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부관계향상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1초

부부관계 향상프로그램 개발연구 (A Study on The Marital Relationship Enrichment Program)

  • 유영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2호
    • /
    • pp.205-218
    • /
    • 1994
  •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한 가족의 중심체계인 부부 체계의 건전함과 잠재력을 지원하여 부부관계의 향상을 도모하고, 나아가 전체 가족관계를 건강하게 유지.발달시키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한국부부에 적합한 가족생활교육으로서의 부부관계 향상프로그램을 개발하 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및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자료를 근거로 프로그램의 이론적 체계를 마련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1) 선행의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및 부부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분석 평가를 근거로 한국 부부관계향상에 적합한 프로그램 모형을 제시하여, 2) 앞으로의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실시를 위한 단계적 지침 및 방향을 제시하는 것 등으로 구성되었다.

  • PDF

농촌부부의 배우자역할 평가 및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양순미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4년도 제17차 학술대회
    • /
    • pp.247-252
    • /
    • 2004
  • 우리사회에 이혼률이 급증하고(조이혼률 : 1990년 1.1건$\longrightarrow$2002년 3.0건), 가족생활주기 중에 학령기 부부의 결혼만족이 가장 낮다는 연구결과들(서동인ㆍ정현숙, 1994등)이 제기되면서 어느 때보다 가족관계 또는 부부관계의 질적인 향상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Mace(1979) 등은 가족향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부중심(couple-focused)이며 해동중심(action-oriented)이라고 하였다. 더 나가가 부부관계를 평가함에 있어서는 자기역할보다는 배우자역할 평가가 중요하다고 보고 (최규련, 1988; 서광희, 1992)되고 있다.

  • PDF

농촌부부의 배우자역할 평가 및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양순미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4년도 제17차 학술대회
    • /
    • pp.126-133
    • /
    • 2004
  • 우리사회에 이혼률이 급증하고(조이혼률 : 1990년 1.1건$\longrightarrow$2002년 3.0건), 가족생활주기중에 학령기 부부의 결혼만족이 가장 낮다는 연구결과들(서동인ㆍ정현숙, 1994 등)이 제기되면서 어느 때보다 가족관계 또는 부부관계의 질적인 향상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Mace (1979)등은 가족향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부중심(couple-focused)이며 행동중심(action- oriented)이라고 하였다.

  • PDF

노인부부의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onvergence program to improve marital satisfaction of elderly couples)

  • 김인숙;박선희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7-1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노인부부들의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급속한 고령화와 이혼율 증가에 따른 노인부부들의 이혼위기를 극복하고 이혼예방을 위한 기초방안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P시에 위치한 S노인복지관 70세 이상의 읽고 쓰기가 가능한 부부 총 9쌍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노인부부들의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융합 프로그램은 사전검사 61.7점(결혼생활 불만누적)에서 사후검사 32.1점(결혼생활 건강)으로 52%의 결혼만족도 향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관찰기록의 한 질적평가의 결과는 프로그램을 통해 노인부부간의 공동체험과 의사소통이 부부관계를 원만하게 하는 기술을 습득하게 하여 부부의 결혼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그동안 소원했던 노인부부의 관계가 자신이해와 배우자의 이해의 결과로 노인부부의 결혼만족도가 향상되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융합 프로그램은 노인부부들에게 결혼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을 통한 결혼초기 부부의 의사소통 능력 증진에 관한 연구 - 유아기 가족의 부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mmunication Improvement for the Early Marriage through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 방현주;이기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39-54
    • /
    • 2002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which can improve couples' communication skills that serve to enhance their relationships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summary of major result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content of communication program for couples in the early marriage focused on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on enhancement of couples' intimacy and on coping ability for marriage life. 2. The developed program served to communication improvement for couples in the early marriage. Analyzing specifically the results of test before and after, the average scores of sub-areas such as listening, speaking and solving problems were all increased after the program than before the program. Significant differences of sub-areas appeared, either. 3. The developed program contributed to enhancement of couples' mutual understanding and their relationships.

