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부 비만도

검색결과 764건 처리시간 0.025초

복부형비만군과 정상군간의 비만지수 혈압 및 혈청지질의 성별 차이 (Difference of the Obesity Index,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s in Abdominal and Non Abdominal in Men and Women)

  • 김희승;김남초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48-955
    • /
    • 2000
  •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obesity index(waist-hip ratio, body fat, body mass index, relative body weight),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s in abdominal obesity and non abdominal in both men and women. Abdominal and non abdominal obesity was divided into waist-hip ratio above 0.85 in women and 0.95 in men. The subjects were 412 adults (age range 40-59), who had regular health examinations between 1996 to 1997 at the S-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COVA (for adjusted for age)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39.9% of men and 42.5% of women had abdominal obesity. The average age group of abdominal obesity was 50.8 which is older than the non abdominal obesity group(48.0). 2. After they were adjusted for age, the group of men who have abdominal obesity had higher levels in body fat, body mass index, relative body weight,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than the group of non abdominal obesity group. The group of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had higer levels in body fat, body mass index, relative body weight , blood pressure and triglyceride than the group of non abdominal obesity. 3. In the group of non abdominal obesity, the waist-hip ratio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body fat, body mass index, relative body weight,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s the group of abdominal obesity in men and women.

  • PDF

스톤마사지 테라피가 복부비만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one Massage Therapy on Abdominal Obesity Reduction)

  • 반소정;김정숙;김지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7-27
    • /
    • 2013
  •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examine the effects of stone massage therapy on abdominal obesity reduction. 10 sessions for 5 weeks two times a week of stone massage therapy were offered to 43 adult females who were 40s through 70s with 27% or more of body fat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body composition like body fat mass, fat free mass, weight and skeletal muscular mass etc and the degrees of obesity like body fat ratio abdominal fat ratio were measured and analyzed before and after stone massage therap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were obese body type and stone massage therapy produced positive effects with body fat mass, fat free mass, weight and BMI value slightly less than before the therapy. Second, as the average values of body fat ratio and waist hip ratio of subjec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stone massage 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abdominal obesity. Third, as for the change of waist hip ratio, the 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waist hip ratio that 40s decreased insignificantly after the therapy, and 50s and 60s significantly at p<0.05 level respectively from 0.92 to 0.90 and from 0.93 to 0.92.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stone massage therapy has positive effects on abdominal obesity reduction, and can contribute to healthy life and well-being culture.

  • PDF

가상 착의 시스템에 의한 복부 비만 중년 남성의 슬랙스 원형 개발 (A Development of Slacks Patterns for the Abdomen-obese Middle-aged Males from a Virtual Garment Simulation)

  • 임지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5호
    • /
    • pp.1009-101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lacks patterns for middle-aged abdomen-obese adult males by using the 3D virtual-twin and virtual-garment simulation system. The criteria for subjects in this study were males who had over $25kg/m^2$ of BMI, over 90cm of waist, and over 0.90 of WHR. A total of 211 adult males who met these criteria were enroll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new slacks pattern considerate of abdomen-obese men was development. The basic numerical formula were as follows: front and back hip girth H/4+3.5, front waist girth W/4+1+0.5, back waist girth W/4+1-0.5, front crotch extension H/16, back crotch extension H/8-0.5, front pleats amount 2.7, and back dart amount 1.5.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new slacks patterns appearance evaluation, the new slacks pattern scored more highly than the existing pattern in silhouette and ease amount, confirming that the new slacks pattern is appropriate for the abdomen-obese men. Also, the new slacks pattern was evaluated allowing proper space length of waist, abdomen and hip. Virtual models of production through data from a 3D body scan, pattern draft and virtual garment digital program were applied to a prototypic design method in order to enhance the fitness of ready-made garments. The use of the virtual twin made it impossible to comprehend the appearances and ease correspondent to motions. In order to evaluate wearing fitness, therefore, the system should be improved so as to change arm positions and perform various motions.

