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Significance of Measuring Levels of CEA, CA19-9 in Peritoneal Washing Fluid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위암 환자에서 복강 세척액의 CEA, CA19-9 측정의 임상적 의의

  • Shim, Gyu-Beom (Department of Surgery, Ko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Ji-Hun (Department of Surgery, Ko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oo, Tea-Young (Department of Surgery, Ko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Min, Hyun-Sik (Department of Surgery, Ko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심규범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박지훈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구태영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민현식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Purpose: Free cancer cells exfoliated from cancer-invaded serosa contribute to peritoneal dissemination, the most frequent pattern of recurrence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To detect free cancer cells, CEA and CA19-9 were introduced as the markers of gastric cancer, and many methods, such as cytology, immunoassay, and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exist for detecting the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using immunoassay to measure the levels of CEA and CA19-9 in the peritoneal washings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peritoneal washing fluids were obtained from 130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ho received a curative gastrectomy, palliative gastrectomy or open and closure. The pCEA and pCA19-9 levels were measured by using immunoassay and cytology.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clinicopathological data. Results: The pCEA and pCA19-9 levels were correlated with tumor invasion, lymph-node metastasis, and stage (P<0.05). Conclusion: A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levated pCEA and pCA19-9 levels measured by immunoassay and the TNM stage. Therefore, a combined pCEA and pCA19-9 assay could be a sensitive detector of peritoneal dissemination, as well as a predictor of postoperative prognosis. pCEA and pCA19-9 may also determine the adjuvant management strategy.

목적: 위암 환자에서 복강 내 파종은 대부분 장막을 침범한 원발성 암에서 떨어져 나온 복강 내 유리 암세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장 흔한 재발의 형태이다. 수술 중 이러한 유리 암세포의 존재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위암의 치료 전략을 정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이에 수술을 시행 받은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복강 세척액에서 CEA와 CA19-9의 검출 정도와 종양의 침윤도, 림프절 전이 및 병기 등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5월부터 2006년 1월까지 건양대학교병원 외과에서 위암을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한 1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모든 환자에서 복강 세척액을 채집하여 CEA, CA19-9를 측정하였다. 위의 비선암종 환자 14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복강 세척액을 분석하였다. 결과: 위암 환자의 복강 CEA, CA19-9의 측정치는 종양의 침윤도, 림프절 전이 및 병기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P<0.05) 복강 CEA 측정치는 비선암종 환자군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복강 CEA, CA19-9의 증가는 TNM 병기와 부분적으로 평균치의 차이가 있고 복강 CEA는 다른 측정치에 비해 가치 있는 복막 전이 예측인자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