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류수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전천후농업과 복류수개발

  • Han, Uk-Do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 no.3 s.7
    • /
    • pp.33-37
    • /
    • 1969
  • 1.농업용수로서의 복류수 개발 2.집수암거에 의한 복류수이용 3.복류수개발의 금후 방향

  • PDF

Daily Runoff Simulation and Analysis Using Rainfall-Runoff Model on Nakdong River (강우-유출모형에 의한 낙동강수계 일유출모의와 분석)

  • Maeng Sung Jin;Lee Soon Hyuk;Ryoo Kyoung Sik;Song Gi 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619-622
    • /
    • 2005
  • 적용대상 유역은 낙동강수계로 하였으며 소유역 분할은 총 25개로 하였으며, 강우관측소의 선정과 Thiessen 계수의 산정은 최근에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새로 추가한 강우관측소를 위주로 대상 연도별로 달리하여 강우관측소를 선정하였다. 강우자료의 결측치는 RDS 방법을 사용하여 보완하였다. 대상연도별 소유역별로 일간 유역 평균 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적용 모형의 선정은 한국수자원공사 실무부서에서의 적용사례가 빈번한 SSARR 모형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SSARR 모형의 입력자료를 물리적 매개변수, 수문기상 매개변수 및 내부처리 매개변수로 구분하여 구축하였고 매개변수의 민감도분석과 함께 모형의 보정을 실시하였다. 민감도 분석 결과, 유역유출과 관련된 매개변수에서는 고수시와 저수시의 경우 지표수와 복류수의 분리하는 매개변수에서 민감도가 크게 나타났다. 저수시의 경우 지하수 중 회귀지하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나타났고, 지표수, 복류수, 지하수 및 회귀지하수의 저류시간에서 비교적 큰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1983년부터 2003년까지 21개년에 걸쳐 25개 소유역별로 일평균 자연유출량을 산정하여 이를 이용한 반순, 순, 월 및 연평균 자연유출량을 산정하였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Phenol, 1,4-dioxane and Diazinon along the Travel Distance in Riverbank Filtration (강변여과에서 여과거리에 따른 페놀, 1,4-다이옥산 그리고 다이아지논의 거동에 관한 실험연구)

  • Choi, Hong-Gyu;Jeong, Il-Hwa;Jung, Kwan-Sue;Lee, Young-Deuk;Kim, Seung-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5 no.6
    • /
    • pp.436-441
    • /
    • 2013
  • An experiment using a 5 m-long sand colum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sisting capability against micro-pollutants of the infiltration gallery, multi-purpose filtration pond and riverbank/bed filtration, of which the filtration distance is becoming increasingly shorter in Korea. Results suggested that the Korean riverbed sand contained significant amount of organics, resulting in a relatively vigorous adsorption of chloride ion on the sand surfac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while phenol was not detected in the column filtrate, both 1,4-dioxane and diazinon were exposed to adsorption by the sand as they moved through the column, decreasing their peak concentrations during the movement. It can be expected that the peak concentrations will diminish significantly in the practical scale due to its longer travel distance.

A study on pollutants removal characteristics of domestic riverbed filtration and riverbank filtration intake facilities (국내 복류수 및 강변여과수 취수시설의 오염물질 제거특성에 관한 연구)

  • Chan-woo Jeong;Sun-ick Lee;Sung-woo Shin;Chang-hyun Song;Bu-geun Jo;Jae-won Cho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
    • v.37 no.5
    • /
    • pp.281-288
    • /
    • 202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ollutants removal characteristics of two types of RBFs(Riverbank filtration, Riverbed filtration) intake facilities installed in Nakdong River and in Hwang River respectively. The capacity of each RBF is 45,000 m3/d for riverbank filtration intake facility and 3,500 m3/d for riverbed filtration intake facility. According to data collected in the riverbank filtration site, removal rate of each pollutant was about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52%, TOC(Total Organic Carbon) 57%, SS(Suspended Solids) 44%, Total coliforms 99% correspondingly. Furthermore, Microcystins(-LR,-YR,-RR) were not found in riverbank filtered water compared to surface water in Nakdong River. DOC(Dissolved Organic Carbon) and Humics which are precursors of disinfection byproduct were also reported to be removed about 59% for DOC, 65% for Humics. Based on data analysis in riverbed filtration site in Hwang River, removal rate of each contaminant reaches to BOD 33.3%, TOC 38.5%, SS 38.9%, DOC 22.2%, UV254 21.2%, Total coliforms 73.8% respectively. Additionally, microplastics were also inspected that there was no obvious removal rate in riverbed filtered water compared to surface water in Hwang River.

Evaluation of Turbidity Removal Efficiency on under Flow Water by Pore Controllable Fiber Filtration (공극제어형 섬유사 여과기를 이용한 복류수의 탁도 제거효율 평가)

