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원 실험

Search Result 1,67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Restoration of damaged speech files using deep neural networks (심층 신경망을 활용한 손상된 음성파일 복원 자동화)

  • Heo, Hee-Soo;So, Byung-Min;Yang, IL-Ho;Yoon, Sung-Hyun;Yu, Ha-Ji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6 no.2
    • /
    • pp.136-143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restoring damaged audio files using deep neural network. It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file carving based restoration. The purpose of our method is to infer lost information which can not be restored by existing techniques such as the file carving. We have devised methods that can automate the tasks which are essential for the restoring but are inappropriate for human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has been shown that it is possible to restore the damaged files, which the conventional file carving method could not, by using tasks such as speech or nonspeech decision and speech encoder recognizer using a deep neural network.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for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s Using Prefabricated Vertical Drains (연직배수재를 이용한 오염지반 복원의 영향인자 분석)

  • Park, Jeongjun;Shin, Eunchu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9 no.2
    • /
    • pp.39-46
    • /
    • 2008
  • Due to the growth in industrialization, potential hazards in subsurface environments are becoming increasingly significant. The extraction of the contaminant from the soil and movement of the water are restricted due to the low permeability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reclaimed soils. There are a number of approaches to in-situ remediation that are used in contaminated sites for removing contaminants. These include soil flushing, dual phase extraction, and soil vapor extraction. Among these techniques, soil flushing was the focus of the investigation in this paper. Incorporated technique with PVDs has been used for dewatering from fine-grained soils for the purpose of ground improvement by means of prefabricated vertical drain systems. The laboratory model tests were performed by using the flushing tracer solutions for silty soils and recorded the tracer concentration changes with the elapsed time and flow rates. The modeling was intended to predict the effectiveness and time dependence of the remediation process. Modeling has been performed on the extraction, considering tracer concentration and laboratory model test characteristics. The computer model used herein are SEEP/W and CTRAN/W, this 2-D finite element program allows for modeling to determine hydraulic head and pore water pressure distribution, efficiency of remediation for the subsurface environment. It is concluded that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of contaminated soil is related with vertical velocity and extracted flow rate. The vertical velocity and extracted flow rate have an effect on dispersivity and finally are played an important role in-situ soil remediation.

  • PDF

Experimental Study of Restoration material on Ceramics - Long-Necked far and Gourd-Shaped Pitcher - (토기.자기 복원재료에 대한 연구 - 목항아리와 조롱박모양주전자 -)

  • Hwang, Hyun-Sung;Lee, Hae-Soon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19
    • /
    • pp.31-42
    • /
    • 2006
  • There are many materials used in restoring missing parts of pottery and ceramics and they are used according to the each quality of materials. In our research we tried to find the new repair materials to solve many problems exposed in the existing repair materials. As a result, we made new repair materials that we properly put oven bake clays into repair epoxy putty which is being used as oven bake clays for a long time. Fortunately, through testing yellowing, vickers hardness, coloring and heating temperature, We could get an idea that new repair materials would be the best materials in the efficiency of restoration, yellowing, and coloring.

  • PDF

Detection and Recovery of Occluded Face Images Based on Correlation (상관관계에 기반한 가려진 얼굴 영상 검출 및 복원)

  • Lee, Ji-Eun;Kwak, No-J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8 no.5
    • /
    • pp.72-83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detect and recover the occluded parts of face images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pairs of pixels. In a training stag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every pairs of pixels are calculated using the occlusion-free face images. Once a new occluded face image is shown, the occluded area is detected and recovered us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btained in the training stage.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based on PCA.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detects and recovers occluded area with much smaller noises than the conventional PCA based method. Moreover, recovered images by the proposed method were more smooth with reduced blurring effect.

THE RECOVERY TECHNIQUE OF ERRONEOUS BLOCKS BASED ON THE SPATIAL INTERPOLATION (영상의 공간적 보간을 응용한 손상된 영상 구획의 복원 기법)

