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교사 협력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8초

ADHD학생 행동관찰 공유시스템 프로토타입 제안 (The Design of Web Base ADHD Stude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Prototype)

  • 박현미;안미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5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1호
    • /
    • pp.131-13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교사-부모간의 원활한 정보 공유를 통해 ADHD학생의 학교 적응과 학업 수행을 도울 수 있는 교사-부모간의 ADHD학생 행동 관찰 공유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제안해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ADHD학생이 통합교육을 효율적으로 받기 위해 전제되어야 할 것이 교사와 부모의 협력인 점과 현재 교육현장에서 교사 부모 협력의 실질적 방안의 요구됨을 확인했다. 선행 연구 자료를 통해 도출한 ADHD학생 행동관찰 공유시스템의 설계전략을 기반으로 스토리보드를 작성하고 교사측면과 부모측면, 그리고 공유측면 시스템 기능으로 분류하여 프로토타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ADHD학생 행동관찰 공유시스템의 개발과 개발된 시스템이 교육 현장에서 어느 정도의 효용성과 이용성을 갖게 될지 검증하는 실증적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 PDF

가정-유아교육기관 간 파트너십 실태와 형성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과 바람: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토대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about the Realities and Formations of Partnership between the Hom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 of Parents and Teachers: Foundation of Warm Educational Communities)

  • 정계숙;견주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03-127
    • /
    • 2015
  • 본 연구는 전반적인 우리 사회 교육기관의 비생명적인 문제에 대한 비판에 터하여 부모와 교사의 가정-유아교육기관 간 파트너십 실태와 형성에 대한 인식과 바람을 살펴봄으로써 종국적으로 유아교육기관을 따뜻한 교육공동체로 만들어 나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현재 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어머니 4명과 현직 교사 4명, 총 8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와 교사가 생각하는 파트너십 실태에 대한 인식은 4가지로 범주화 되었다: 1) '파트너십': 아이의 긍정적 성장과 발달에 필수불가결한 요소, 2) 모호함을 안은 채 수행하고 있는 서툰 파트너십, 3) 진정한 협력자 동반자로서의 자각 부족, 4) 부모-교사 간 협력을 방해하는 외적 문제가 그것이다. 둘째, 가정-유아교육기관 간 파트너십 형성을 위한 부모와 교사의 바람은 5가지로 범주화 되었다: 1) 더 나은 파트너십을 위한 공동체의식 형성, 2) 부모-교사 간 상호 이해를 돕는 공감 능력과 의사소통기술개발, 3) 다양한 부모 유형에 따른 파트너십 증진 방안 고려, 4) 지역사회의 대학과 온라인을 통한 부모교육과 교사교육의 활성화, 5) 가정-교육기관 간 새로운 관계문화 형성을 위한 국가 차원의 지원이 그것이다. 이를 토대한 다양한 방안 모색 및 현장 적용의 노력으로 구축되는 부모(가정)-교사(교육기관) 간 탄탄한 파트너십은 유아교육기관을 생명성이 보지(保持)되는 따뜻한 교육공동체로 구현해나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보육교사의 의사소통 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그리고 가정연계 효능감이 부모-교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 Care Teachers'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eacher Self-efficacy to Enlist Parental Involvement on Parent-Teacher Partnerships)

  • 김유정;박지혜;안선희
    • 아동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71-89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 care teachers and the ways this influences their abilities to promote the parent-teacher partnerships. 266 early child car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ent-teacher partnerships,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were measured by means of The Caregiver-Parent Partnership Scale,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and selected elements of the Teacher Self-efficacy Sca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teacher partnershi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eacher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type and quality of parent-teacher partnerships. In conclusion,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parent-teacher partnerships seems heavily dependent upon the quality and personal abilities an beliefs of early child care teachers.

