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산 에너지

Search Result 1,25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연료전지의 기술현황

  • 성준용
    • Journal of the KSME
    • /
    • v.30 no.6
    • /
    • pp.555-563
    • /
    • 1990
  •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은 발전효율이 높고, 공해물질이 없는 등 많은 장점을 갖는 에너지생산 방 식에 따라 장래의 이용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 현재 연구개발에 많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미국. 일본에서는 인산형 연료전지의 상업화를 위해 수 MW급의 발전시스템의 신뢰성 실험을 진행 중에 있으며 용융탄산염형 연료전지,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의 기초연구를 거의 완성한 단계에 있다. 국내에서도 연료전지발전은 화력발전의 한계, 발전연료의 다원화에 따른 천연가스의 수 입이용이 대폭 확대될 전망임에 따라 이용의 필요성이 많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많은 섬과 산간지방 등 고립분산지역을 갖고 있는 국내 여건으로 볼 때, 송전. 배전시설이 필요 없는 온사이 트형 연료전지 발전설비가 설치될 경우 많은 이점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동 분야의 연구개 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전력은 국가의 핵심에너지로서 전력생산기술의 자립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우리나라도 선진화되면서 새로운 첨단기술의 도입에 의한 에너지생산기술의 확보가 선진 국들의 기술보호정책에 의해 장애를 받고 있다. 연료전지기술의 경우도 일본이 동 분야를 국 책과제로 지정한 뒤 각 기업이 연구개발에 나서고 있는데, 이미 1980년대 초에 미국과 기술제휴 를 하면서 아시아지역 전체에 대한 전매권을 확보한 상태이며, 다른 타국과의 기술제휴 및 기 술이전을 거부한 채 실용화를 위한 경제성 확보의 시기를 기다리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극복하기 위해 집중적인 투자를 확대하여 독자적인 기술을 확보해야한다.

  • PDF

Bi-Directional Transmission Assessment Study of Angular Solar Selective Panels (프리즘창의 이차원 투과계수 평가에 관한 연구)

  • Hashmi, Masaood;Akhter, P.;Kim, Ki-Se;Kang, Eun-Chul;Lee, Euy-Joon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24 no.3
    • /
    • pp.55-63
    • /
    • 2004
  • 빛이 입사각별로 태양투과율이 제어되어지는 첨단 창과 같은 물체를 통과할 때 투과되는 성분은 직달투과와 산란투과성분으로 볼 수 있다. 직달투과는 물체를 통과하면서 일정한 방향으로 굴절되어 투과되는 성질을 말하고, 산란투과는 직달투과를 제외한 나머지 방향의 성분들의 형태를 말한다. 이러한 첨단 창의 냉난방부하에 미치는 에너지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산란투과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고, 이에 대한 물리적 변수는 입사각, 출력각, 양방향 투과율 분산함수인 BTDF로 정의된다. 본 논문에서는 3개의 서로 나른 첨단 창 (1) $42^{\circ}/5^{\circ}$ 프리즘 창 판넬, (2) 레이저 컷 판넬 (3) $45^{\circ}$ 프리즘 3M 필름의 BTDF 데이터 획득을 위한 실험 방안을 소개하고, 실험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식과 비교 검증을 하였다. 따라서 이 검증된 방안을 이용하여 지역별 냉난방 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입사각별로 태양 투과율 제어 판넬을 선정할 수 있게 되었다.

Energy-Efficient Uplink Power Control Based on the Flocking Model in Cellular Networks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플로킹 모델 기반 에너지 효율적인 상향링크 전력 제어)

  • Choi, Hyun-H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41 no.10
    • /
    • pp.1186-1189
    • /
    • 2016
  • A distributed uplink power control algorithm based on flocking model is proposed to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of mobiles station (MS) in cellular networks. As each bird in a flock matches its velocity with the average velocity of the adjacent birds, each MS in a cell matches its uplink rate with the average uplink rate of the co-channel MSs in adjacent cells by controlling its transmission power.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effectively reduces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MS, while maintaining a low outage probability, which eventually improves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MS.

