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열과정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8초

우렁쉥이 배발생 과정에서 유도신호와 중배엽 형성 위치

  • 김길중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75-276
    • /
    • 2003
  • 인간과 같은 척삭동물문에 속하는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의 유생은 척추동물의 체제를 매우 단순화시킨 구조를 하고 있다 (Nishida, 1997). 유생은 약 10여종의 세포들로 구성되며, 미부 중앙에 척삭과 그 위에 신경관의 원형 (prototype)을 갖는다. 모든 배(embryo)들은 초기 발생과정에서 언제나 동일한 세포분열과 발생운명 양식을 나타낸다. 또한, 해부현미경을 이용하여 수정란으로부터 초기 원장배에 이르기까지 원하는 하나의 할구만을 분리, 제거 및 재결합하는 등의 micromanipulation실험이 가능하다. (중략)

  • PDF

쌍구흡충(Paramphistomum cervi)에서의 정자형성과정 (spermatogenesis in Paramphistomum cervi)

  • 정계헌;박종안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5-65
    • /
    • 1995
  • 소의 위에 기생하는 쌍구흠충(Paromphistomum cewi)에서의 정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발생중인 모든 세포들은 중앙에 있는 세포질로부터 각 세포들로 이어지는 세포간교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어 분열과 분화의 동시성을 위한 영양계를 이루고 있었다 정원세포들은 4세포기까지이며 모두 기정막에 붙어 있었다. 일차정모세포는 8세포, 이차정모세포는 16세포가 영양계를 이루었고, 정세포는 32세포가 영양계를 이루었으며 이 상태에서 변태를 진행하였다 성숙한 정자의 머리는 나사모양이고 첨체는 형성되지 않았으며 2개의 축사를 가지고 있었다 축사의 단면에서 미소관의 배열상태는 9치 유형이었다.

  • PDF

초음속기체-금속액체 분사기의 미립화 과정에 대한 수치해석 (Numerical Study on the Atomization Process of a Supersonic Gas-Metallic Liquid Atomizer)

  • 황원섭;김귀순;최정열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593-60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근접연계방식의 초음속기체 금속분말 미립화장치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액체금속의 미립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1, 2차 액적분열을 모사하기 위해서 난류 모델을 선정하고 VOF(Volume of Fluid), DPM(Discrete Phase Model) 해석을 차례대로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Level-Set function 분포도를 통해 1차 분열액적의 직경을 계산할 수 있었으며 이 데이터를 DPM 해석에 반영해 도메인 출구에서 수집된 입자들의 최종직경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유체의 물성치 변화가 압력스월노즐 분무의 속도와 입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Fluid Properties on Velocity and Size of Droplets from Pressure-Swirl Nozzles)

  • 최윤철;손종원;차건종;김덕줄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D
    • /
    • pp.909-914
    • /
    • 2001
  • Fluid properties which are most commonly used to evaluate spray atomization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because they affect velocity and size distribution of drople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orporate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in atomization process of industrial etching spray and how each of them affects the design of precise pressure-swirl nozzle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different viscosity and density of fluid. The macro characteristics of liquid spray, such as the spray angle and shape were captured by PMAS and the micro characteristics of liquid spray, such as droplet size and velocity were obtained by PDA. The mean velocity and SMD of droplets were measured along axial and radial direc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viscosity and density resulted in the larger SMD and the lower mean velocity of droplets.

  • PDF

고온.고압의 분위기 조건에서 GDI 분무의 분열 및 증발과정에 대한 수치적 연구 (The Numerical Study on Breakup and Vaporization Process of GDI Spray under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Conditions)

  • 심영삼;황순철;김덕줄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44-5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prediction ability of the atomization and vaporization processes of GDI spray under high-pressure and high-temperature conditions. Several models have been introduced and compared. The atomization process was modeled using hybrid breakup model that is composed of Conical Sheet Disintegration (CSD) model and Aerodynamically Progressed TAB(APTAB) model. The vaporization process was modeled using Spalding model, modified Spalding model and Abramzon & Sirignano model. Exciplex fluorescence method was used for comparing the calculat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experiment and calculation were performed at the ambient pressure of 0.5 MPa and 1.0 MPa and the ambient temperature of 473k. Comparison of caldulated and experimental spray characteristics was carried out and Abramzon & Sirignano model and modified Spalding model had the better prediction ability for vaporization process than Spalding model.