  • 박종욱;이상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1996.06a
    • /
    • pp.229-232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공간적 보간을 응용하여 손상된 영상 구획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기법은 손상된 영상을 부가 정보 없이 복원하는 오류 은폐의 핵심으로 Park[3], Wang[4], Sun[9], Lee[7], Hemami[8] 등에 의해서 여러 가지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법들은 단순히 주변 구획과의 경계면에서의 연속성만을 고려하여 복원하므로 구획 내부의 데이터를 복원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계산량도 많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기법들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Non-Unform Rational B-Spline(NURBS)을 응용한 복원 기법을 제안한다. 제시된 주변 구획의 오류 유무와 윤곽선의 방향에 따라 주변 구획의 화소 정보에 할당되는 가중치를 적절히 변경하여 NURBS를 적용한다. 따라서 윤곽선의 방향을 더욱 견실하게 복원함으로써 주관적, 객관적 관점에서 기존의 기법보다 우수한 영상 구획 복원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정지 영상에 대한 컴퓨터 모의 실험 결과 제안하는 알고리듬을 기존의 기법보다 30% 구획 손실율에서 0.5 dB이상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음을 관찰하였다.

  • PDF

Restoration of gold guilding on Geumdong-samjonpanbul excavated from Walji, Gyeongju using plum acid & gold(Au)-mercury(Hg) amalgam (매실산과 금아말감을 이용한 월지 출토 금동삼존판불의 금도금법 복원)

  • Yun, Yong-Hyeon;Jo, Nam-Cheol;Lee, Tae-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6-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고문헌에 기록된 도금 재료와 도금법 등을 확인하고 이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매실산을 사용한 금(Au)-수은(Hg) 아말감기법으로 고대 도금(鍍金)기술을 되살리고, 이를 토대로 경주 월지에서 출토된 금동삼존판불을 복원하였다. 먼저, 전통 도금법을 되살리기 위해서, "오주서종박물고변", "확지신편", 조선시대 각종 의궤 등에 공통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매실에 주목하고, 매실을 3~4개월 발효 숙성 후 착즙한 뒤 그것을 농축하여 만든 매실산을 도금 실험에 적용하였다. 금아말감 도금을 위하여 월지 출토 금동삼존판불의 바탕소지금속인 청동삼존판불을 구리와 주석 89:11(Cu:6kg, Su:750g)로 합금하여 주물사 주조법으로 복원하였으며, 동일한 합금비로 제작된 $2.3cm{\times}3.5cm$(가로${\times}$세로)의 시편에 사전 실험을 실시하였다. 현대적 산처리 방식에 사용되는 질산과 전통방식으로 사용되는 매실산으로 시편에 산처리 한 후 각각 비교해 보고, 금분과 금박, 상온과 가온에 따른 아말감상태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실험에 사용된 매실산 70%는 pH가 1.94로, 오늘날 산처리에 사용하고 있는 질산 20%와는 차이가 있지만, 청동 시편 실험을 통해 매실산에 20분 정도 담근 뒤 금아말감을 도포 후 24시간 지나 가열($380{\sim}400^{\circ}C$) 했을 때 금도금이 잘 되어, 현대적 방법인 질산처리로 도금을 한 시편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사전 실험을 통한 결과를 적용한 월지 출토 금동삼존판불 복원은 청동삼존판불 표면처리, 금-수은 합금 및 도금하기, 도금 후 표면처리의 순서로 진행되었는데, 금과 소지금속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표면을 숯을 이용해 탈지한 후 물로 씻어내고 매실산을 도포하여 20분 동안 두어 부식 및 세척을 시행하였다. 금도금을 위한 금-수은아말감은 가온할 때 수은이 증발하는 양을 고려하여 금1 : 수은10 비율로 합금하여 완성하였으며, 금아말감 도포 후 약 24시간 지난 다음, $380{\sim}400^{\circ}C$에 가열하여 수은을 기화시켜 도금작업을 완성하였다. 금아말감도금은 평균적으로 6~7차례 시행하여야 완벽히 도금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단 4차례의 도금만으로 금아말감도금을 완성시켰는데, 이것은 금아말감을 바탕소지인 청동에 도포한 후 24시간 동안 금아말감과 청동과의 반응 시간을 두게한 것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청동시편을 이용한 실험과 과학적 분석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SEM으로 표면을 관찰한 결과 아말감 도포시간이 즉시인 경우 도금이 거의 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36시간이 넘어갈 경우 금 도금층이 불균일하게 관찰되었으므로 도금시간은 12시간~24시간 이내가 적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EDS로 성분을 분석한 결과 산처리 시간이 20분인 시료의 경우 5 wt% 내외로 수은의 비율이 다른 시료에 비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및 분석결과 산처리 시간이 20분이고 아말감 도포시간이 24시간일 때 도금이 잘 이루어지므로 이 결과를 토대로 금동삼존판불을 복원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도금법에 표면을 세척하고 부식시키기 위해 사용한 물질이 매실산임을 찾아내어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점 에서 이 연구의 가장 큰 의미는 전통 소재와 기술을 복원한 것으로, 앞으로 매실산을 이용한 금 도금기술은 관련 학계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Reconstruction of Tomographic Images using Shear Wave (횡파를 이용한 토모그라픽 영상 복원)