자폐아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적응능력지각과의 관계 (PARENTAL PERCEPTIONS OF CHILD ADJUSTMENT ASSOCIATED WITH PARENTING STRESS WITH AUTISTIC CHILDREN)

  • 김태련;박랑규;이경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권1호
    • /
    • pp.106-116
    • /
    • 1992
  • 자폐아동을 치료교육하는 데 있어 부모의 치료협력자로서의 역할이 중요하게 대두되는 가운데, 특히 부모가 갖는 아동능력에 대한 지각은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폐아동부모와 정상아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의 정도, 영역을 비교하고, 자폐아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정도에 따른 아동적응능력 지각관계를 자폐아동 부모와 교사평가간의 비교를 통해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자폐아동부모 27쌍, 정상아동부모 28쌍, 교사 4명이며, 부모양육 스트레스척도, 아이버그 아동행동척도, 아동기 자폐행동척도, 사회성숙도검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양육스트레스정도는 자폐아동부모군이 정상아동 부모군보다 현저히 높았다. 둘째, 양육스트레스의 아동영역에서는 자폐아동의 부가 정서와 요구성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자폐아동의 모보다 스트레스가 높았다. 셋째, 양육스트레스의 부모영역에서는 자폐아동부모가 정상아동부모보다 역할제한, 애착, 능력감면에서 스트레스가 훨씬 높았으며, 우울영역을 제외하고 두집단 모두 모가 더 높은 스트레스를 보였다. 넷째, 자폐아동부모의 스트레스정도에 따른 아동능력지각에서 스트레스가 낮은 수준의 부모는 교사보다 아동능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으며, 높은 수준의 부모는 교사의 평가와 일치하고 있었다.

  • PDF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한 유아 인성 발달 영향 요인 연구: 교사 정서적 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Exploring Predictors Affecting Children's Character Development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Focusing on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Support)

  • 신나리;오정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9-8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가 일과 중에 학급 유아를 대상으로 실행하는 정서적 지원 수준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위계적 선형모형을 사용하여 교사의 정서적 지원 및 유아 개인의 성과 월령, 교사의 학력과 경력, 그리고 학급의 교사 대 유아 비율 및 기관설립유형이 유아의 인성 특성인 자기통제, 주장성, 협력성 및 책임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만5세 유아 646명과 이들의 담임교사 32명, 주양육자 555명으로, HLM 7.0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가 보고한 유아의 자기통제, 주장성 및 협력성은 학급 간 차이가 있었으나, 부모가 보고한 자기통제, 주장성, 협력성 및 책임성은 학급 간 차이가 없었다. 또한 남아보다 여아가, 월령이 높을수록 유아의 인성 특성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의 정서적 지원뿐만 아니라 학력, 경력 및 교사 대 유아 비율과 기관설립유형은 학급 간 차이를 예측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학급 수준의 예측변인 투입 이후에도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인성 특성에서 여전히 학급 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져, 추후 연구에서는 인성 특성의 학급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추가적으로 탐색하는 것이 요구됨을 시사하였다.

장애학생 부모의 자녀 진학결정과 관련된 자녀학교교육 만족도와 배경변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Parents'Satisfaction towards School Education and Demographic Variables Associated with Decision-Making on Post High School Academic Completion for Their Child with Disability)

  • 이지경
    • 재활복지
    • /
    • 제18권4호
    • /
    • pp.145-16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부모의 자녀교육 진학결정에 관계되는 부모의 자녀학교교육 만족도와 배경변인들과의 관계를 조사하는 데에 있다. 일반 고등학교에 통합되어 있는 고등학교 3학년 장애학생들의 부모 162명의 반응이 담긴 한국교육종단연구 조사자료(부모 설문지)가 이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연구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 퍼센티지, 표준편차를 산출해주는 기술통계, 변인들 간의 영향력을 산출하는 순서 로지스틱 회귀분석, 변인들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검증해 주는 카이검증 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부모의 자녀학교 교육만족도를 조사한 세부문항 중 '대학진학과 관련한 정보제공 및 상담','장애학생의 학습능력향상','장애학생들의 부모와 교사 간의 협력관계', 마지막으로'학생들을 위한 전반적인 학교교육'이 부모들의 자녀교육 진학결정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배경변인들 중'어머니의 학력'이 자녀교육 진학결정에 유의한 차이(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모의 자녀교육 진학결정에 도움을 줄 구체적인 지원방법들이 본 연구의 논의 및 제언에서 제시되었다.