중년기 복부 비만 여성의 생활형 랩 원피스 스타일 댄스 스포츠 연습복 패턴 개발 (Development of patterns for comfortable wrap-one-piece style dance sport practice wear in daily life for middle-aged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 김정하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6호
    • /
    • pp.771-786
    • /
    • 2020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life-friendly, wrap-one-piece style dance sports practice wear consider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abdominally obese women. These types of practice wear allow people to enjoy exercise easily and to wear these garments as daily wear while meeting the requirements for dance sports wear. The three participants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all women with five or more years of dance sports experience and were all average sized on Korea's abdominal obesity scale. In the first phase of the study, practice wear was created in a total of nine styles with three different styles of neckline depths for three different styles of dress skirt lengths. In the second phase of the study, the practice wear was created in 15 styles with five different styles of sleeve lengths for three different styles of waistline heights. After analyzing the design preferences of the participants, the fit preferences of the designs were evaluated and the final appearance was analyzed in order to suggest a pattern. The results of the subjects' first and second preference evaluations showed a preference for a 10 centimeter neckline depth, for high waistlines, and for elbow to wrist-length sleeves. The implementation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extensive, as its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making lifestyle dance sports practice wear that covers the physical insecurities of middle-aged, abdominally obese women and enables them to enjoy their leisure time.

폐경 후 여성의 골밀도 수치와 지방조직과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Adipose Tissue of Postmenopausal Women)

  • 김선화;김정훈;임인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2호
    • /
    • pp.219-228
    • /
    • 2017
  • 폐경 후 여성에서 골다공증과 비만은 삶의 질적인 면에서 많은 영향을 미친다. 폐경 후 여성은 호르몬의 변화로 골다공증과 비만의 위험이 높아진다. 골다공증과 체중과의 관련성이 알려져 있고 특히 체지방량과의 관련성이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경 후 여성에서 골밀도 수치에 따라 체지방 중 심장외막지방과 복부피하지방과 비교하여 골밀도 수치 변화가 지방조직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내과 및 검진센터를 방문한 폐경 후 여성 중 골밀도검사와 심장초음파를 실시한 160명이 연구대상이었다. 심장외막지방두께는 세 단면의 측정값을 평균하였으며, 골밀도 수치는 L-spine과 대퇴골 경부의 T값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및 골밀도검사는 진단기준에 맞게 측정하여 연구결과 나이가 증가할수록 골다공증의 위험이 높아지고 체중은 감소할수록 골다공증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폐경 후 여성에서 지방조직과 골밀도 수치변화의 연관성을 보기 위한 연구결과에서는 심장외막지방두께의 증가는 골밀도 수치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0.05), 복부피하지방두께의 증가는 골밀도 수치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즉 지방조직의 침착위치에 따라 골밀도 수치가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기 여성에서 심장외막지방조직의 두께 변화를 정기적으로 검사한다면 골다공증을 미리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점 상승 하강 공법에 의한 강상자형교의 국부좌굴 (Local Buckling in Steel Box Girder Bridge with Lifting and Lowering Support Method)

  • 구민세;정재운;나귀태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77-85
    • /
    • 2003
  • 기존 강상자형 연속교의 단점을 보완하고 보다 경제적인 단면의 설계를 위한 지점 상승 하강 강상자형교는 내측 지점의 부모멘트 구간에 전단 연결재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충진시켜 단면의 강성을 높이고 지점의 상승 및 하강 과정을 통하여 바닥판 콘크리트에 선압축력을 도입한다. 본 공법을 사용하면 한국도로공사 도로설계실무편람(1996)이 제시한 강상자형교의 설계 및 표준 단면의 형고에 비해 약 12%를 낮출 수 있으므로 형하 공간 확보에 유리하고, 같은 형고를 가지는 경우 상 하 플랜지 두께를 줄여 전체 강재량을 14%가량 감소시킬 수 있다. 평판의 강성을 크게 하기 위해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보다 보강재로 보강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므로 강상자형교 주형의 상 하부 플랜지 및 복부판은 각종 보강재로 보강된 얇은 판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강된 평판의 탄성 좌굴계수(k)는 작용력의 종류, 형상비, 경계조건 외에도 보강재로 수, 배치 간격, 강성비와 면적비에 따라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다. 기존의 강상자형 연속교와 달리 지점 상승하강 강상자형교의 하부 플랜지 및 복부판은 내측 지점의 상승 과정에서 큰 압축력을 받게 되므로 전체 주형의 좌굴이 발생하기 전에 구성 판이 먼저 좌굴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내측 지점의 상승력과 보강된 판의 강도를 고려하여 일부 정모멘트 구간의 하부 플랜지 및 복부판의 종방향 보강재 수를 증가 시키고 수평 보강재를 연장하여 배치한다.

