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원전략

Search Result 16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ampling Strategy Considering Genetics Diversity of Abies Koreana in Yeongsil, Mt. Halla Using nSSR Makers (nSSR 마커를 이용한 한라산 영실 구상나무의 유전다양성을 고려한 표본추출전략)

  • Chae, Seung-Beom;Lim, Hyo-I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27-27
    • /
    • 2019
  • 본 연구는 멸종위기 아고산수종 구상나무의 보존 복원을 위한 유전다양성을 고려한 표본추출전략을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19년 9월에 한라산 영실 집단($14,000m^2$)에서 총 152개체를 대상으로 선발된 10개의 nSSR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다양성 및 공간적 유전구조를 분석하였다. 평균 유전다양성은 관찰된 대립유전자수(A)가 7.2개, 유효대립유전자수($A_e$)가 3.6개, 이형접합도 관찰치($H_o$)가 0.528, 이형접합도 기대치($H_e$)가 0.595이며, 고정지수(F)는 0.071 이었다. 조사구내 구상나무 성목 152개체는 평균 수고 3.6 m, 흉고직경 17.3 cm로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개체목간 평균거리는 3.94 m, 임분밀도는 700 본/ha 이며 개체의 공간적 분포는 임의분포 형태로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유전변이에 대한 공간적 자기상관성(spatial autocorrelation) 분석 결과, 조사구의 구상나무는 약 15 m 이내에서 분포하는 개체들 간 유전적 유사성이 있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분밀도가 높고 수고가 낮은 특성으로 인하여 비교적 작은 유전군락이 형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결과적으로 영실의 구상나무 집단의 보존 복원을 위한 표본추출전략은 15 m의 간격을 두고 개체를 선발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Study on the Neighborhood-type Development and Flat Open Spaces for the Seongbukcheon Restoration (성북천 복원을 위한 근린형 개발 및 평지조성에 관한 연구)

  • Ryu, Jeong-W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8
    • /
    • pp.3752-3757
    • /
    • 2011
  • This paper suggests two strategies for the restoration of the Seongbukcheon in Seoul. One is the neighborhood-type development and the other is the construction of the flat open spaces. For the neighborhood-type development, the characteristic of each of the streets which are connected with Seongbukcheon was comprehended and the differentiated approaches for each of them were take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flat open spaces, the necessity of the flat public open spaces was verified and the strategies for this was suggested.

오염토양의 환경친화적 복구방안 - 위해성에 근거한 복원전략 -

  • Nam, Gyeong-Pil;Choe, Sang-Il;Park, Jae-U;Bae, Beom-Han;An, Ik-Seong;Go, Seok-O;Hwang, In-Seong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3 no.1 s.8
    • /
    • pp.41-48
    • /
    • 2003
  • 오염토양을 관리하는데 있어 현재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는 부분은 오염물질이 정화되었다는 판정을 '어떤 기준으로 내리는 것이 합리적인가?'하는 것이다. 오염된 토양을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복구를 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학계와 산업계를 중심으로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며 미국의 경우, 환경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등을 중심으로 그러한 물음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본격적인 연구 및 조사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오염물질의 토양잔류농도와 획일화된 규제기준을 비교하여 오염여부를 판단한 후 복구여부 및 수준이 결정되어 왔는데 이러한 방법에 문제점이 있으며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과학적 증거들이 발견, 축적되면서 이에 대한 대안이 모색되기 시작하였고 그 중의 하나가 '위해성에 근거한 복원전략(risk-based remediation strategy, RBRS)' 이라고 할 수 있다. RBRS는 오염토양의 정화기준을 결정하는데 있어 기존의 화학적 방법(즉, 토양잔류농도)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독성학적 방법도 같이 사용함으로써 오염물질의 실질적인 이용성에 따른 생독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RBRS의 가장 큰 장점은 오염물질의 종류뿐만 아니라 오염 지역의 특수성(예: 토지이용용도, 토양 및 지하수 특성, 수용체 집단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오염물질의 위해성(risk) 여부를 판단하며 그 결과에 의거하여 오염지역의 정화 실시 여부 및 수준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RBRS에 의한 정화 및 복구사업은 과학적, 합리적, 경제적인 바탕 위에서 시행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을 이유로 우리나라에서도 향후 오염지역의 정화에 RBRS와 같은 개념이 이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학계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인식과 이해의 폭을 넓혀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Ecological Network for Landscap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경관의 보전과 복원을 위한 생태네트워크의 국제적 동향)