국공립 어린이집 재원 유아의 문제행동과 교사의 현재 교수 실태 및 지원요구에 대한 탐색 (An Analysi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Current Practices and Difficulties in Supporting Children with Problem Behaviors)

  • 이연정;조윤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29
    • /
    • 2014
  • 본 연구는 학급 내에서 다양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일반유아의 행동특성들과 이로 인한 유아의 어려움, 교수과정에서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 및 지원요구를 알아봄으로써, 보육현장에 있는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국 공립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만3~5세 보육교사 8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내용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교사들이 인식한 유아의 문제행동은 행동적인 문제를 보이는 외현적인 문제행동 유형과 정서적인 문제를 보이는 내현적인 문제행동 유형, 이외의 기타유형이었고, 유아는 자신의 여러 가지 문제행동들로 인해 교사 또래 부모관계에서 어려움을 보이고 있었다. 교사는 학급 내에서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들에게 적절한 지원을 하지 못하거나, 개별적인 지원을 하기도 하며, 어린이집 내 외부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을 안내하고, 가정과 연계하여 육아지원을 하고 있었다. 교사가 주로 사용하는 교수방법은 행동주의적 접근 심리적 접근이었다. 유아의 문제행동에 따른 교수의 어려움으로 교수과정에서 생기는 문제 교사의 감정조절에 어려움 시간부족 담임교사가 없는 통합보육시간 활동 진행의 방해 전문성부족 부모상담을 통한 가정과의 협력의 어려움을 이야기 하였다. 자녀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들의 반응은 자녀의 문제행동에 당황 수긍 단순지연 회피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를 위해 가정 어린이집 외부와 지역사회 교사연수를 통해서 현재 도움을 받고 있었지만 적절하지 않았다. 따라서 교사는 전문가 보조인력 지원, 부모와 교사에 대한 교육, 교사에 대한 존중, 심리치료 놀이치료 진단평가 등 외부 기관과의 연계, 경제적지원 등을 요구하였다.

어린이집 초기적응과정에서 나타난 영아반 보육교사의 어려움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During the Process of Early Adaptation in Day Care Center)

  • 박소윤;서현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31-354
    • /
    • 2015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초기적응과정에서 영아반 보육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사들의 생각과 요구를 실제적으로 파악하며 바람직한 초기적응 운영방식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시에 위치한 국공립 S어린이집의 만 1세반 영아 9명과 부모 7명을 관찰하였으며, S어린이집 교사 8명을 심층면담 하였다. 연구에 의하면 교사들은 첫째, 부모와의 관계에서 내 자녀만을 위하는 이기주의, 상호간의 신뢰 부족, 초기적응 프로그램의 학부모 역할 이해 부족, 일과 운영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영아와의 관계에서는 우는 아이 달래기, 또래들 간의 다툼 중재하기, 재원 영아와 신입 영아간의 균형 맞추기에서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동료와의 관계에서는 동료교사와 협력하기, 원장선생님과 대화하기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영아 초기 적응과정에서 겪는 교사들의 어려움을 실질적으로 이해하고, 교사들의 어려움을 지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운영방안을 마련하는 데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가 인식한 부모-교사 신뢰관계와 협력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on Play Teaching Efficacy: The Mediating Effects of Trust Relationship and Cooperative Behavior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 이시은;송승민;한정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29-52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arent-teacher trust relationship and cooperative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and their play teaching efficacy. Methods: A total number of 216 teachers in charge of infants under the age of two at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H, Y, and O cities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survey. Using SPSS 23.0 and AMOS 22,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analyzed. Results: Firs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had a direct effect on play teaching efficacy. Seco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influenced play teaching efficacy through parent-teacher's trust relationship. Thir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influenced play teaching efficacy through parent-teacher cooperative behavior. Fourthly, it was found that the parent-teacher trust relationship and cooperative behavior were mediated sequentially in the influence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on play teaching efficacy.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eachers and the trust and cooper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in order to increase the 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영아반 교사의 민감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Parent Partnership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 박보경;박선영;이시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3-89
    • /
    • 202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n infant care.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d the direct effect of teacher-parent partnership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and the indirect effect through teacher sensitivity.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6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classes at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do. They responded to questionnaires on teacher-parent partnership, their sensitivit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teacher-parent partnership did not have a direct impa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Second, teacher-parent partnership indirectly influenced teacher-infant interactions through teacher sensitivity. In other words, a high level of teacher-parent partnership was associated with a high level of sensitivity, subsequently resulting in the provision of high-quality interactions for infant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role of teacher sensitivity as a mechanism to explain how teacher-parent partnership is linked to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enhancing teachers' sensitivity and, ultimately, providing high-quality child care to inf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