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의 이혼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9초

가족 구성원의 의사소통 능력, 내외 통제성, 충동성, 낙관성이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amily Members' Communication Competence, Locus of Control, Impulsivity, and Optimism on Their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 한주리;허경호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8권
    • /
    • pp.251-282
    • /
    • 2005
  • 이 연구는 최근 이혼이나 청소년 가출 등 가족해체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행복한 가정생활의 지표라 볼 수 있는 가족관계 만족도를 언론학적 시각으로 접근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 능력 및 내외 통제성, 충동성, 낙관성과 같은 성격변인이 가족관계 만족도와 갖는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들 중 어떤 변인이 가족관계 만족도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를 고찰해 보고 이를 통해 가족관계 만족도를 설명해 보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가족 성원들간의 대화시간 등 가족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통제 변인들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의사소통 능력, 내적 통제성, 낙관성이 높을수록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충동성이 높을수록 가족관계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어떠한 변인이 가족관계 만족도와 가장 깊은 관련성을 갖는지 살펴본 결과 자녀의 경우는 본인의 의사소통 능력 및 충동성, 아버지와의 대화시간, 부모의 충동성 순으로, 아버지의 경우는 본인의 의사소통 능력, 아내의 충동성 및 낙관성, 자녀와의 대화시간 순으로, 어머니의 경우는 본인의사소통 능력 및 교육 수준 순으로 본인의 가족관계 만족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하여 가족관계 만족도를 설명하는 데 있어 성격뿐만 이니라 의사소통 능력 및 대화시간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 PDF

이혼한 어머니의 경험을 통해 본 비양육 아버지의 부모역할 수행과 공동부모역할 형성 (Divorced Mothers' Experiences of Noncustodial Fathers' Involvement with Their Children and Co-Parenting Relationships)

  • 손서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1권4호
    • /
    • pp.439-45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orean divorced mothers' experiences of noncustodial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n's lives after divorce and co-parenting relationship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7 mothers who were divorced between the years of 2004 and 2009, and were raising at least one minor chil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inductive data analysis method. Divorced mothers' experiences of noncustodial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n's lives after divorce were categorized in three ways: a satisfactory on-going relationship, a dissatisfactory on-going relationship, and a discontinued relationship. The results show that a few mothers were satisfied with the degree of the fathers' involvement in the children's lives 1) if the fathers were interested in their children and responsive to their children, and 2) if the fathers paid either child support or provided some financial supports for their children based on the fathers' financial abilities. However, the majority of the mothers were dissatisfied with the degree of the fathers' involvement in the children's lives. While some of the mothers maintained a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s fathers despite their dissatisfaction, others discontinued the relationship. Regarding the co-parenting relationship after divorce, the relationships with the fathers were classified as either cooperative relationships or uncooperative relationships. The majority of the mot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establishing cooperative co-parenting relationships with the fathers, but three mothers had cooperative relationships. The reasons for these uncooperative relationships were: uncooperative fathers, uncooperative mothers, or ambiguous communication regarding parenting after divorce. These findings suggest parenting education for divorced parents.

PTSD 증상의 조건비율에 근거한 한국 성인의 트라우마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uma Experiences among Korean Adults based on Conditional probability of PTSD symptoms)

  • 김지윤;이동훈;김시형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3호
    • /
    • pp.365-38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높은 수준의 PTSD 증상을 유발하는 사건을 탐색하기 위해 외상사건을 DSM-IV-TR의 진단기준을 충족시키는 '진단기준사건'과 '생활스트레스 사건'으로 구분하고, 가장 고통스러운 사건 대비 PTSD 고위험군의 비율인 PTSD의 조건비율(conditional probability)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인구센서스 기준에 따라 성별 및 연령비율을 고려하여 표집한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외상사건을 조사하였고, 99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진단기준사건을 살펴보면, '16세 이전의 성추행', '기타사고 목격', '16세 이전의 성폭행', '16세 이전의 가정폭력 목격', '재난', '교통사고 겪음', '교통사고 목격', '기타사고 겪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스트레스 사건은 '법적 구속 또는 수감(본인 및 가족)', '부모의 별거나 이혼', '심각한 스트레스를 야기하는 실패나 절망', '가족과의 극심한 갈등 또는 잦은 다툼'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 혼인상태, 종교유무가 PTSD 증상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산업사회(産業社會)에 있어서 가정교육상(家庭敎育上)의 문제(問題)와 그 대책방안(對策方案) (현대(現代) 한국사회(韓國社會)를 중심(中心)으로) (Problems of Family Education in an Industrialized Society and Alternatives(The case of Modern Korean Society))