Compensation of Voltage Variation Using Active Power-Dependent Reactive Power Control with Multiple VRE Systems Connected in a Distribution Line (배전 선로에 연계된 다수대의 변동성 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의 출력 유효전력 변동에 따른 무효전력 제어를 이용한 전압 변동 보상)

  • Lee, Sang-Hoon;Kim, Soo-Bin;Song, Seung-Ho
    • Journal of Wind Energy
    • /
    • v.9 no.4
    • /
    • pp.47-56
    • /
    • 2018
  • This paper introduces an active power dependent standard characteristic curve, Q(P) to compensate for voltage variations due to the output of distributed generation.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control method of grid-connected inverters by comparing and analyzing voltage variation magnitude and line loss according to the compensation method. Voltage variations are caused not only by active power, but also by the change of reactive power flowing in the line. In particular, the system is in a relatively remote place in a coastal area compared with existing power plants, so it is relatively weak and may not be suitable for voltage control. So, since it is very important to keep the voltage below the normal voltage limit within the specified inverter capacity and to minimize line loss due to the reactive power. we describe the active power dependent standard characteristic curve, Q(P) method and verify the magnitude of voltage variation by simulation.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ntrol method and line loss are compared and analyzed.

Novel Fiber Optic Microbend Sensor for the Measurement of Cable's Curvature (케이블의 곡률 측정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광섬유 마이크로벤드 센서 개발)

  • Oh, Sang-Woo;Choi, Hyeuk-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2 no.4
    • /
    • pp.289-295
    • /
    • 2009
  • In this paper the measurement method of cable's curvature using fiber optic microbend effect and its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The novel structure of fiber optic microbender, which can generate microbend effect on the optical fiber in the case of both directional bending of cable, was designed. Through the experiment using suggested sensing system, the increasing trend of attenuated optical power was found out under the range from $0.1\;cm^{-1}$ to $0.4\;cm^{-1}$ of curvature. To the multi and distributed measurement, using OTDR, the scattered optical pulses at the bending points a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 which was measured by optical power meter.

  • PDF

Sintering and Creep Characteristics of the Ni-Al Alloy Anode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s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용 Ni-Al 합금 anode의 소결 및 creep 특성)

  • Oh, In-Hwan;Han, Jae-Il;Yun, Seong Pil;Lim, Tae Hoon;Nam, Suk Woo;Ha, Heung Yong;Hong, Seong Ah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13 no.1
    • /
    • pp.24-33
    • /
    • 2002
  • 기존 Ni-10w/o Cr 연료극과 성능은 대등하면서 creep 저항성이 뛰어난 연료극을 제조하기 위하여 Ni-5w/o Al 합금 연료극의 제조 공정을 연구하였다. 소성 분위기에 따라 완전산화 방법과 부분산화 방법으로 나누어 제조된 전극들의 미세구조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실험 결과 부분산화 방법으로 제조한 Ni-5w/o Al 합금 연료극이 가장 우수한 소결 및 creep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연료극이 산화물 분산강화 구조를 갖기 때문으로 부분산화 방법으로 제조한 Ni-5w/o Al 합금 연료극을 장착한 단전지의 경우 기계적 안정성 및 전극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Change of Human Hair Shaft Following Radiation with Ultraviolet (자외선 조사에 따른 모발의 물리화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 Chang, Byung-Soo;Na, Su-Kyong;Lee, Gui-Yeong
    • Applied Microscopy
    • /
    • v.36 no.2
    • /
    • pp.109-118
    • /
    • 2006
  •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amaged hair by irradiation of ultraviolet-B (UV-B) have been investigated by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range of irradiation of hair irradiated for expectative 6 hours, 12 hours, 24 hours and 48 hours with stimulated ultraviolet ray. The treated hairs showed characteristic morphological damage pattern in the cornified cell of matrix and the cuticle following time past. The various sized vacuoles in the endocuticle of the cuticular cells was form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ameter of cuticular cell were observed in terms of tranverse swelling by formation of vacuoles. The hair cortex and matrix undergo long term exposure to UV-B radiation. The macrofibrils of cortex appeared to be affected most by UV-B, although the morphology and volume of melanin granule was not changed. The physicochemical destruction of hair matrix and cuticular cells is largely accelerated by long term irradiation of UV-B.

Effects of the Graphene Oxide on Glucose Oxidase Immobilization Capabilities and Sensitivities of Carbon Nanotube-based Glucose Biosensor Electrodes (그래핀 옥사이드가 탄소나노튜브기반 바이오센서 전극의 포도당 산화효소 담지능및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

  • Park, Mi-Seon;Kim, Do Young;Jung, Min-Jung;Lee, Young-Seak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6 no.1
    • /
    • pp.47-52
    • /
    • 2015
  • To improve both the GOD immobilization capability and sensitivity of MWCNTs-based biosensor electrode, the electrode was prepared by adding different quantities of GO. The addition of GO increased hydrophilicity and the surface free energy of electrodes for glucose sensing as well as the dispersion of MWCNTs. In addition, the GOD immobilization capability was enhanced and the sensitivity was improved up to $121{\mu}A\;mM^{-1}$ even though having a high $K_m$ value (0.105) when adding 0.05 g GO to 0.05 g MWCNTs. These experimental results wer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improvement in dispersion stability for MWCNTs, hydrophilicity, and surface free energy of electrode surface due to the addition of GO affected GOD immobilization capability.

