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와 친구의 친사회적 행동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남녀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 관련 변인 연구 (Correlates of Prosocial Behaviors i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 이승미;이경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2호
    • /
    • pp.1-12
    • /
    • 2008
  • The variables studied in relation to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s were grade, prosocial moral reasoning, empathy, self-esteem, parental prosocial behaviors, support and marital conflict, social economic status, peer prosocial behaviors and support, teacher support,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he sample consisted of 837 seventh and tenth grade adolescents. Statistics and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Cronbach's alpha, frequency, percentage,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Several major results were found from the analysis. First, female students had more prosocial behaviors than male students. Second, male and female students' prosocial behavio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grade, prosocial moral reasoning, empathy, self-esteem, parental and peer prosocial behaviors and support, teacher suppor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However, female students' prosocial behavior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al marital conflict. Third, important variables predicting male and female students' prosocial behaviors were empathy, peer prosocial behaviors and parental prosocial behaviors. Important variables predicting male students' prosocial behaviors were teacher support and prosocial moral reasoning. On the other hand, the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female students' prosocial behaviors was self-esteem.

미국 청소년의 문제성 음주에 대한 심리사회적 보호변인과 위험변인의 역할 - 보호변인의 보상효과와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Psychosocial Protective and Risk Factors on Problem Drinking among American Adolescents: Focused on Compensatory and Buffering Effects of Protective Factors)

  • 김영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4호
    • /
    • pp.269-290
    • /
    • 2004
  • 본 연구는 미국 청소년들의 문제성 음주에 대한 심리사회적 보호변인들과 위험변인들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이들 중 보호변인들의 역할을 보다 구체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 개별 보호변인의 보상효과와 완충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The Monitoring the Future 2002 연구의 10학년 4,362명의 사례를 활용하였으며,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위계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는 친구의 영향력, 감각추구성향, 일탈행동경험이 문제성 음주에 대해 유의미한 위험변인으로 기능함을 보여주었다. 보호변인의 경우에는 음주결과에 대한 부정적 기대, 부모와의 유대, 학교에 대한 유대, 친사회적 활동이 직접적으로 문제성 음주의 감소에 영향을 주는 보상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음주결과에 대한 부정적 기대는 친구의 영향력을 완화시켜 문제성 음주를 감소시키는 유의미한 완충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성 음주에 대한 예방적 개입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