  • 이경준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6권2호
    • /
    • pp.183-189
    • /
    • 1994
  • 1970년 이후 우리나라는 산업화로 인하여 사회구조와 가정구조가 크게 변화 되었다. 도시집중화로 인한 각종 공해 발생, 교통난, 인구이동의 문제를 비롯하여 그리고 핵가족화로 인한 가부장적 권위상실 및 가정교육부재, 청소년 비행등 수 많은 문제가 야기되었다. 특히 핵가족화로 발생된 심각한 사회문제는 전통윤리의 붕괴와 가정교육의 부재현상을 발생 시켰다. 이와같은 문제발생에 관한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첫째, 핵가족화로 인해 발생한 가족규모의 축소현상으로 자녀들의 다면적 인격형성에 결손을 초래하여 성장후 독립심과 의지가 약하고 고집이 세며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되어 사회생활에 부적응 현상을 초래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 이유는 다면적 인간관계의 결여로 상호 협조하고 사랑을 교환한 경험 부족과 외동자녀에 대한 부모의 관심이 자녀의 욕구에만 집중되어 자녀종속적인 태도가 크게 적용하였기 때문이다. 둘째는 산업화 사회에서의 부부동시 사회참여가 자녀양육에 어머니와의 애착형성이 결여되어 모성실조를 겪게 된 문제를 들 수 있다. 어머니와 자녀간의 애착형성이 결여 됨으로 발생되는 문제는 지적 정체현상과 정서발달의 장애가 주 원인이 되어 감정 통제력이 약해서 공격적 행동이나 반 사회적 행동으로 확대되어 청소년문제 발생의 원이 되고 있음을 시사하고있다. 세째로 산업화사회와 경쟁력 조장을 들 수 있다. 산업사회를 개방사회, 경재력사회 혹은 능력사회라하여 고학력위주의 선발형태가 입시경쟁을 부추기고 있으며 그에 따라 많은 청소년들과 학부모들이 상위 지향적인 심리가 작용하여 자녀들의 입시경쟁에만 집중하게 되었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하여 인간교육 즉 가정교육을 외면하여 반도덕적, 반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게 하였다. 특히 전통적 가정윤리가 붕괴되어 부모에 대한 효관의 약화, 부부간의 애정약화 및 물질지향적인 사고가 이혼률을 증가시켜 가정붕괴를 가져왔다. 이상에서 논의된 자녀교육의 부재가 자녀들의 지적 정서적 문제로 확대되어 산업화사회의 모순점을 노출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연구자가 제시하는 방안은 훌륭한 가정교육을 위해서 우선되어야 하는것은 부모자신의 인격적 개인완성을 제안하였다. 인격의 완성은 양심과 행동이 일체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다음은 서로 위하여 사는 삶을 영위하는 인격체가 되어 양심의 법에 따르는 삶, 타인을 위하여 사는 삶을 자녀들에게 보여줌으로서 반두라의 모델링 교육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오늘날과 같은 암기위주의 경쟁교육이 아니라 타고난 잠재성 개발에 주력하는 교육으로, 적성과 소질을 개발하는 창조적 산 교육장을 마련하여 주고 또한 그것을 뒷바침하는 가정윤리교육의 회복이 무엇보다도 이 시대가 절실히 요구하는 바람직한 교육이라 하겠다.