디지털 방사선 시스템(DR)의 복부와 골반부 검사 시 관전압과 감도 변화에 따른 영상 화질과 방사선 출력의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Image Quality and Stability of Radiation Output according to Change in Tube Voltage and Sensitivity when Abdomen and Pelvis Examination of Digital Radiography (DR))

  • 황준호;양형진;최지안;이경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517-526
    • /
    • 2019
  • 본 연구는 자동노출제어장치 사용 시 파라미터 조합에 따른 영상 화질과 방사선 출력을 분석하여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실험방법은 관전압 70, 81 kVp와 자동노출제어장치(Automatic Exposure Control, AEC)의 감도 S200, S400, S800, S1000을 조합해서 복부와 골반부의 입사표면선량, 관전류량,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 대조도 대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CNR), 시간-방사선량 곡선을 구하였다. 그 후 영상 화질과 출력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입사표면선량, 관전류량, 신호 대 잡음비, 대조도 대 잡음비는 관전압과 감도가 높게 설정될수록 감소하였다. 또한 관전압과 감도가 높게 설정될수록 시간-방사선량 곡선은 출력의 안정성이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복부와 골반부 검사 시 관전압과 감도를 높게 조합할수록 검출기는 영상 화질과 방사선 출력을 정상적으로 재현해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비교적 낮은 관전압과 감도를 조합하여 검출기가 파라미터의 조합을 인식할 때 발생하는 오차 범위를 최소화해야 영상 화질과 방사선 출력의 안정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종류의 특수영양식품을 적용한 상업성 체중관리 프로그램과 1300 kcal의 조절식단을 적용한 체중관리프로그램의 복부 지방율의 변화량과 비만도 및 건강위험 요인에 미치는 영향

  • 구선영;김상연;박민정;김인혜;장유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23.2-424
    • /
    • 2004
  • 최근 들어 국내에서는 체중조절이 사회적인 문제로 다루어질 만큼 커다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이에 체중조절을 시도하는 사람들의 급속한 증가와 아름다워지려는 여성들의 요구에 의해 무분별한 다이어트가 시행되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이와 관련된 상업성 다이어트 업체들도 현저히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특정 다이어트제품의 비만도(body mass index; BMI (kg/$m^2$)의 감소에 따른 효능평가에 관한 연구는 보고 되고 있으나 건강 위험인자의 개선에 대한 효과 평가는 미흡한 실정이다.(중략)

  • PDF

철근콘크리트 깊은 보의 파괴거동과 전단강도 산정식 (Failure Behaviour and Shear Strength Equations of Reinforced Concrete Deep Beams)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한 위암의 치료 (Treatment of Stomach Cancer Involving Esophagogastric Junction)

  • 이종목;백희종;박종호;임수빈;조재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2호
    • /
    • pp.930-936
    • /
    • 2001
  • 배경 : 식도-위 경계부위에 발생되는 암의 원발병소에는 하부식도의 편평상피세포암, 바렛씨 식도에서 발생한 선암, 위의 분문부에서 발생한 선암, 그리고 상부 위암에서 하부식도를 침범하는 경우들이 있다. 이중 국내에서는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하는 선암의 대부분은 상부위암의 경계부 침범으로 생각된다. 대상 및 방법 : 저자등은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하는 위암중 1988년부터 1999년까지 원자력병원에서 수술적 절제를 시행받은 환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 총 212명이 수술을 받았고 남녀비는 156:56 이었다. 나이는 22세에서 78세였고 정중복부절개, 좌 우 흥부절개 및 복부절개, 그리고 흉-복부 동시절개 등이 이용되었다. 술후 병기는 IA가 7명, IB가 11명, II가 26명, IIIA가 75명, IIIB가 35명, 그리고 IV기가 58명 이었다. 199명에서 근치적 절제를 할 수 있었고 200명에서 위의 전절제를 시행하였다. 164례 에서 하부식도의 침습이 있었다(77.4%). 74.1%는 복부 임파절에 전이가 있었고 17례(8%)에서 종격동 임파절의 침범이 있었다. 수술 사망률은 3.3%였고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35%였다. 결론 : 또 여러 가지 수술 접근방법이나 수술시 고려해야 할 점들이 많지만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한 위암의 수술시 충분한 절제길이와 적절한 임파절의 절제를 위하여 흉부 및 복부의 동시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