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부 비만도

검색결과 762건 처리시간 0.035초

소아 복부비만 진단을 위한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의 유용성과 여러 지표와의 상관성 연구 (The Usefulness of the Abdominal Computerized Tomography for the Diagnosis of Childhood Obesity and Its Correlation with Various Parameters of Obesity)

  • 심윤희;조수진;유정현;홍영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0호
    • /
    • pp.1082-1089
    • /
    • 2005
  • 목 적 : 복부 비만은 고혈압, 인슐린 저항, 고인슐린혈증, 당뇨, 고지혈증과 같은 많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복부 비만을 측정하는 지표로 허리/둔부 비와 허리둘레가 사용되고 있으나, 관상동맥 질환의 예측인자로 복부 비만의 측정학적 cut-off 수치가 소아에서는 아직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과 초음파를 이용하여 복부 지방을 측정하고, 여러 비만 지표들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함으로써 복부 비만의 합병증으로 초래되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 평가 방법을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비만한 청소년 27명과 나이와 성별이 대등한 정상 체중을 가진 청소년 22명을 대상으로 하여 체질량 지수와 비만 지수, 상완둘레 및 삼각근에서 피부 두께를 비교하였다. 또한, 12시간 공복 상태에서 혈중 지질 및 혈당, 인슐린, 4가지 사이토카인을 측정하고, 인슐린 저항 지수를 구하였으며, 생체 전기저항법을 이용하여 체지방량, 체지방률, 복부지방률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비만군에서는 복부 초음파로 배꼽부위 피하지방 두께와 복강 내 지방 두께를 측정하고,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으로 얻은 횡단면 스캔에서 전체 지방 면적을 구하였고, 이 중 피하지방의 면적을 감산하여 복강 내 지방 면적을 구하였다. 결 과 : 소아에서 복부 CT로 측정한 총 지방 면적과 생체 전기 저항법으로 측정한 총지방량과 상관성이 매우 높았다(r=0.954, P<0.05). 복부 CT에서 측정한 복강 내 지방 면적은 상완둘레, 복부비만율, 초음파로 측정한 복부 내 지방 깊이 및 피하 지방량, 체질량 지수, 중성지방 등과 상관성이 높았다. 결 론 : 복부 CT는 복강 내 지방을 측정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이지만 임상적으로 유용하지 못하므로, CT와 상관성이 높은 복부 초음파로 대치할 수 있다. 외래나 학교 신체검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선별 검사로는 생체 전기 저항법에 의한 체지방 측정, 상완 둘레, 체질량 지수, 허리/둔부 비 등이 있다. 소아 성인병의 심혈관 위험 예측 지표로는 공복시 leptin, 중성지방, 인슐린 농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증상 알아두기-복부비만의 주범, 내장지방을 주의하라!

  • 이선진
    • 건강소식
    • /
    • 제32권8호
    • /
    • pp.20-23
    • /
    • 2008
  • 내장지방은 성인병 발생 위험과 높은 관련이 있다. 내장비만인 사람들은 몸에 독소를 쌓아두고 있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한 번 쌓인 독소는 계속해서 체내에 남아 유해 활성산소를 반복해 발생시키면서 몸 속 세포들에게 해를 준다. 이처럼 복부비만은 건강의 적신호이다. 여름철 과다영양 섭취로 인해 복부비만이 의심된다면 지금부터 내장지방의 원인과 치료법에 대해 꼼꼼하게 살펴보고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자.

