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식미

Search Result 251,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한국전통문양을 응용한 니트 드레스 디자인 연구

  • 이윤미;박재옥;이연희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4a
    • /
    • pp.81-81
    • /
    • 2003
  • 전통문양은 우리 민족의 집단적인 가치 감정이 표현된 미술로서, 우리 고유의 민족성과 생활양식에 의해 발전되어왔다. 그 중 떡살문양과 창살문양은 조형성과 예술성이 뛰어난 전형적인 전통 문양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 떡살문양과 창살문양을 현대적 미의식에 맞도록 재구성하여 니트디자인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이는 다양한 니트의 표현기법으로 전통미를 살린 실용적인 복식디자인 개발을 하여 우리 것에 대한 아름다움과 가치를 널리 알리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략)

  • PDF

Research on the Costume for the Folk Festivals of Chilseok-dong (칠석동 민속축제복식에 관한 연구)

  • Kim, Eun-J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7 no.12
    • /
    • pp.1397-1404
    • /
    • 2003
  • 2002년 월드컵 전야제에서는 한국문화를 소개해 세계인의 환호를 받았는데 그 중에는 칠석동 민속축제인 고싸움놀이가 펼쳐졌다. 칠석동 민속축제는 일반 서민복식의 전통복 형태를 보여주는 복식(服飾)을 실제 착용하고 축제를 행하고 있으므로, 점차 사라져 가는 전통복식을 놀이문화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가치를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화 시대에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정체성 확립을 위해 시대적 변화에 따라 변해 가는 민속복식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칠석동 고싸움놀이를 중심으로 시대적 흐름을 통한 고싸움놀이의 전수과정에서 형성되어 온 민속축제복식의 구성과 특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광주지역인 광산구 칠석동 마을을 중심으로 자료조사와 현장조사를 병행하였다. 자료조사는 민속에 관련된 전공서적과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행사팜플렛 등을 참고하였고, 현장조사는 고싸움 축제에 참가하여 복식 전반에 대한사진촬영과 마을축제 참여하는 마을사람들을 중심으로 축제복식에 관한 면담조사를 하였다. 칠석동 고싸움 축제복식은 행사가 진행되는 내용에 따라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본격적인 고싸움이 시작되기 전날 밤에 당산나무에 제를 지내는 당산제 복식, 마을의 평안과 고싸움의 흥을 돋우기 위한 농악복식, 고싸움이 시작되기 전에 아낙네들이 손과 손을 맞잡고 둥글게 돌며 화합을 다짐하는 강강수월래 복식, 한해 풍년을 기원하는 고싸움복식이 있다. 칠석동 고싸움 축제복식의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면에서는 농경제의(農耕祭衣)와 안택축원(安宅祝願的)을 기원하는 민속놀이축제복식으로 일상생활에 착용하는 복식을 이용한 농경 의례복의 다(多)기능성이 강조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색상은 우리조상의 백의(白衣)의 상징인 일상복인 백색 위에 오방색을 사용하여 화려하고도 강렬한 원색의 색상조화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형태면에서는 양쪽어깨와 허리선의 면 분할이나 비례를 통해 허리부분의 동작에 따른 유동적인 선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평면구성의 단조로움은 흔들리는 몸동작에 따른 고름의 율동미와 축제복식의 착장 방법에 따른 한국복식의 형태미를 보여주었다.

A Study on East Asian Costume Beauty, Affected by Religion - Focusing on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 (종교의 영향을 받은 동아시아 복식미의 연구 - 불교.도교.유교를 중심으로 -)

  • Seo, Bong-Ha;Kim, Min-J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8 no.2
    • /
    • pp.93-106
    • /
    • 2008
  • Asia Folk Costumes are certainly different from the Western Costumes. This distinction is based upon the effect of environment, technology, and social structure, and especially, which was generated by religion, ideology, and philosophy. The ideas of fundamental ground of this eastern features are religions such as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The religion of the East has determined the form of traditional costumes, affecting the costume up to now. This study aims at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religion on the formation of East Asia Traditional Costumes around Korea, China, and Japan and its figurative beauty. Study was carried out by chiefly referring to literatures. Eastern Aesthetics was formed by accepting aesthetic concepts, acquired from the idea of Three Religions. Especially, the ideas of non-duality(不二), emptiness(空), five aggregates(五蘊), mind control(心法), derived by Buddhism, and nature theory(自然論) and creationism(創造論) of Taoism, and abstinence theory(節制論) and decorum(禮法) and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陰陽) of confucianism have had great effect on the aesthetics of costume. The figurative features of costume, affected by three religions are described by the factors; First, non structural feature, second, the beauty of abstinence and chastity of ample silhouette, third, the feature of natural color and achromatic color, fourth, the figurative feature of costume by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 and fifth, bright ornaments. The aesthetic values of the East Asia Costume are 'A Beauty of Vacancy', 'A Beauty of Concealment', 'A Beauty of Nature', and 'A Beauty of Symbolism'. As philosophy, culture, and ethnics itself, the religions of Asia have had effect on the overall culture, which is inclusive of social structure, as well as art and aesthetics, and have decided the style of costu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