RT를 적용한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Marital Enhancement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 전영자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41-25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arital enhancement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The program consists of 8 session contents: program orientation, need strength profile between husband and wife, quality world and marital life, perception about marital life, comparison between quality world and perceived world, total behavior in marital life,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integration and application.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applying counseling theory (choice theory and reality therapy) to family life education for enhancing a conjugal relationship. In this way, participants of Marital Enhancement Program can experience a therapeutic effect as well as an educational effect.

  • PDF

노년기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Composition of a Marriage Enrichment Program of a Couple of Old Age)

  • 권오균;강금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5호
    • /
    • pp.137-14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o improve old age for marriage and the effect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is to validate. This program of eight to 60 years old elderly couple in 2008 was 8 in the 10 week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rior to the inspection of post-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ld age in conjugal relations, the area between the pre-post meaningful communication efficiency, the couple agreed, and the couple satisfaction, couple came to feel affection, and expression did not show a meaningful difference. The study on the future social welfare and family welfare-related practices and more effective old age, researchers developed a program to improve the couple relationship is important to emphasize is this.

기혼 직장인의 성인애착이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 : 부부관계의 매개효과 (Effects of Adult Attachment of Married Employees on Job Motivation: Mediating Effect of Marital Relationship)

  • 정지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85-20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직장인의 성인애착, 직무동기, 부부관계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남 지역의 기혼직장인 370명을 연구 대상으로 2016년 9월 10일~10월 14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 Pearson 상관관계,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연령대에 따라 애착회피, 부부관계, 직무동기, 학력에 따라 애착회피, 부부관계, 결혼기간에 따라 애착회피, 부부관계, 직책에 따라 직무동기, 가계의 연평균 소득에 따라 부부관계, 근무형태에 따라 부부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애착회피와 직무동기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애착회피와 부부관계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직무동기와 부부관계 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성인애착과 직무동기의 관계에서 부부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애착불안이 직무동기에 주는 간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 내 직무동기,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상담 개입이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개개인의 이러한 특징 또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결혼초기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PREP(Prevention and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을 중심으로- (The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and Its Effects for Couples in the Early Marriage Stage)

  • 유은희;김득성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1호
    • /
    • pp.1-1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the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based on PREP(Prevention and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it for couples in the early marriage stage. To perform this program, six session of time-limited(two hour) were carried out experimental group. and subject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N=6 couples) and control group(N=6 couples). Scales of PREPARE II (PREmarital Personal And Relationship Evaluation), Couple Communication Scales and Commitment Scales were used as pre-post-follow instruments of this study.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 1.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for couples in the early marriage stage has meaningful consequences for the improvement of participants' couple relationship. 2.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had meaningful consequence for the improvement of participants' realistic expectation of marriage,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skills and leisure activities. These positive effects maintained at follow-up. However, it hadn't meaningful consequence for the improvement of participants' marital commitment. 3.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had also meaningful consequence for the improvement of the wives' realistic expectation of marriage,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skills and leisure activities, of the husbands'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skills.

신혼기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 건강가정지원센터 신혼기 부부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The Evaluation of an Education Program for the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of a Newlywed Couple : With a Focus on an Education Program for Newlywed Couples at a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 박수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1호
    • /
    • pp.85-98
    • /
    • 2013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program which can improve the marital satisfaction of newlywed couples. The program was practiced once a week for 4 weeks at K healthy family center and each session lasted for 100 minutes.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were 5 newlywed couples who desired to increase their relationship and marital satisfac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 used the Wilcoxen signed rank test.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increases in the areas of the newlywed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communication efficiency, conflict coping strategies, and self-esteem. In conclusion, the effectiveness and utilization of the program were confirmed. Also, it was verified that the program can be an important tool for strengthening healthy family functioning through a study on newlywed couples in the field of community-based family work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