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합구조-병치형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The Type setting and Application of the New-hanok type Public Buildings - Focused on Cases were completed after 2000 -

  • Park, Joon-Young;Kwon, Hyuck-Sam;Cheong, So-Yi;Bae, Kang-Won
    • KIEAE Journal
    • /
    • 제15권5호
    • /
    • pp.47-57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the type of 'the New-hanok type Public Buildings' through a case study for the hanok public buildings completed after 2000 years, and to analyze planned properties of the type. This is significant Establishing legal status of 'the New-hanok type Public Buildings' and seeing review of application possibilities of the type for providing a systematic government support measures of 'the New-hanok type public buildings' when models developing future. Method: Method of research is the first to examine the current laws and established the definition and legal status of 'the New-hanok type Public Buildings'. Followed by Setting the type classification criteria as to classify the type of 'the New-hanok type public buildings' and research architectural overview of selected cases by Literature, Internet searches, etc. After systematizing of the types classification of analysis cases, Characteristics of the type of the building structure looks catch classify in spatial structure, function, beauty. Finally, review application possibilities of the type for systematic government support measures establish when models developing of 'the New-hanok type Public Buildings'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 Selected cases were categorized as 3 types according by structural standard based on the core concept of 'the New-hanok type Public Buildings' set in this study. This can be divided into 'Wooden Structure type' and 'Composite structure - Convergence type' and 'Composite structure - juxtaposed type', 'Wooden Structure type' was re-classified by divided into '(1)Traditional Korean Wooden Structure' and '(2)Laminated Wood Wooden Structure'.

조망과 은신개념으로서의 초등학교 공간특성과 건축설계 방법연구 (Primary School Spatial Characteristics and Architectural Design Methods based on Prospect and Refuge Concept)

  • 심은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2권1호
    • /
    • pp.1-12
    • /
    • 2023
  • 범죄는 예방이 더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국내에도 범죄예방 환경설계 방법인 CPTED가 도입되어 다양한 공간에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전한 학교의 설계를 위해 CPTED의 근간이 되어준 '조망과 은신'의 이론의 개념과 적용방법을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초등학교의 공간을 분석하여 특성과 방법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례연구의 대상은 최근 10년 이내에 완공된 해외의 중소규모 초등학교 가운데 창의적 발상이 돋보이는 6곳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망의 공간특성은 구성의 입체성과 동선의 주목성으로 나눌 수 있었다. 구성의 입체성은 구조와 요소를 활용한 공간 입체성 그리고 파노라마와 전망의 시선 입체성의 설계방법으로 구현되고 있었다. 동선의 주목성은 형태, 재료, 색채를 활용하고 있었. 은신의 공간특성은 크게 매스의 분절과 공간 위요성으로 도출되었다. 매스의 분절성은 매스들의 관입, 적층, 병치, 중첩을 통해 선형, 중심형, 방사형, 그리드형, 클러스터형으로 재조합될 수 있으며 공간의 위요성은 크게 상부형과 측면형의 설계방법으로 구분되었다. 사례의 대상들이 국내의 사회적 여건이나 교육방식과 다른 점도 있지만, 초등학교 복합화와 개방화의 흐름 속에서 안전한 초등학교 건축을 위한 이론적 틀이자 설계방법에 대한 기초자료가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