  • PDF

대학생들의 결혼 및 자녀 가치관과 성태도 관련성 연구 (The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value on marriage, children and sexual attitude)

  • 주영희;정은숙;심문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9호
    • /
    • pp.267-27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결혼 및 자녀에 대한 가치관과 성태도를 파악하고, 상호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K지역에 소재하는 2개 대학교 학생 1,057명에게 2011년 4월25일부터 5월31일까지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결혼가치관에 따른 성태도는 개인보다 가족관계 우선시, 독신의 삶, 결혼생활 부담, 결혼을 보통사람들이 하는 나이, 사귀는 사람과 결혼, 자유로운 성관계, 자녀가 있어도 이혼에 따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치관에 따른 성태도는 자녀를 낳아야만 부부가 사회적 인정, 경제적 노후의존, 부모의 꿈 실현, 가문계승, 사회적 의무, 자녀의 필요성에 따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가치관 중 성태도와 유의하게 순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수는 개인보다 가족관계 우선시, 결혼시기이었으며, 역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수는 마땅한 상대를 만나지 못하면 꼭 결혼할 필요가 없음이었다. 자녀가치관 중 성태도와 유의하게 순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수는 자녀를 낳아야만 부부가 사회적 인정을 받음, 경제적 노후의존, 부모 꿈 실현, 가문계승, 사회적 의무이었으며, 역 상관관계를 보인 변수는 부모로써의 가치, 자녀는 반드시 있어야 함이었다. 결론은 성태도와 결혼관, 자녀관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에 따라 저출산 고령화시대에 살고 있는 가임기 청소년의 성태도 변화에 따른 결혼관과 자녀관을 위한 다양하고 건강한 접근전략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자녀가 경험한 부모 이혼과 부자가족으로의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Children's Experiences of Parental Divorce and Adaptation to Single-Father Families)

  • 김기화;양성은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1호
    • /
    • pp.83-95
    • /
    • 2016
  •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es of parental divorce and adaptation in single-parent families as well as examined how the experience of living in family welfare facilities influences the adaptation process of such families. The research question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 was, "What is the adaption process for a singlefather family, and what influence does living in a single-father family welfare facility have on that proces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etween June 2013 and April 2014 that included an in-depth interview process and continuous participatory observations on 14 children residing in the facility.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heme in a two-parent family period was 'changes in reduction of family: serious conflicts between parents.' Children directly witnessed intense conflicts between parents and experienced anxiety from situations that involved verbal and physical violence during the two-parent family period. The experience of children prior to entering the facility was represented by "loss and confusion experienced." The theme for children of singlefather family in entering a facility was "selecting a realistic alternative." Children's daily activities consisted of being with friends of a similar age, which allowed them to play and support each other in building social skills. The facility departure theme for the children was "hope for a new life."

이혼 후 비양육부모의 자녀와의 접촉 및 관계만족도 (Divorced Noncustodial Fathers' and Mothers' Contac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 김영희;한경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8호
    • /
    • pp.23-32
    • /
    • 2006
  •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parents without custody after divorce is important in terms of facilitating their adjustment an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Ninety-two noncustodial parents divorced within the previous 5 years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We examined differences between noncustodial fathers and mother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the contact and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In addition, using the regression model, we analyzed the effects of several characteristics of noncustodial parents, including gender, on the frequency of contact as well as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ncustodial fathers and mothers exhibited similar low levels of contact by phone and in-person visits. Second, noncustodial parents with a child older than 8 years old visited the child more frequently, and were more satisfied than noncustodial parents with younger children. Third, the level of desire to gain the child custod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requency of contact and the satisfa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ncustodial parents and their children. Fourth, noncustodial parents with more positive feeling about their former spouse contacted more frequently with the children. Fifth, compared with noncustodial fathers, noncustodial mothers demonstrated a higher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their children.