  • PDF

복부 CT 영상을 이용한 비정상 간의 세그멘테이션 기법 (A segmentation method of abnormal liver using abdominal CT images)

  • 성원;박종원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2)
    • /
    • pp.646-648
    • /
    • 2003
  • 일반적으로 복부 CT 영상에서 간암이나 다른 병변들을 갖고 있는 않은 정상 간은 고른 그레이값 분포 범위를 가지고 있다. 그 그레이값 범위는 대개 90 에서 92 사이의 값이다. 그러나. 복부 CT 영상에서 간암이나 여러 병변들을 가지고 있는 비정상간의 경우는 정상간의 경우와 같이 90 에서 92 사이의 일정 간격의 그레이값들만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 비정상간의 경우는 병변들로 인하여 건강한 간의 실질 부분의 그레이값만을 나타내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이는 복부 CT 영상에서 간 부분을 세그멘테이션할 때 정상간 부분과 비정상간 부분의 세그멘테이션 방식이 다를 수 있음을 말해준다. 보통 기존에 있는 정상간의 세그멘테이션 기법은 위치 정보와 함께 일정 간격의 그레이값 분포 정보를 이용하여 수월하게 간을 세그멘테이션 했다. 그러나, 이 방식은 비정상간을 세그멘테이션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간의 위치 정보, 거리 정보를 이용하고 각도선 조절 기법 등을 사용하여 비정상간을 세그멘테이션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세그멘테이션이 어려운 간암 보유 복부 CT 영상에 적용되어 효과적인 간의 세그멘테이션을 가능하게 하였다.

  • PDF

컴퓨터단층촬영과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으로 측정된 복부지방의 비만지표로서의 유용성 (Usefulness of Abdominal Fat Measured by Computed Tomography and 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 as an Obesity Index)

  • 김미영;김화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807-813
    • /
    • 2011
  • 비만인 관리를 위해서는 복부지방의 정확한 측정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BIA와 CT를 이용해 측정한 복부지방과 지질과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이들 측정방법의 비만지표로서의 유용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성인 남성 1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체중 비만그룹의 TG가 정상그룹에 비해 높았으며, HDL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정상그룹의 TG와 HDL은 BIA와 CT측정값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과체중 비만그룹은 TG가 BIA 측정값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CT측정값과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그룹의 체지방량과 총복부지방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HDL이었으며, 과체중 비만그룹은 TG가 체지방량과 체지방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고 복부지방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TC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복부지방과 지질과는 연관성이 있으며, BIA와 CT를 이용해 복부지방량을 평가하는 것은비만평가에 유용한 방법이라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내장비만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CT검사를 병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한국 성인의 커피 섭취 유형에 따라 비만 및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 연구 : 2013 ~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 (Association with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according to the kind and amount of coffee intake in Korean adults: 2013~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박형섭;이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4호
    • /
    • pp.369-382
    • /
    • 2019
  • 본 연구는 제 6기 (2013 ~ 2015년), 제 7기 1년차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만 19세 이상 성인 13,429명 (남 : 5,284명, 여 : 8,145명)을 대상으로 커피 섭취빈도 및 섭취 방법이 비만과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커피 섭취빈도 및 섭취방법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식품섭취빈도조사지의 커피, 설탕, 프림 섭취 빈도를 활용하여 하루 단위의 커피 섭취횟수와 커피 섭취 유형을 분류한 후 비만 및 복부비만의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커피 섭취횟수를 보면 커피 미섭취군 11.6%, 하루 1회 미만 22.3%, 하루 1회 18.5%, 하루 2회 23.7%, 하루 3회 이상 23.9%로 조사대상자의 65% 이상은 하루 1회 이상 커피를 섭취하였고, 커피 섭취자 중 블랙커피 섭취자 보다는 믹스커피 섭취자가 2배 이상 많았다. 커피 미섭취군에 비해 하루 3회 이상 커피 섭취군에서 에너지, 탄수화물 및 당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을 뿐만 아니라, 비만과 복부비만자의 비율 역시 유의적으로 많았다. 커피 섭취가 비만 발생의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커피 미섭취군에 비해 하루 2회 섭취군에서 1.30 (95% CI: 1.08 ~ 1.57), 하루 3회 이상 섭취군에서 1.33 (95% CI: 1.11 ~ 1.60)으로 나타나 하루 2회 이상의 커피 섭취는 비만과 복부비만 발생의 위험을 30% 정도 증가시켰고, 복부비만의 위험은 커피 비섭취군에 비해 하루 1회 미만 섭취군 1.27 (95% CI: 1.02 ~ 1.57), 하루 1회 섭취군 1.34 (95% CI: 1.08 ~ 1.66), 하루 2회 섭취군 1.35 (95% CI: 1.09 ~ 1.67), 하루 3회 이상 섭취군 1.40 (95% CI: 1.14 ~ 1.72)로 나타나 하루 1회 이상의 커피 섭취는 복부비만의 위험을 34% 정도 높였으며, 성별에 상관없이 커피 섭취는 커피 미섭취자에 비해 비만과 복부비만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커피 섭취방법에 따른 차이를 보면 전체 대상자의 경우 블랙커피와 믹스커피 모두 비만과 복부비만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추이를 보였으나, 성별에 따라서는 커피 섭취방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블랙커피의 경우 남성에서는 복부비만 발생의 위험을, 여성에서는 비만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추이를 보였고, 믹스커피의 경우 남성은 하루 3회 이상 섭취 시, 여성은 하루 2회 이상 섭취 시 비만과 복부비만의 위험을 34% 정도 증가시켰다. 본 연구결과 성별에 따라 커피를 섭취하는 방법이 비만과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를 보이긴 하였으나, 전체대상자를 보았을 때 커피의 종류에 상관없이 커피섭취는 비만 및 복부비만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식이요인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비만 및 만성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커피 섭취 유형 및 적정수준의 커피섭취량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 위한 근거자료로 본 연구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중년기 비만 여성의 생리적 지표에 대한 복부비만관리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Effects of an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Program on Physiological Bio-markers of Middle-aged Women in Korea: A Meta-analysis)