닭에서 2배수성 난자의 생성에 관한 연구 (Induction of the Diploid Ovum in Chicken)

  • 여정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7-71
    • /
    • 1988
  • 백색 Leghorn 암탉의 난자생성과정 중 감수분열을 억제하여 2배수성 난자(2n)의 생산에 근거한 다배교성 가축생산과 능력개양의 기초연구인 본 실험에서 감수분열시기는 배난 전 2~4시간이고 이때에 체중 kg당 0.3mg의 TEM(Tri ethylene melamin)을 복강에 주입하여 수정율 38%의 계란을 얻었고 이들 중 66%가 TEM의 영향으로 2n 의 난자가 생성되어 정상정자와의 결합으로 3배수성(3n)의 배아로 나타났다.

  • PDF

비증발 디젤분무의 분열과 미립화 과정의 가시화 (Visualization of Breakup and Atomization Processes in Non-evaporating Diesel Sprays)

  • 원영호;김우태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25-31
    • /
    • 2004
  • Two-dimensional laser visualization methods have been used in the study of breakup and atomization processes of non-evaporating diesel sprays. A single-hole spray injected into a quiescent atmospheric environment was visualized by the LIF(Laser Induced Fluorescence) and scattering technique. The LIF technique could be implemented to take the images which are magnified enough to show the shape of liquid ligaments and small droplets. The spontaneous scattering and fluorescent images of sprays were also taken to investigate the atomization of droplets. In the tip and periphery of a spray. the scattering light is bright and the ratio of fluorescent/scattering intensity is lower. This characteristics indicate the very high number density of small droplets which are well atomized.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에 기생한 Amyloodinium sp.의 성상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eatures of Amyloodinium sp. Parasitized in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 지보영;김기홍;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22
    • /
    • 1998
  • 본 연구는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에 기생한 Amyloodinium sp.의 성상을 알기 위하여 이 기생충의 형태 계측학적인 특징을 조사하는 한편, 지속적인 감염을 유도하여 충체의 발달과 번식 특성 및 병리 조직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기생충의 형태는 크게 기생기(parasitic phase)와 비기생기(nonparasitic phase)로 구분할 수 있었고, 영양형(trophont), 분열형(tomont), 자충(dinospore)의 3단계의 발달과정을 거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방추형 또는 난형인 기생 충체는 색깔이 없었으며, 직경 30-$80{\mu}m$ 크기였다. 성숙한 충체는 크기가 약 $80{\mu}m$ 내외로 체내에 $15{\mu}m$의 둥근 핵과 다수의 식포 및 전분성 과립을 함유하고 있으며, 가근상 돌기가 있는 부착기로 아가미 기저막에 부착해 있었다. 비기생기인 분열형은 80-$90{\mu}m$의 크기로 어체로부터 이탈된 직후 구형의 Cyst wall을 가지고 있던 것이 분열과 함께 Cyst wall의 모양이 사각형으로 변하였으며, 지속적인 2분열로서 감염형을 생성하였다. 8회의 분열로서 생성된 감염형은 $10-15{\times}10-14{\mu}m$의 크기로 전체 형태가 둥글고 양끝이 편평하였으며 체내에 다수의 과립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자충은 2개의 편모(충체 중앙부에 허리띠 모양의 가로 편모와 뒤로 길게 늘어뜨린 세로 편모)를 가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안점은 기생 초기의 충체와 자충에서 관찰되었다.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에 인위 감염을 유도하여 발달과 번식 특성을 확인한 결과, 이 충은 수온 24-$26^{\circ}C$의 어체에서 3-5(평균, 3.75)일만에 성숙하며, 이탈하여 수중에서 3-4(평균, 3.3)일만에 분열하여 256개의 자충을 생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이들 감염어의 아가미 조직은 감염 초기에 뚜렷한 병변을 나타내지 않지만, 감염이 진행되면서 지속적인, 재감염으로 인하여 아가미 상피세포의 과잉 형성을 일으켜 새판이 비후되어 곤봉화되고 결국 감염어는 폐사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미나리 체세포 배발생과정의 해부학적 관찰 (Anatomical Observation of Somatic Embryogenesis in Oenanthe javanica ($B^{L}.$) DC.)