  • Hong, Sun-K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7 no.5
    • /
    • pp.12-25
    • /
    • 2004
  • Integration system of conservation ecology, ecosystem management and land planing in landscape scale is major principle strategy for national management system of environmental resource and biodiversity. Current conservation strategy is concerned with not only population and habitat level but also ecosystem and landscape level. In especially, ecological networking to link core areas or major habitat patches is most eminent and emerging issue in European Union (EU) and North America. Moreover, the promotion of national ecological network system in EU is focused on national cooperation to construct ecological corridor for key habitat that distributed in many countries. Integrating landscape ecology into conservation ecology and restoration have important role to stimulate the network system in regional and national level. In this review paper, comprehensive and necessary considerations arisen from the view of landscape ecology were discussed for the present situations of wildlif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Korea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Especially, the conservation strategy and policy of biodiversity were addressed in broad sense including habitat protection, legal approaches, and ecological network programs. Finally, a national ecological network system was suggested for environmental policy in Korea in global consideration after the Korean Unification.

Game Theory Application in Wetland Conservation Across Various Hypothetical City Sizes (다양한 이론적 도시규모에서의 습지 보전을 위한 게임 이론 적용)

  • Ran-Young Im;Ji Yoon Kim;Yuno D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6 no.1
    • /
    • pp.10-20
    • /
    • 2024
  •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wetlands are essential task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human society and the environment, providing vital benefits such as biodiversity maintenance, natural disaster mitigation, and climate change allevi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ategic interactions and interests among various stakeholders using game theory and to provide significant grounds for policy decisions related to wetland restoration and development. In this study, hypothetical scenarios were set up for three types of cities: large, medium, and small. Stakeholders such as governments, development companies, environmental groups, and local residents were identified. Strategic options for each stakeholder were developed, and a payoff matrix was established through discussions among wetland ecology experts. Subsequently, non-cooperative game theory was applied to analyze Nash equilibria and Pareto efficiency. In large cities, strategies of 'Wetland Conservation' and 'Eco-Friendly Development' were found beneficial for all stakeholders. In medium cities, various strategies were identified, while in small cities, 'Eco-Friendly Development' emerged as the optimal solution for all parties involved. The Pareto efficiency analysis revealed how the optimal solutions for wetland management could vary across different city types. The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wetland conservation, eco-friendly development, and wetland restoration projects for each city type. Accordingly, policymakers should establish regulations and incentives that harmonize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urban development and consider programs that promote community participation. Understanding the roles and strategies of stakeholders an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strategy is crucial for making more effective policy decisions.

Privacy-Preserving Clustering on Time-Series Data Using Fourier Magnitudes (시계열 데이타 클러스터링에서 푸리에 진폭 기반의 프라이버시 보호)

  • Kim, Hea-Suk;Moon, Yang-Sae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5 no.6
    • /
    • pp.481-494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Fourier magnitudes based privacy preserving clustering on time-series data. The previous privacy-preserving method, called DFT coefficient method, has a critical problem in privacy-preservation itself since the original time-series data may be reconstructed from privacy-preserved data. In contrast, the proposed DFT magnitude method has an excellent characteristic that reconstructing the original data is almost impossible since it uses only DFT magnitudes except DFT phases. In this paper, we first explain why the reconstruction is easy in the DFT coefficient method, and why it is difficult in the DFT magnitude method. We then propose a notion of distance-order preservation which can be used both in estimating clustering accuracy and in selecting DFT magnitudes. Degree of distance-order preservation means how many time-series preserve their relative distance orders before and after privacy-preserving. Using this degree of distance-order preservation we present greedy strategies for selecting magnitudes in the DFT magnitude method. That is, those greedy strategies select DFT magnitudes to maximize the degree of distance-order preservation, and eventually we can achieve the relatively high clustering accuracy in the DFT magnitude method. Finally, we empirically show that the degree of distance-order preservation is an excellent measure that well reflects the clustering accuracy. In addi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greedy strategies of the DFT magnitude method are comparable with the DFT coefficient method in the clustering accurac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mpared with the DFT coefficient method, our DFT magnitude method provides the excellent degree of privacy-preservation as well as the comparable clustering accuracy.

