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East Asian Costume Beauty, Affected by Religion - Focusing on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

종교의 영향을 받은 동아시아 복식미의 연구 - 불교.도교.유교를 중심으로 -

  • Seo, Bong-Ha (Dept. of Stylist, Yong-in Songdam College) ;
  • Kim, Min-Ja (Dept. of Clothing &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서봉하 (용인송담대학 스타일리스트과) ;
  • 김민자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Asia Folk Costumes are certainly different from the Western Costumes. This distinction is based upon the effect of environment, technology, and social structure, and especially, which was generated by religion, ideology, and philosophy. The ideas of fundamental ground of this eastern features are religions such as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The religion of the East has determined the form of traditional costumes, affecting the costume up to now. This study aims at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religion on the formation of East Asia Traditional Costumes around Korea, China, and Japan and its figurative beauty. Study was carried out by chiefly referring to literatures. Eastern Aesthetics was formed by accepting aesthetic concepts, acquired from the idea of Three Religions. Especially, the ideas of non-duality(不二), emptiness(空), five aggregates(五蘊), mind control(心法), derived by Buddhism, and nature theory(自然論) and creationism(創造論) of Taoism, and abstinence theory(節制論) and decorum(禮法) and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陰陽) of confucianism have had great effect on the aesthetics of costume. The figurative features of costume, affected by three religions are described by the factors; First, non structural feature, second, the beauty of abstinence and chastity of ample silhouette, third, the feature of natural color and achromatic color, fourth, the figurative feature of costume by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 and fifth, bright ornaments. The aesthetic values of the East Asia Costume are 'A Beauty of Vacancy', 'A Beauty of Concealment', 'A Beauty of Nature', and 'A Beauty of Symbolism'. As philosophy, culture, and ethnics itself, the religions of Asia have had effect on the overall culture, which is inclusive of social structure, as well as art and aesthetics, and have decided the style of costume.