부모(父母)의 이혼(離婚)이 자녀생활(子女生活)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Life-Problems of Divorcee's Children)

  • 황옥자
    • 아동학회지
    • /
    • 제1권
    • /
    • pp.82-93
    • /
    • 1980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and analyze the Various Problems of children of divorcee's and Compare them with that of the children of married parents. The subjects used for this study were 3,975 4~6 graders aged 9~13 enrolled in seven different Prim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Jeonju. To begin with, everybody in seven Classed were requested to respond to a questionnaire in order to Select the Children of divorcee's. When 60 children were selected, each Child was interviewed as well as asked to check questionnaire Concerning their daily life problems and feelings about them. When the data were analyz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Children lives were affected by their parental divorce in various ways, but particularly so in their school lives. However, boys seemed to be affected less than the girls. 2) Either Separated from father or mother, generally the girls seemed to suffer more than the boys. Especially the girls separated from fathers were affected in school life and peer-relationships and the girls Separated from mother were affected in emotional problems and peer-relationships 3) Children of single parents seemed to be affected more in school lives, whereas th, children of remarried Parents Seemed to be affected in peer-problems. Again, the girls were more affected than boys. 4) Children whose parents were divorced when they were still in pre-school age seemed to suffer more than than those in the school age.

  • PDF

결혼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종단분석 및 아동기 부모 이혼의 조절효과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Transition into Marriage and Life Satisfaction and Childhood Parental Divorce as a Moderator)

  • 이윤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9권1호
    • /
    • pp.113-125
    • /
    • 2021
  • Previous research on the association between marriage and life satisfaction is limited due to the lack of attempts to investigate the time profiles of life satisfaction around marriage. This study addresses unresolved questions about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marriage and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tests if it is moderated by childhood parental divorce. Using 14 wave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N=3,890 individuals or 25,338 person-year observations), the author first used an ordinary least squares model with clustered standard errors and found that married people reported higher life satisfaction before marriage, compared to people who remained single during the survey. This result supports a social selection perspective. Next, the author used a fixed effects regression model and found that the transition into marriage was associated with an initial rise and subsequent decline in lif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increased after reaching its lowest level in the third year of marriage. Life satisfaction after the transition into marriag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bserved three or more years prior to marriage. The result supports a social causation perspective. Such changing patterns were not moderated by parental divorce during childhood. This study advances the current literature on marriage and life satisfaction by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longitudinal data set as well as by testing social selection and causation perspectives.

남성 독거노인의 생애사를 통해 본 사회적고립 (Life History of the Socially Isolated Male Elderly Living Alone)

  • 임승자
    • 한국노년학
    • /
    • 제39권2호
    • /
    • pp.325-34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으로 고립된 남성 독거노인의 생애사적 접근을 통해 사회적으로 고립되기까지의 과정과 삶을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연구 생애사 방법의 하나인 'Mandelbaum(1973)의 삶의 영역(Dimensions), 전환점(turnings), 적응(adaptation)'이라는 개념틀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회적으로 고립된 노인들은 가족 관계 단절, 빈곤, 열악한 일자리, 건강악화 등의 복합적인 어려움을 경험하면서 사회적으로 고립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삶의 영역에서 고립 전의 원가족과의 삶에서 부모와의 원만하지 못한 관계나 부재, 가족의 빈곤, 주위 사람들과의 원만하지 못한 관계 등의 경험이 있었다. 노동시장에서 막노동, 배달, 장사, 허드렛일 등의 좋지 않은 일자리를 갖고 있었다. 전환점의 영역에서는 외환위기, 부모의 이혼과 죽음, 배우자 외도, 경제적 어려움 등의 여러 원인으로 원가족과 배우자와의 분리로 인한 가족과의 단절을 경험하게 되었다. 적응의 영역에서 참여자들은 삶의 각 전환점에서 변화된 삶을 받아들이며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타협하고 절충하면서 적절히 적응하려는 노력을 해나가고 있었다. 국민기초수급자라는 사회적 안전망 제도에 들어왔고 그 안전망을 지키기 위해 한곳에 머무르는 지금의 삶이 더 안정적인 삶을 살게 만들었으며 개인적인 취미생활과 네트워크를 통한 대리만족으로 적응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기존연구에서 고립된 노인들이 우울증과 고독사의 위험에 심하게 노출되었다는 연구결과와 다소 다른 결과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고립감이 낮은 노인을 인터뷰한 본 연구의 특성을 동시에 감안해야 할 것이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러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