능(Channel resolution 63 KHz/ Band Width 25 MHz) 의 12CO, 13CO(J=1-0) 분자선 관측으로 필라멘트를 이전 연구보다 자세하게 관측하여 이것 안에 있을 것으로 보이는 substructure들 연구하고자 한다. 관측영역은 적경: 5h 32m ~ 5h 37m, 적위: $-5^{\circ}$ 14' ~ $-5^{\circ}$ 37'으로 ($1^{\circ}{\times}1^{\circ}$) 영역을 관측하였다. 그 결과 필라멘트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약 0.7pc,약 $1000\;M_{\odot}$의 덩어리들이 이전관측에서 보여진 X자형태가 아니라 일자형태로 분포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측된 최소덩어리는 star cluster mass이고 stellar size 의 덩어리는 별탄생 과정 이후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 관측으로 확인된 덩어리들의 물리적인 성질과 분포를 깊이 연구해 보고자 한다. 향후 Orion A 전체를 추가로 관측하고자 한다.

  • PDF

에티렌디암모늄 비스(파라-메틸벤젠슬폰네이트) 수화물의 결정 및 분자구조 (The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 of Ethylenediammonium bis (P-Methylbenzenesulfonate) Monohydrate)

  • 안중태;김을산
    • 대한화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35-340
    • /
    • 1985
  • 에티렌디암모늄 비스(파라-메틸벤젠슬폰네이트) 수화물, $C_2H_{10}N_{22}^{+2}{\cdot}(C_7O_3H_7S^-){\cdot}H_2O$의 결정구조를 X-선 회절법에 의하여 결정하였다. 결정은 단사축계이며 공간군은 $P2_1$, 단위세포 내에는 2개의 분자가 들어 있으며 그의 단위세포상수는 a = 12.649 (2) ${\AA}$, b = 7.727 (1) ${\AA}$, c = 11.295 (2) ${\AA}$, ${\beta}$ =111.8(1)$^{\circ}$이다. 분자구조는 Mo-K${\alpha}$선을 이용하여 측정한 1134개의 회절반점에 대하여 직접법에 의하여 풀었으며 신뢰도인자는 6.0%이다. A 및 B로 된 2개의 파라-메틸벤젠슬폰네이트는 에틸렌디암모늄이온과 수소결합에 의하여 짝을 이루고 있다. B쪽에 있는 슬폰네이트기는 그의 위치가 두 곳으로 퍼져 있다. 모두 6개의 수소결합이 있으며 이들중 4개는 에틸렌디암모늄이온과 스폰네이트기 사이의 결합이며 나머지 2개는 물분자와 연결되어 있다.

  • PDF

3-nitro-1,2,4-triazol-5-one의 Yb 착물 구조 (Structure of Yb Complex with 3-nitro-1,2,4-triazol-5-one)

  • 김광주;김재경;오기환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98-206
    • /
    • 2001
  • X-선 /회절법으로 3-nitro-1,2,4-triazol-5-one(NTO)와 Yb의 금속착물인 $[Yb(NTO)_3(H_2O)_4].5H_2O$의 결정구조를 조사하였다. 결정계는 단사정계, C2/c, a=36.925(2)${\AA},$ b=6.6770(4)${\AA},$ c=25.6376(15)${\AA},$ ${\beta}=130.978(1)^{\circ},$ V=4772.0(5)${\AA}^3,$ Z=8, $D_c=1.952 \;Mg/m^3$ 이다. 회절반점들의 세기는 CCD 면적 검출장치를 장착한 Bruker SMART diffractometer로 얻었으며 Mo $K\alpha$ X-선을 사용하였다. 분자구조는 직접법으로 풀었으며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다. 최종신뢰도 R값은 4727개의 독립회절반점으로 335개의 파라메타에 대하여 0.0424 이었다. 4개의 배위 물분자와 NTO 음이온의 3개 카르보닐기는 pentagonal bipyramid를 이루며 $Yb^{3+}$ 양이온과 연결되어 있고 또한 5개의 물분자가 결정수의 형태로 분자구조에 포함되어 있다.

  • PDF

양자점 태양전지구조내 결함상태와 광전변환 특성인자와의 상관관계 분석

  • 이경수;이동욱;김은규;최원준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29.2-329.2
    • /
    • 2014
  • 지난 수년간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높이기 위해 자가 조립된 InAs 또는 GaSb와 같은 양자점을 GaAs 단일 p-n 접합에 적용하는 연구를 개발해 왔다. 그러나 양자점의 흡수 단면적에 의한 광 흡수도는 양자점층을 수십 층을 쌓으면 증가하지만 활성층에 결함을 생성시킨다. 생성된 결함은 운반자트랩으로 작용하여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감소시킨다. 본 실험에서는 양자점이 적용된 태양전지와 적용되지 않은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을 비교하고, 깊은준위 과도용량 분광법을 이용하여 결함상태를 측정 및 비교함으로써, 활성층 내부에 생성된 결함이 광전변환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소자구조는 분자선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먼저 n+-형 GaAs기판위에 n+-형 GaAs를 250 nm 증착한 후, 도핑이 되지 않은 GaAs활성층을 $1{\mu}m$ 두께로 증착하였다. 마지막으로 n+ 와 p+-형 GaAs를 각각 50, 750 nm 증착함으로써 p-i-n구조를형성하였다. 여기서, n+-형 GaAs 과 p+-형 GaAs의 도핑농도는 동일하게 $5{\times}1018cm-3$로 하였다. 또한 양자점을 태양전지 활성층에 20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p-i-n 태양전지 와 양자점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은 각각 5.54, 4.22 % 를 나타내었다. p-i-n 태양전지의 개방 전압과 단락전류는 847 mV, 8,81 mA이며 양자점 태양전지는 847 mV, 6.62mA로 확인되었다. 태양전지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소자구조 위에 Au(300nm)/Pt(30nm)/Ti(30nm)의 전극을 전자빔증착장치로 증착하였으며, 메사에칭으로 직경 $300{\mu}m$의 태양전지 구조를 제작하였다. 정전용량-전압 특성 및 깊은준위 과도용량 분광법을 이용하여 태양전지의 결함분석 및 이에 따른 광전변환 특성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논의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