Keywords

References

  1. 이준오 (1990). 아르뛰르 랭보의 詩. 영혼의 언어와 침묵-동양의 형이상학과 미학. 서울: 숭실대학교 출판부, p. 239
  2. Malcolm Barnard (1996). The Function of Fashion and Clothing. Fashion as Communication. Oxford: Resources, p. 67
  3. Paul Tillich (1948). The Protestant Era.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17
  4. Max Weber (1993). The Sociology of Religion. (Trans.) Ephraim Fischoff. Boston: Beacon Press, pp. 27-28
  5. 김민자 (2004a). 복식미학 강의 1: 복식미를 보는 시각. 서울: 교문사, p. 18
  6. 이은영 (1997). 패션마케팅. 서울: 교문사, pp. 26- -34
  7. 1998 Britannica Book of the Year. p. 314
  8. Max Weber (1968). The Religion of China. Glencoe: The Free Press, p. 329
  9. 배국원 (2000). 현대 종교철학의 이해: 종교에 대한 후기 근대적 접근. 서울: 동연, pp. 181-182
  10. 윤재근 (2006). 東洋의 本來美學. 서울: 나들목, p. 67
  11. 류무상 (2005). 성서적 입장에서 본 유교, 불교 그리고 서양철학. 서울: 심산, p. 294
  12. 이훈구 (2000). 비교종교학. 서울: 은혜출판사, p. 228
  13. 송흥국 (2005). 세계종교와 기독교. 서울: 한국문서선교회, pp. 219-22
  14. 김종서 (2005). 종교사회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 243
  15. Smart, Ninian (2000). 종교와 세계관. 김윤성(역). 서울: 이학사, pp. 88-89
  16. 임영자 (1990). 韓國 宗敎服飾-佛敎와 道敎服飾을 中心으로. 서울: 아세아 문화사, p. 48
  17. 라미라 편 (1991). 민속복식. 서울: 주식회사 라미라, p. 201
  18. 조효순 (1989). 복식. 서울: 주식회사 대원사, p. 65
  19. 井筒雅風 (2004). 日本女性服飾史. 서울: 도서출판 경춘사, p. 97
  20. 윤재근 (1993). 동양의 미학. 서울: 도서출판 둥지, p. 71
  21. 서봉하, 김민자 (2007). 不二 사상에 영향을 받은 전통복식의 조형미. 복식, 57(3), p. 174
  22. 조요한 (1999). 韓國美의 照明. 서울: 열화당, p. 95
  23. 윤재근 (2006). 동양의 미학. 서울: 도서출판 둥지, pp. 71-78
  24. 윤재근 (2006). 동양의 미학. 서울: 도서출판 둥지, pp. 443-444
  25. 윤재근 (2006). 동양의 미학. 서울: 도서출판 둥지, pp. 39-43
  26. 임영자, (1990). 韓國 宗敎服飾-佛敎와 道敎服飾을 中心으로. 서울: 아세아 문화사, p. 196
  27. 윤재근 (2006). 동양의 미학. 서울: 도서출판 둥지, pp. pp. 167-169
  28. 이경자, 홍나영, 장숙환 (2003). 우리 옷과 장신구. 서울: 열화당, p. 323
  29. 자료검색일 2007. 9. 27, 자료출처 www.japanesekimono.com
  30. 吳哲夫 總編輯 (1986). 中華五千年文物集刊: 服飾篇 下. 臺北: 中華五千年文物集刊 編輯委員會, p. 357
  31. 금기숙 (1994). 朝鮮服飾美術. 서울: 열화당, p. 4
  32. 경운회 (2003). 근세복식과 우리문화. 서울: 경운박물관, p. 61
  33. 금기숙 (1994). 朝鮮服飾美術. 서울: 열화당, p. 85
  34. 今道友信 (2005). 동양의 미학. 조선미(역). 서울: 다할미디어, p. 148
  35. 今道友信 (2005). 동양의 미학. 조선미(역). 서울: 다할미디어, p. 143
  36. 구문회 (2003). 우리옷의 발자취를 통해 본 사회상. 생활 속에 담긴 우리 옷의 발자취.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p. 92
  37. 석주선기념박물관 (2005). 名選(中).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p. 138
  38. Garrett, Valery M. (1994). Chinese Clothing, An Illustrated Guide. OXFORD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 76
  39. 이경자, 홍나영, 장숙환. (2003). 우리 옷과 장신구. 서울: 열화당, p. 19
  40. 자료검색일 2007. 9. 27, 자료출처 www.iz2.or.jp
  41. 윤재근 (2006). 동양의 미학. 서울: 도서출판 둥지, pp. 157-159
  42. 임영자 (1990). 韓國 宗敎服飾-佛敎와 道敎服飾을 中心으로. 서울: 아세아 문화사, pp. 35-37
  43. 박석준 (2005). 陰陽, 이동철.최진식.신정근(엮음), 21세기의 동양철학. 서울: 을유문화사, p. 188
  44. 구미래 (1992). 한국인의 상징세계. 서울: 교보문고, pp. 62-65
  45. 이종철 (2000). 국립민속박물관 자료총서: 胸背.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p. 39
  46. 임영자 (1990). 韓國 宗敎服飾-佛敎와 道敎服飾을 中心으로. 서울: 아세아 문화사, p. 36
  47. 韋榮慧 (1992). 中華民族服飾文化. 北京: 紡織工業出版社, p. 64
  48.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영원한 삶. 저승 빔, p. 32
  49. 자료검색일 2007. 5. 22, 자료출처www.bridalsalon.co.jp/image
  50. 금기숙 (1994). 朝鮮服飾美術. 서울: 열화당, p. 68
  51. Garrett, Valery M (1994). Chinese Clothing, An Illustrated Guide. OXFORD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 130
  52. 자료검색일 2007. 9. 12, 자료출처www.general-museum.fks.ed.jp
  53.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巫具. 서울: 민속원, p. 148
  54. 윤재근 (2006). 동양의 미학. 서울: 도서출판 둥지, pp. 206-207
  55. 홍윤식 (1986). 韓國의 佛敎美術. 서울: 대원정사, p. 21
  56. 김민자 (2004b). 복식미학 강의 1: 복식미를 보는 시각. 서울: 교문사, pp. 159-160
  57. 김용덕 (2002). 불교와 민속과 환경의 생태론적 연구. 민속과 환경. 서울: 민속원, p. 152
  58. 김민자(2004a). 복식미학 강의 1: 복식미를 보는 시각. 서울: 교문사, p.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