  • 황기환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239-24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횡파를 이용한 STAM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층구조물에 대한 토모그라픽 영상을 복원함으로써 토모그라픽 영상의 분해능을 개선시키는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STAM 시스템의 수조에서 초음파가 시료로 입사될 때 입사각도에 따라 발생되는 종파와 횡파에 대한 모드변환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시료로 각 층이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2층의 알루미늄을 가공하여 다층구조물을 제작하였으며, 시료에 횡파를 여기시키기 위하여 초음파변환기의 입사각을 18$^{\circ}$로 사각 입사시킬 수 있는 웨지를 가공하여 수조를 제작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동작주파수가 10MHz인 STAM 시스템을 이용하여 4중 프로젝션에 대한 토모그라픽 데이터를 영상처리하여 토모그라픽 영상을 복원하였으며 이를 기존의 종파를 이용한 토모그라픽 영상과 비교분석한 결과, 콘트라스트와 축방향 분해능이 향상되고 토모그라픽 영상을 복원할 수 있었다.

  • PDF

3D Dense Surface Reconstruction from Single-Camera Video (단일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 구조의 조밀한 복원)

  • 박정우;박종승;황용구;이만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733-735
    • /
    • 2004
  • 이 논문은 한 대의 카메라에서 얻은 일련의 영상을 해석하여 단순한 2차원의 영상을 3차원물체로 복원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을 한다. 이러한 3차원 복원 방법은 카메라 내부 변수가 동일하다는 가정을 이용하여 별도의 캘리브레이션 작업 없이 한 대의 카메라로부터 얻은 여러 장의 영상을 이용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내부 변수 중 카메라 행렬의 단순화와 사영 기하를 이용한 것이다 이 방법은 실제 비디오 프레임에 가상의 그래픽 모델을 더하는 AR (Augmented reality) 분야에 특히 유용하다 이 논문에서의 실험은 실제 여러 비디오 스트림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행되었고, 하나의 카메라를 사용한 동영상에서 3차원 구조로 복원하는 실험 결과는 시스템의 유용성을 보여준다.

  • PDF

A Steepest-Descent Image Restoration with a Regularization Parameter (정칙화 구속 변수를 사용한 Steepest-Descent 영상 복원)

  • 홍성용;이태홍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9 no.9
    • /
    • pp.1759-1771
    • /
    • 1994
  • We proposed the iterative image restoration method based on the method of steepest descent with a regularization constraint for restoring the noisy motion-blurred images. The conventional method proposed by Jan Biemond et al, had drawback to amplify the additive noise and make ringing effects in the restored images by determining the value of regularization parameter experimentally from the degraded image to be restored without considering local information of the restored one. The method we proposed had a merit to suppress the noise amplification and restoration error by using the regularization parameter which estimate the value of it adaptively from each pixels of the image being restored in order to reduce the noise amplification and ringing effects efficiently. Also we proposed the termination rule to stop the iteration automatically when restored results approach into or diverse from the original solution in satisfaction. Through the experiments, proposed method showed better result not only in a MSE of 196 and 453 but also in the suppression of the noise amplification in the flat region compared with those proposed by Jan Biemond et al. of which MSE of 216 and 467 respectively when we used 'Lean' and 'Jaguar' images as original images.

  • PDF

Experimental study on a site application of a permeable reactive barrier for a restoration of underground water polluted by livestock wastewatery (축산폐수로 오염된 지하수 복원을 위한 투수성 반응벽공법의 실험연구)

  • Kim, Joon-Se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6.11a
    • /
    • pp.302-30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축산폐수로 오염된 지하수를 복원하기위하여 투수성 반응벽을 지반속에 설치하여 오염된 지하수가 투수성 반응벽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서 오염상태가 저하되는 공법을 실험적으로 수행하였다. 투수성 재료로는 황토와 모래를 사용하였으며 실험결과 총인(T-P)과 총질소(T-N)의 저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