  • 김경진;홍해숙;박완주;고상진;나연경
    •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 /
    • 제25권3호
    • /
    • pp.138-148
    • /
    • 2016
  • 배경: 한국의 중년여성의 복부비만 유병률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복부비만 관리프로그램의 종류와 그 효과가 다양하고 효과적인 중재 방법을 선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중년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규명하여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학술지 392편, 학위논문 380편으로 총 772편의 논문 중 중복된 자료를 제외한 647편에서 조사연구이거나 나이에 적합하지 않거나 대조군이 선정되지 않는 등, 선정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604편을 제외하여 총 43편의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주요 비만지표의 효과크기를 분석하고, 각 효과크기의 이질성에 대한 설명을 위해 메타 ANOVA와 메타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출간오류분석을 통해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의 표준화된 평균 효과크기는 0.22로 작은 효과크기를 나타냈고, 염증성 지표와 지방분포율은 각각 0.36으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대사성 지표는 0.21, 신체계측 지표는 0.18로 작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질성은 중간 정도의 이질성($I^2=44.5%$, Q = 844.57, P<0.001)을 보였고,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여부나 출판여부에 따라 효과크기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최근 대두되고 있는 비만 여성에 대한 건강 증진 및 복부비만 개선에 대한 중재효과를 계량적으로 분석한 점에서 복부비만프로그램 중재의 효과파악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성인의 식생활평가지수 및 복부비만의 관계: 고감도 C-반응 단백질의 매개효과 (Association between Korean Healthy Eating Index and abdominal obesity in Korean adults: the mediating effect of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 윤진아;신다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7권1호
    • /
    • pp.88-104
    • /
    • 2024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15년부터 2018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만 19세 이상 성인의 KHEI와 복부비만의 관련성 및 hs-CRP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한국 성인 남성의 경우 허리둘레 90 cm 이상, 여성은 허리둘레 85 cm 이상인 경우에 복부비만군으로 정의하였다. 남성에서 복부비만군은 2,587명, 정상군은 5,007명이였고 여성의 복부비만군은 2,869명, 정상군은 7,307명이였다. KHEI, hs-CRP, 복부비만의 연관성 분석에서는 모든 공변량을 보정하였을 때 남성의 KHEI는 복부비만과 유의한 연관이 없었지만, hs-CRP와 음의 연관성이 있었다. 여성의 경우, 복부비만과 hs-CRP 모두 음의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남성과 여성에서 hs-CRP 위험군 (> 1.0 mg/L) 이 hs-CRP 정상군 (≤ 1.0 mg/L)보다 복부비만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Bootstrapping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KHEI와 복부비만 관계에서 hs-CRP가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변량을 단계적으로 보정하였을때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균형잡힌 식생활를 통한 높은 식사의 질이 hs-CRP에 영향을 미쳐 복부비만 예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2주간의 음악 줄넘기 운동이 비만 남자 중학생의 혈청 Adiponectin 농도와 복부지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12-week Music Rope Skipping Exercise on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and Abdominal Fat in Obese Boys Student in Present Middle School)

