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막 세척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6초

진행성 위암 환자에서 복강 내 미세전이 진단을 위한 복강 세척액 $ThinPrep^{(R)}$ 세포진 굄사의 임상적 의의 (The Clinical Significance and Detection of Intraperitoneal Micrometastases by $ThinPrep^{(R)}$ Cytology with Peritoneal Lavage Fluid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 유춘근;박종익;민재석;진성호;박선후;방호윤;채기봉;이종인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4호
    • /
    • pp.189-197
    • /
    • 2008
  • 목적: 진행성 위암에서 복막 세포진 검사는 복강 내 미세전이를 진단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외에서 액상세포검사를 사용한 복막 세포진 검사의 의의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수술 중 수집된 복막 세척액을 이용한 액상세포($ThinPrep^{(R)}$) 검사의 임상적 의의를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2001년부터 2006년까지 본원에서 위암 진단하에 수술 중 위장막의 침범 또는 노출이 의심되어 복막 세포진 검사를 시행 받은 424예의 진행성 위암 환자들의 임상 병리학적 자료와 세포진 검사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복막 세포진 양성은 31%였으며, 복막 세포진 결과는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에서 T 병기, N 병기, P 병기와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3년 생존율은 복막 세포진 음성에서 68% 양성에서 26%였으며, 복막전이(P)와 복막 세포진(CY)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P0CY0 71%, P0CY1 39%, P1/2/3CY0 39%, 그리고 P1/2/3CY1 11%의 3년 생존율을 보였다. 그리고 단변량 및 다변량 생존분석 결과, 복막 세포진 결과가 성별, T 병기, N 병기, P 병기, 복막 외 원격 전이, 혈청 CEA와 함께 독립적인 예후 인자로 증명되었고, 또한 근치적 절제 군에서 복막 세포진 결과는 복막 재발의 위험 인자임이 밝혀졌다. 결론: 본 연구는 복막 세포진 검사가 복강 내 미세전이를 진단 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진단 방법이며 진행성 위암에서 강력한 예후 인자이며 복막 재발의 위험 인자임을 증명하였다.

  • PDF

개에서 자궁축농증 및 난소간막 농양에 의한 복막염 (Peritonitis Secondary to Pyometra & Ovarian Bursal Abscess in a Dog)

  • 박은정;박지영;정성목;최호정;이영원;송근호;박성준;윤기영;정태호;신상태;조종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87-389
    • /
    • 2013
  • 8년령의 중성화하지 않은 암컷 시츄견이 자궁축농증을 치료받기 위해 충남대학교 부속동물병원에 내원하였다. 임상증상으로 질출혈, 외음부출혈, 다식, 다음/다뇨 및 구토 등이 있었다. 혈액검사상으로는 미약한 백혈구감소증이 있었고 혈청화학적으로 ALP 감소 및 GLU 증가가 있었다. 방사선, 초음파 및 복강천자로 이루어졌으며 자궁축농증에 의한 복막염으로 잠정 진단하였다. 수술적 처치로 난소자궁적출술을 실시하였으며 생리식염수로 복강을 세척하였다. 심산 장 괴사가 있었고 자궁축농증에 의한 난소간막에서 농의 복강내로의 유출이 있었다. 이번 보고에서 2차적으로 패혈성 복막염이 발병할 수 있으니 자궁축농증 진단 시 2차성 질병에 대해서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위암 환자에서 복강 세척액의 CEA, CA19-9 측정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Measuring Levels of CEA, CA19-9 in Peritoneal Washing Fluid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 심규범;박지훈;구태영;민현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3호
    • /
    • pp.125-131
    • /
    • 2006
  • 목적: 위암 환자에서 복강 내 파종은 대부분 장막을 침범한 원발성 암에서 떨어져 나온 복강 내 유리 암세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장 흔한 재발의 형태이다. 수술 중 이러한 유리 암세포의 존재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위암의 치료 전략을 정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이에 수술을 시행 받은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복강 세척액에서 CEA와 CA19-9의 검출 정도와 종양의 침윤도, 림프절 전이 및 병기 등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5월부터 2006년 1월까지 건양대학교병원 외과에서 위암을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한 1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모든 환자에서 복강 세척액을 채집하여 CEA, CA19-9를 측정하였다. 위의 비선암종 환자 14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복강 세척액을 분석하였다. 결과: 위암 환자의 복강 CEA, CA19-9의 측정치는 종양의 침윤도, 림프절 전이 및 병기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P<0.05) 복강 CEA 측정치는 비선암종 환자군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복강 CEA, CA19-9의 증가는 TNM 병기와 부분적으로 평균치의 차이가 있고 복강 CEA는 다른 측정치에 비해 가치 있는 복막 전이 예측인자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복막세척액 세포검사에서 난소의 점액성, 장액성 및 자궁내막양 선암종의 감별진단 (Differential Diagnosis of Ovarian Mucinous, Serous, and Endometrioid Adenocarcinoma in Peritoneal Washing Cytology)

  • 이시내;박인애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3-88
    • /
    • 2000
  • This study presents the cytologic features of peritoneal washings,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cytologic discrimination among serous, mucinous, and endometrioid adenocarcinoma of the ovary. We selected histologically confirmed 27 cases of peritoneal washing : 8 cases of serous cystadenocarcinomas, 5 cases of mucinous cystadenocarcinomas, and 14 cases of endometrioid adenocarcinomas. The most frequent cytologic pattern of three tumors was clusters. Ball pattern was found in serous cystadenocarcinoma(36%) and acinar pattern in endometrioid adenocarcinoma(36%). Mucinous adenocarcinoma showed mucoid background(100%) and endometrioid adenocarcinoma revealed inflammatory background(43%). The cytoplasmic vacuoles were noted in 80%, 13%, and 43% of mucinous, serous, and endometriold adenocarcinoma, respectively. The endometrioid adenocarcinoma showed prominent nucleoli(64%). In conclusion, the cytologic findings of mucinous cystadenocarcinoma were different from that of serous and endometrioid carcinomas, such as mucoid background, abundant cyytoplasm with vacuolated cytoplasm, and peripherally located cytoplasm. Although endometriold carcinoma showed acinar pattern and prominent nucleoli, the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serous cystadenocarcinoma and endometrioid adenocarcinoma in peritoneal washing cytology was was always possible.