Deconstructing the Dichotomy between Ecology and Art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현대 조경설계에서 생태-예술 이원론의 해체)

  • Pae, Jeong-Han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6 no.2
    • /
    • pp.48-56
    • /
    • 2003
  • 20세기 후반을 거치며 환경 관련 이슈는 조경 이론과 설계에서도 중심 주제로 자리잡아 왔다. 환경에 대한 고려를 중심에 둔 이른바 생태적 조경계획 설계는 조경의 패러다임에 일대 전환을 가져오고 조경의 대사회적 역할을 교정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은 동시대 조경 이론과 설계의 가장 첨예한 쟁점 중의 하나인 생태학과 예술 사이의 이분법을 심화시켰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즉 생태적 조경은 환경적 가치 대형태 구축, 부지의 생태적 분석 대 창조적 표현이라는 이원론적 갈등 관계를 형성해 온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양상의 생태-예술 이원론을 해체하고 대안적 조경의 지평을 구축하는 일이 현대 조경설계가 풀어야 할 최우선의 과제라고 파악한다. 이 논문은 특히 최근의 조경설계에서 실험되고 있는 경험의 구축, 변화와 프로세스의 고려, 일시성과 불확정성을 존중하는 태도 등을 통해 생태-예술 이원론을 해체할 수 있는 실천적 전략을 모색한다. 뿐만 아니라 그러한 전략에서 드러나는 대안적 조경미학이 최근의 환경미학과 공유하고 있는 이론적 지형을 검토함으로써 생태학과 예술의 접점을 가로지르는 조경설계의 새로운 좌표를 탐색한다.

Water Industry Innovation for Climate Response (기후 대응 물 산업 혁신)

  • Lee, HwaRyeong;Kim, Sha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17-517
    • /
    • 2022
  • 세계는 기후 위기, Covid-19에 직면함에 따라 물 산업 분야 탄소감축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GWI(Global Water Intelligence)에서는 2030 물 분야 탄소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17억 8,500만 달러, 노후자산 교체를 위한 신규 인프라 건설에 40억5600만 달러의 비용이 들 것으로 추산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물산업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물 기업 혁신 전략 마련에 앞서 '영국 물 산업 2050 혁신 전략' 사례를 고찰하였다. '영국 물 산업 2050 혁신 전략'은 물 산업의 변화를 자극하고 장기적으로 고객과 환경, 그리고 국제사회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본 전략은 현재와 미래에 제공할 물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과 이해관계자의 요구(Needs)에 집중한다는 특징이 있다. 문제점에 대한 시스템적 관점을 취하면서, 물 부문이 더 넓은 사회적 요인(물, 식량, 에너지 등)에 대해 대응할 수 있는 역할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결과적으로, 산업 인프라 및 환경 관련 다양한 부문 간 협력에 의한 시너지 창출은 온실가스 배출 'Zero'(2050년) 목표 달성에 한발 다가설 것으로 기대되며, 에너지, 제조, 데이터 과학, 식량 안보, 생태 복원 등의 분야는 물 산업 간 연계성이 높아 물 분야 혁신의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물 산업 혁신 전략으로 첫째, 중장기적인 혁신을 제공할 수 있는 통합 혁신 센터를 설치하여 인적·물적 자원을 네트워크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물 분야 데이터 개방을 통하여 일반, 학계, 중소기업, 스타트업 등과 공동성장 지원을 제시하였다. 셋째, 다양한 물 문제와 경영 의사결정에 환경성을 고려할 것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