  • 이혜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432-4438
    • /
    • 2014
  • 청소년층의 비만 증가 추세에 심각성을 고려하여 학생 체육의 활성화를 높이기 위해 음악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비만지표로 활용하는 adiponectin과 복부 지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남자 중학생 14세~16세 중 건강체력평가에서 기초 체력이 부족한 체력 미달로 판정받고 BMI $25kg/m^2$이상인(실험군 11명, 통제군 12명) 23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음악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집단별 음악줄넘기 운동 프로그램 실시 전과 12주후 adiponectin과 복부 지방을 측정하여 개선정도를 비교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후 체조성의 변화로 BMI가 감소하였으며 음의 상관으로 adiponectin은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복부 내장지방, 복부 피하지방, 복부 총지방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 청소년에서 음악줄넘기 운동 프로그램 실시는 체질량지수 감소가 동반될 때 adiponectin 증가의 개선을 보이고 복부 지방 또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부 초음파 영상에서 근육 추출 및 지방 분석 (Muscle Extraction and Fat Analysis in Abdominal Ultrasnography Images)

  • 채병주;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68-37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복부 초음파 영상에서 복부 근육을 추출하고 추출된 근육 영역에서 지방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복부 초음파 영상에서 밝은 명암도를 가지는 근막 영역과 어두운 명암도를 가지는 근육 영역의 명암 대비를 강조하기 위해서 앤드 인 탐색 스트레칭 방법과 Multiple 연산을 적용한다. 평균 명암도와 명암 대비가 강조된 복부 초음파 영상에서 수직 방향의 명암도가 200이상인 픽셀들은 퍼지 이진화 기법을 적용하여 이진화한다. 이진화된 영상에서 외복사근 상단선을 추출한 후, 퍼지 이진화 기법이 적용된 영상과 합성한다. 합성된 영상에서 최종 근막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각각의 복부 근육 영역에 ART2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복부 근육 영역을 양자화한다. 양자화된 복부 근육 내의 영역을 분석하여 최종 지방 영역을 추출한다. 제안된 복부 근육 추출 및 지방 분석 방법을 실제 복부 초음파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추출된 복부 근육 영역에 ART2 알고리즘 기반 양자화 기법을 적용하여 지방을 추출하는 것이 복부비만을 분석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영상 의학과 전문의를 통해 확인하였다.

  • PDF

복부부위에 대한 기계적 마사지 처치가 중년여성의 체성분, 허리둘레 및 복부지방면적 감소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echanical Massage on Body Composition, Waist Circumference and Abdominal Fat Area in Middle-aged Obese Women)

  • 임용택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00-207
    • /
    • 2020
  • 본 연구는 중년여성들의 복부지방 과다 축적에 의해 발생하는 건강상의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복부부위에 대한 기계적인 마사지 처치가 체성분, 허리둘레 및 복부지방면적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WHR 0.85 이상의 복부비만 중년여성 10명을 대상으로 1회 20~30분씩 1일 2회, 주 5일, 4주간 총 40회의 기계적 마사지 처치를 시행하였으며, 처치 전·후 각 변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체중, 체지방율, 허리둘레, 내장지방 면적, 복부 피하지방 면적, 복부 총지방 면적 등 모든 측정항목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복부부위에 대한 기계적 마사지 처치는 복부비만 중년여성들의 복부지방 감소에 도움을 주는 효율적인 방법이며, 나아가 복부지방으로 인해 야기되는 다양한 심혈관계 질환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