  • PDF

소아의 범발성 복막염을 동반한 천공성 충수염에서 복강경하 충수절제술 후 대량 흔들기 세척법 및 배액술의 역할 (The Role of Massive Shaking Irrigation and Abdominal Drainage After Laparoscopic Appendectomy for Panperitonitis Secondary to Perforated Appendicitis in Children)

  • 김우연;정재희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7권1호
    • /
    • pp.51-57
    • /
    • 2011
  • Use of laparoscopic appendectomy (LA) for perforated appendicitis (PA) in children remains controversial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postoperative intra-abdominal abscess formation. We developed the irrigation method for the prevention of abscess formation after LA performed for PA in children with severe panperitonitis. We called it 'the shaking irriga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icacy of this irrigation method. All cases of PA with severe panperitonitis in children that underwent LA with massive shaking irrigation and drainage between June 2003 and December 2007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We included only PA with panperitonitis and large amounts of purulent ascites throughout the abdomen as well as an inflamed small bowel with ileus. Thirty-four children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he mean patient age was eight years. The mean amount of irrigation fluid was 8.2 L (range: 4-15 L), The mean operative time was 89.5 min. The mean length of the hospital stay was 5.1 days. There were no postoperative intra-abdominal abscesses. There was no conversion to open surgery. In conclusion, Use of LA in PA with severe panperitonitis in children is safe and effective. Massive shaking irrigation and abdominal drainage appears to prevent intra-abdominal abscesses after LA for PA with panperitonitis.

  • PDF

시츄 개에서 발생한 처녀막 잔존증과 질축농증 (Persistent Hymen and Pyocolpos in a Female Shih-Tzu Dog)

  • 김민경;김근영;박지훈;신정인;김태환;홍수빈;이재훈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46-249
    • /
    • 2014
  • 9살의 중성화하지 않은 암컷 시츄가 복통과 복부 팽만을 주증으로 내원했다. 보호자는 개가 태어난 이후로 발정과 관련한 출혈을 단 한번도 관찰하지 못 했다. 초음파 검사 상에서 분절된 생식기계의 확장이 관찰되었다. 생식기계의 종괴를 확인하고, 난소 자궁 질 적출술을 실시하였다. 육안적으로 관찰했을 때, 질은 확장되어 있었고 고형의 짙은 초록색의 물질로 차있었다. 수술 결과와 질조영술을 바탕으로하여 처녀막 잔존증으로 진단하였다. 수술 한달 후, 봉합한 부위와 질의 막혀있는 부분 사이에 잔존성 질축농증이 발생하였다. 잔존된 처녀막은 내시경으로 제거하고, 세척하였으나, 복막염과 패혈증이 발생으로 폐사하였다.

PEO-$SO_3$를 이용한 항석회화 조직첨포의 개발(II) -동맥과 복막 이식 실험연구- (Development of Calcification-resistant Bovine Pericardium with PEO-$SO_3(II)$ -An implantation study of bovine pericardium at artery and peritoneum-)

  • 김형묵;백만종;김광택;이인성;김학제;이원규;박기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1호
    • /
    • pp.1023-1030
    • /
    • 1998
  • 연구배경 : 인체내 이식된 생체조직들은 석회화 변성으로 인해 그 내구성이 단축된다. 이러한 조직들을 이식하기전에 글루타르알데하이드(GA)로 고정후 sulphonated polyethyleneoxide(PEO-SO3)를 결합시키고 또한 조직내 의 잔유 알데히드기를 제거함으로써 석회화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재료 및 방법 : PEO-SO3 처리법과 잔유 알데히드기 제거의 석회화 방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GA 고정 후 PEO-SO3로 처리한 소 심낭 첨포를 잔유 알데히드기 제거를 위해 무균 생리식염수에 보존한 saline 군과 0.65% GA 용액 에 보존한 GA군, 그리고 이미 상품화되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product군을 8마리 개의 경동맥과 대퇴동 맥 및 복막에 이식하여 6주 후 적출하여 칼슘량 및 병리조직 소견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 경동맥에서 채취한 조직첨포의 칼슘량은 saline군에서 GA군과 product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 (saline; 2.89$\pm$0.31 vs. GA; 6.14$\pm$1.08 vs. product; 22.82$\pm$5.00 mg/g; p< .05). 대퇴동맥과 복막 이식 첨포에서의 칼슘량 또한 saline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해 가장 적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한편 병리조직 검사에서는 GA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해 조직의 석회화로 인한 변성 파괴가 심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소 심낭 조직 첨포와 결합한 PEO-SO3는 석회화를 감소시키고 또한 조직내 잔유 알데히드기 를 생리식염수로 세척하여 제거함으로써 항석회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PEO-SO3로 처리한 소 심낭 조직은 석회화 변성에 대한 강한 저항성을 보임으로써 심혈관 첨포나 인공 조직 판막 개발 에 도움를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