  • Kim, Jeong-Hyun;Bae, Chul-Ho;Kim, Chung-Hwan;Park, No-Suk;Lee, Sun-Ju;Anh, Hyo-Won;Huh, Hyun-Chu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
    • v.19 no.2
    • /
    • pp.135-143
    • /
    • 2005
  • It was evaluated that the effect of turbidity removal by Pore Controllable Fiber Filter(PCF) installed in NS(Naksang) small water treatmant plant(system) using under flow water as raw water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s. Firstly, the removal efficiency of turbidity by PCF without coagulation(in operation mode not using coagulants) was mostly below 20 percent. On the other hand, when operation using proper coagulants, that of turbidity was mostly over 80 percent. Secondly, slow sand filtration after PCF, total turbidity removal efficiency of final treated water was 84.3 percent, and the contribution by PCF was 57.1 percent and that of slow sand filtration was 27.7 percent.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PCF as pre-treatment process would be helpful to reduce the loading of high turbidity of slow sand filtration. Thirdly, the results of particle counter measurements showed that when operated PCF with coagulants, fine flocs captured or adsorbed at the pore of PCF were flow out into the effluents from 120 minutes after backwashing because of the increase of headloss of PCF. Therefore the decision of backwashing time should made consideration into the outflow of fine flocs from PCF. Fourth, coagulant dosages on PCF at the same turbidity was largely variable because of the effect of the raw water characteristics and the turbidity increase velocity at rainy days, therefore flexible coagulant dosages should be considered rather than fixed coagulant dosage by the influent jar-test result.

Analysis of the Effects of Low-Depth Indirect Intake through Laboratory Experiment with Functional Screen (기능성 스크린 모형실험을 통한 저심도 간접취수 효과 분석)

  • Yang, Jeong Seok;Jeong, Jae Hoon;Kim, Il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24-324
    • /
    • 2016
  • 최근 하천에서 취수원을 개발하는 방법 중 수질 측면에서 2차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간접 취수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수원수 및 하천유지용수 등의 취수원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강변여과수 개발, 하상여과수 개발, 복류수 개발 등을 적용하여 도입하고 있으나 수량 확보의 불확실성, 유지관리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심도 간접취수의 안정적인 수량 및 수질 확보를 위해 심도 10m 이내의 제외지 또는 하상을 개착하여 새롭게 고안된 기능성 스크린을 설치하려고 한다. 기존의 간접취수에 비해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수량 확보 및 유지관리에서 유리한 공법을 적용하기 위해 정량적 분석이 가능한 모형실험을 통해 효과 분석을 진행한다.

  • PDF

Estimation of Naturalized Streamflow using RRFS Model (RRFS 모형을 이용한 자연유량산정)

  • Ryoo, Kyong-Sik;Hwang, Man-Ha;Ko, Ic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77-1781
    • /
    • 2006
  •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보고서 및 저수지운영상에서는 실측을 통해 자연유량을 산정하지 않고 간접적인 방법인 강우-유출모형을 이용하여 자연유량을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강우-유출모형의 검증은 인위적인 영향이 적을 것이라 판단되는 일부 특정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이에 대한 결과를 전 유역에 동일하게 반영하였기 때문에 금강유역과 같은 대유역에서는 각 소유역별 유출특성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형의 안정성 고취를 위해 모형외적으로 강우, 생 공 농업용수 이용량 및 관측유량자료 등의 기본 수문자료에 대한 검 보정을 실시하였으며 모형내적으로는 적정매개변수의 선정을 위해서 토양습윤상태별 유출율, 침투량별 지하수 유입률, 지표수와 복류수 분리 등을 반복적인 수행과정을 걸쳐 적정한 매개변수를 산정하였으며 RRFS모형에 의한 일별 유출량산정 결과를 비교분석을 실시하여 모의유량의 신뢰도를 고취시킨 후 인위적인 요소를 모두 배제시켜 자연상태의 유출량인 자연유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 PDF

Effect of fill material of gabion drop structures in open channel on subflow (개수로 돌망태 낙차공의 채움재가 복류에 미치는 영향)

  • Kim, Yong Hyun;Son, Sang Jin;Shin, Seung Suk;Park, Sang Deo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77-277
    • /
    • 2022
  • 급경사 산지하천은 호우 시 퇴적 하상이 붕괴하여 하천 유사량을 급격히 증가시키는 계곡형 토석류가 발생하고 도로와 교량에 피해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하천재해를 저감하기 위하여 돌망태 낙차공을 설치하여 하상 안정을 강화하고 급경사에 따른 유수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급경사 하상에 설치한 돌망태 낙차공은 하류부 하상의 국부세굴에 따른 파괴위험이 완경사 하상의 경우에 비하여 높으므로 이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광폭경사조절 개수로에 돌망태 낙차공을 설치하고 낙차공의 채움재가 복류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리실험을 하였다. 수리실험에서는 최대 20º까지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1.44m, 폭 0.14m인 직사각형 단면 개수로에 SUS304 구슬을 사용하여 하상과 돌망태 낙차공을 설치하고 실험하였다. 구슬은 크기에 따라 작은구슬(10.31mm), 중간구슬(15.08mm), 큰구슬(20.63mm)을 사용하고, 하상에는 작은구슬을 깔았다. 낙차공의 크기는 길이 16cm이고 폭과 높이는 12cm이며, 돌망태는 작은구슬을 사용한 단일돌망태와 구슬 크기를 달리한 계층돌망태로 구분하였다. 계층돌망태의 상층은 작은구슬, 중층은 중간구슬, 하층은 큰구슬이 채움재로 사용되었다. 단일돌망태의 공극율은 0.399이고 계층돌망태의 공극률은 상층 0.393, 중층 0.517, 하층 0.54이다. 실험유량의 변화는 낙차공 하단부에서 표면류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로 한정하였다. 낙차공 하단에서 상류 68cm 지점의 소류력과 낙차공 내부 복류의 수면경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단일돌망태보다 계층돌망태가 소류력과 수면경사가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돌망태의 공극을 통한 통수능 차이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