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영양화도

Search Result 23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Prediction and model1ing of changes of freshwater ecoystem (담수역 생태계의 부영양화 및 녹조 연구)

  • 이원호;신윤근;김영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9a
    • /
    • pp.88-90
    • /
    • 2000
  • 새만금 담수호의 생태계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대상해역 인근의 저염수역에서 부영양화 및 미소조류 생태계에 관한 연구를 계획하였다. 이는 새만금호의 미소조류 생태계 변화와 부영양화의 과정을 완화시킬 수 있는 길을 모색하기 위한 3개년 연구계획으로서, 제 1년차 연구의 현장 조사 및 자료분석 결과를 보고한다. (중략)

  • PDF

Red Tides in Mariculture Farms in Puksin Bay, Korea (북신만의 적조에 관하여)

  • CHO Chang-hwan
    • Journal of Aquaculture
    • /
    • v.6 no.2
    • /
    • pp.63-69
    • /
    • 1993
  • Various scales of red tides have frequently occurred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Korean Penninsula since the late 1970's. Because most shellfish and finfish farms in Korea are located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the impacts of red tides on the aquaculture have been increasing significantly. The Puksin Bay is one of the places where red tides have occurred almost every year since the early 1980's. During $1990\~1991$, mass mortalities of aquacultural species by the red tides were recorded. The causative organisms in this period were Leplocylindrus danicu(November '90 and June '91), Skeletonema costatum(December '90 and August '91), Nitzschia seriata(August '91), and Gymnodinium splendens(July '91). The maximum chlorophyll-a content was $265.7{\mu}g/l$ in the tides. Frequent red tides are associated with the eutropication of the bay. Some relationships between red tides' occurrence and europhication are herein discussed.

  • PDF

Impact of extreme annual weather variability on soil moisture and nitrogen age (가뭄과 홍수의 연간 변동성이 토양 수분 및 질소 나이에 미치는 영향)

  • Woo, Dong Kook;Kumar, Pravee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70-70
    • /
    • 2021
  • 강수의 변동성 중 특히 가뭄과 홍수의 급격한 연간 변화는 기후변화로 인하여 근래에 많이 발생하고 있다. 가뭄이 발생한 이후 홍수가 발생하거나 그와 반대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날씨 편달(weather whiplash)라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토양에 매설되어 수분을 저감하는 배수시설로 인하여 토양 수분 변동 및 무기질소 손실에 지배적은 영향을 준다. 이러한 질소 손실은 부영양화를 일으켜 생태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토양 무기질소는 토양에서 체류시간이 길기 때문에 강우 변동성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작용을 특정하고 분석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이번 연구에서는 생태수문모형과 생물지질모형을 결함한 3차원 모델인 Dhara를 이용하여 토양 배수시설에서 유출되는 무기 질소의 농도 및 나이를 분석하였다. 여기서 나이란 화합물이 발생 하여 다른 형태로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집중적으로 관리되는 경작지에 Dhara 모형을 적용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토양 수분과 질소의 나이를 분석한 결과 반응 화합물인 질소의 경우 토양 수분(비반응 화합물)과 비교하여 이전의 강우상태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가뭄이후 홍수가 발생할 때 배수시설에서 발생하는 질소의 유출이 그 반대 기상 환경인 홍수 이후 가뭄이 발생할 때 보다 더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배수 흐름의 경우 질소의 거동과 반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질소유출 저감하여 강 및 바다에서 부영양화를 감소하기 위해 강수의 변동성과 연계하여 분석한다면 새로운 질소유출 저감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광양만 종합개발에 따른 섬진강 하구역의 해양생태변화 1. 엽록소 $\alpha$량의 시ㆍ공간적 분포 특성

  • 윤양호;한명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16-218
    • /
    • 2001
  •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광양만 및 인근해역은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에 의해 다량의 생활하수와 산업배(폐)수가 유입되면서 매우 빠르게 부영양화가 진행되게 되어 급격한 생태계의 천이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연안해역의 개발과 인위적 부영양화 과정에 따른 생태계 천이과정을 추구하는 한가지 수단으로 외부 환경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시ㆍ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여 보았다. (중략)

  • PDF

겨울철 행암만의 수질과 표층퇴적물 환경특성

  • 김평중;박종수;박영철;이성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55-257
    • /
    • 2001
  • 진해 행암만은 반폐쇄성 내만으로서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의 유입에 의한 부영양화가 매우 심화된 해역으로서 겨울철에도 빈번하게 적조현상이 일어나는 해역이다. 그러나 매년 봄철부터 가을철까지는 부영양화 및 적조발생에 관한 조사는 많이 행하여 왔으나 진해만 및 마산만을 연구하기 위해 한 두 정점에 국한하여 조사가 이루어졌을 뿐이다. 특히, Park (1975)의 연구 이후 행암만에 대한 상세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며, 해수중 용존중금속 및 표층퇴적물중의 중금속농도분포도 거의 밝혀지지 않는 실정으로서 겨울철 행암만 수질과 표층퇴적물 중의 환경특성을 파악할 목적으로 본 조사를 수행하였다. (중략)