Development of Natural Gas Steam Reformier for Small Scale On-Site Production of Hydrogen (소규모 현장 생산 방식에 의한 수소 제조용 천연가스 수증기 개질기 개발)

  • Seo Dong Joo;Seo Yutaek;Seo Yong Seog;Park Sang Ho;Jeong Jin Hyeok;Yoon Wang Lai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6a
    • /
    • pp.264-267
    • /
    • 2005
  • 수소의 소규모 분산 생산 기술은 본격적 인 수소 인프라가 도입되기 전에 연료전지 자동차의 수소 충 전용이나 분산 발전형 연료전지의 수소 공급을 위해 필요하다. 생산 용량은 수소 기준으로 $10\~100 Nm^3/hr$ 정도로 현재로선 천연가스의 수증기 개질법이 가장 경제적인 공정으로 알려져 있다. 소규모 생산에 따른 열효율 저하를 줄이 기 위해 단위 공정들이 통합된 컴팩트 개질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핵심 기술인 컴팩트 리포머의 국산화 기술 확보를 위하여 $20 Nm^3/hr$용량의 동심관형 리포머를 설계, 제작하였다. 내부구조는 제작의 단순화를 고려하여 중첩된 동심관이 배열되었고 압력 손실과 열웅력 발생을 억제하도록 유로를 배치하였다. 수증기개질 반응에 필요한 반응열은 리포머 본체에 부착된 버너를 이용하여 공급하였다. 성능 측정을 위한 부속 기기로 상온 흡착식 탈황기, 폐열 회수형 수증기 발생기, 반응물 예열을 위한 열교환기, 생성 가스 응축기를 설계 제작하여 전체 리포밍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반응 온도 $680\~720^{\circ}C$, 탄소 대 수중기 비(S/C ratio) $2.7\~3.2$ 조건에서 수증기 개질 반응을 수행하였다. 해당 반응 조건에서 메탄 전환율 $89\%$ 이상, 저위 발열량 기준 개질 열효율 $70\%$ 이상을 달성하였고 개질 생성가스 내 수소의 최대 유량은 $23.4Nm^3/h$였다. 개발된 리포밍 시스템은 고순도 수소 생산이 필요한 경우, 수소 수율 향상을 위한 고온 수성 가스 전화 반응기를 통합 가능하도록 열교환기 구성을 조정할 수 있으며 용융 탄산염 연료전지와 같이 고온형 연료전지의 경우 $550^{\circ}C$ 이상으로 개질 생성 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향후 리포머 본체의 개질 효율 향상 및 장치 소형화, 부속 기기의 최적화를 통한 전체 리포밍 시스템 개선, 스케일 업 설계를 위한 엔지니어링 설계 패키지 구성을 계획하고 있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arbon Nanofluids for Efficiency Enhancement of Low Temperature Heat Exchanger (저온열교환기 효율 향상을 위한 탄소나노유체의 특성 비교 연구)

  • Park, Sung-Seek;An, Eoung-Jin;Lee, Kyoung-Soo;Park, Youn-Cheol;Kim, Nam-Ji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0 no.3
    • /
    • pp.209-215
    • /
    • 2011
  • In this study, for efficiency enhancement of low temperature heat exchanger,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viscosity of carbon nanofluids and oxidized carbon nanofluids were measured at $10^{\circ}C$ and $25^{\circ}C$, respectively. Carbon nanofluids were made by ultrasonic-dispersing ones in distilled water after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s) mixed Sodium Dodecyl Sulfate (SDS, 100 wt%), Polyvinyl pyrrolidone (PVP, 300 wt%) each. Oxidized carbon nanofluids were made by ultrasonic-dispersing Oxidized Carbon Nanotubes (OMWCNTs) in distilled water. The thermal conductivity of carbon nanofluids was measured by using a transient hot-wire method. The viscosity was measured by using a digital viscometer. As a result, the thermal conductivity of oxidized carbon nanofluids was the highest of those compared and the other carbon nanofluids at the same mixture ratio and temperature, and the viscosity was measured the lowest of those compared and the other carbon nanoflu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