  • Gab Cheon KOH;Chang Soon AHN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323-327
    • /
    • 1995
  • 미나리의 체세포 배발생 과정을 해부학적으로 구명하기 위하여 배발생 기원세포와 캘러스를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배발생 세포는 hematoxylin에 짙은 보라색으로, 비배발생 세포는 safranin에 적색으로 염색되어 광학현미경하에서 쉽게 구별할 수 있었다. 배발생 캘러스는 많은 수의 원배 및 발육중인 배, 비배발생 세포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체세포 배발생은 발육 중인 배나 세포괴의 표피세포에 위치한 배발생 세포의 하나가 분열하거나 세포괴내의 비배발생 세포속에 묻혀 있는 배발생 세포가 분열하여 일어났다. 배발생 과정은 항상 일정한 형태는 아니지만 단세포로부터 일정한 segmentation 과정를 거쳐서 배발생이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과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에서 배발생 세포는 비배발생 세포에 비하여 세포질이 조밀하고 핵이 대형이며 amyloplast, 인지질체 및 세포소기 관들이 많으며 액포가 없거나 매우 작았다. 이들 세포들은 두터운 세포벽에 의하여 주위의 비배발생 세포와 분리되어 있으며 세포윤곽은 둥글었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배발생캘러스는 외부가 그물이 씌워진 형태의 구형의 다양한 크기의 배들과 비교적 크기가 큰 비배발생 세포들이 혼재하였다. 한편 비배발생능 캘러스는 구성세포가 크고 외부에는 gelatin같은 물질로 덮여 있었다.

  • PDF

방추사와 연결되지 않은 단 하나의 키네토코어가 세포분열의 속도를 늦추는 기전 (Delay in the Cell Cycle by a Single Unattached Kinetochore)

  • 김태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1-166
    • /
    • 2022
  • 세포의 유사분열 과정에서 Spindle Assembly Checkpoint (SAC)는 키네토코어와 방추체의 미세소관의 연결을 확인하여 오류 없이 염색체 분열이 진행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SAC는 30년이 넘는 오랜 기간 동안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었다. 하지만 단 하나의 연결되지 않은 키네토코어가 SAC를 어떻게 활성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그 기작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SAC의 핵심 단백질은 Mad1, Mad2. Mad3 (상위 진핵세포에서는 BubR1), Bub1, Bub3, Cdc20를 포함하는데, 이 단백질 모두 SAC의 활성화에 필요하다. SAC의 활성화에 핵심적인 단계는 미세소관과 연결되지 않은 키네토코어에서 Mad2과 Cdc20가 결합하여 복합체를 만드는 것인데, 이 과정은 화학반응에서 쉽게 일어나지 않는 반응이다. Mad2와 Cdc20가 어떻게 키네토코어로 갈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었지만, 어떻게 Mad2과 Cdc20가 결합하여 복합체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최근 다른 실험 방법을 이용한 두 개의 다른 논문들이 어떻게 미세소관과 연결되지 않은 키네토코어에서 Mad2-Cdc20 복합체를 형성하는 지에 대한 핵심적인 기작을 밝혔다. 이 연구들은 단 하나의 연결되지 않은 키네토코어가 SAC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것에 대한 가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AC 활성화에 중요한 주요 기작들을 정리하고, SAC에 과한 최신 연구들을 자세히 살펴본 후, 이 결과들이 세포 분열 연구 분야에 있어서 어떻게 기여했는지 논의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