  • PD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Diatom in the Trench Sediments Around Bangudae Petroglyphs, Ulsan (울산 반구대 암각화 인근 트렌치 퇴적물 내 규조의 환경 특성)

  • Bak, Young-Suk;Ryu, Choon Kil;Cho, Mi-Soo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7 no.1
    • /
    • pp.11-20
    • /
    • 2016
  • Diatoms were studied from the trench sediments around Bangudae petroglyph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Sayeon dam in Ulsan. There were no diatoms produced from the sediments before the dam construction while the diatoms were produced from the sediments (depth of trench 228 cm)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dam. Seventy-five species of diatoms of 27 genera were identified in the trench sediments. The number of diatom valves per gram of dry sediment ranged from $0.2-5.8{\times}10^5g^{-1}$. Four diatom assemblage zon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ritical taxa as follows: assemblage zone I, from 228 to 150 cm; assemblage zone II, from 150 to 122 cm; assemblage zone III, from 122 to 62 cm; and assemblage zone IV, from 62 to 0 cm. In addition, based on the environmental indicator species, a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measure eutrophication, acidity and $Cl^-$ value. Results of the eutrophication and $Cl^-$ values were as follows. Based on the lower 74 cm horizons, the degree of eutrophication middle-high to $Cl^-$ values were lower, upper horizons appeared to eutrophication in the low, and $Cl^-$ values were high. Acidification from low horizons of 122 cm showed a neutral-alkaline degree whereas it exhibited acid in the upper part. In particular, regarding nutrients (TP and TN), the index taxa showed a higher TP value at 175 cm while higher TN value at 62 cm.

Estimation of change in primary production of rivers and contribution of organic matter by discharge volume of Paldang Dam (팔당댐 방류량에 의한 한강의 일차생산량 변화와 유기물 기여도 산정)

  • Ui Seok Kim;Eun Mi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18-218
    • /
    • 2023
  • 일차생산은 화학합성 또는 광합성에 의하여 무기탄소가 유기물질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강은 하류로 갈수록 유속이 느리지만 수심이 깊어져 부착조류가 서식하기 쉽지 않은 환경이기에 대부분의 일차생산자는 식물플랑크톤이다. 선행연구와 비교 결과, 한강 본류의 부영양화가 여름철에 발생하고 있으며 팔당댐 방류량과 지류의 유입에 의한 유기물 증가로 하천 내 1차 생산의 기여도가 증가하고 있고, 이는 유기물 근원을 판정하여 수질오염에 대한 처리대책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강본류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력을 조사하고, 유기물의 분해속도를 측정하여 당해 유역의 유기물 수지를 추정하여 한강 고유의 특성과 지류에서 기인할 수 있는 부영양화 기여도를 파악하여 부영양화에 의한 유기물 증가로 발생할 수 있는 수질오염을 예측하고자 한다. 조사유역은 한강의 팔당댐 방류구로부터 신곡수중보까지 전 구역 중 총 12개의 지점을 선정하였다. 기간은 2021년 5월부터 2022년 3월까지 계절별 2회로 총 8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한강본류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의 산소소비법을 통해 일차생산력과 유기물 분해속도를 조사하여 내부기원 유기물을 측정하였고, 한강본류로 유입되는 4개의 유입하천에서는 COD를 조사하여 외부기원 유기물을 측정하여 한강에서 발생하는 총유기물량을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하류 지점으로 갈수록 일차생산량이 점차 중가하였으며 지천이 유입되는 안양천, 탄천지점에서 유기물분해 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이는 수온 상승으로 인한 미생물 활성도가 높아져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량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여름 조사 전 강우에 의한 팔당댐 방류량 증가로 인해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다른계절에 비해 비교적 낮았지만, 호수의 부영양호 기준보다 높게 나타나 부영양한 수체로 판단하였다.

  • PDF

Effects of Water Quality Measurement on Mosquito Activity Index (수질 측정 성분이 모기 활동 지수에 미치는 영향)

  • Sung Jin Kim;Seung Woo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165-166
    • /
    • 2023
  • 물환경정보시스템에서 하천의 수질을 측정한 자료를 대상으로 DMS(Digital Mosquito Monitoring System)가 설치된 위치와 수질 측정지 위치가 가까운 4개 지점에 대한 수질 측정 성분과 모기지수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수질 기준 외 측정 성분과 모기지수의 상관관계는 총질소(T-N), 용존총질소(TDN), 인산염인이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인산염인은 모기지수와 양적 선형관계를 이루는데, 인산염은 수중에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성분 중 하나다. 수질 측정지는 비료의 영향보다는 오수의 유입으로 인산염이 과잉공급되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매년 바뀌는 모기지수 산출식의 지연일자 데이터에 부영양화 지수를 넣음으로써 모기지수의 정확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