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행검사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초

슬관절 손상으로 오인된 청소년 요추 추간판 탈출증 (Adolescent Lumbar Disc Herniation Misdiagnosed As Knee Injury)

  • 임재우;이태진;정현수;김학선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6-68
    • /
    • 2012
  • 청소년에서 요추 추간판 탈출증은 드물게 발생하고, 임상적 증상이 성인과 달리 다양하게 나타난다. 또한, 청소년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 호소를 분석하는 것이 어려워서 진단 및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고, 성인에서와 달리 보존적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다. 슬괵근 강직 및 요추부 측만 변형등 청소년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서 특징적인 증상들은 수술로 잘 치료 되었고, 청소년의 추간판 부분절제술 수술 후의 중장기 추적검사에서 재수술 빈도는 15%로 성인과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보존적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청소년 요추 추간판 탈출증은 수술적 치료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축구를 하던 도중에 수상한 슬관절 손상으로 오인되어 수상 후 2년이 지나도록 진단이 지연되면서 슬괵근 강직과 보행 장애가 있었던 16세 청소년 요추 추간판 탈출증을 수술을 통해 치료하여 좋은 결과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파킨슨병 조기 진단을 위한 안드로이드 기반의 앱 개발 (Android Smart Phone App for early diagnosis of Parkinson's Disease)

  • 문호상;노승재;정성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45-152
    • /
    • 2019
  • 파킨슨병은 3대 노인성 질환 중 하나로 인구 고령화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질병이 진행될수록 시간적·경제적인 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에 병의 진행정도를 파악하는 것과 초기에 진단해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파킨슨병을 조기 진단(Pre-Screening)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들은 탭핑(Tapping), 떨림(Tremor), 나선형 그리기(Spiral Drawing), 보행(Gait)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합형 파킨슨병 평가척도(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의 Part III(운동성 검사)를 기반으로 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파킨슨병의 운동성 증상으로 알려져 있는 서동증(Bradykinesia), 진전(Tremor), 자세 불안정(Postural Instability)에 대한 정량적인 진단이 가능하며, 증상의 진행 정도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은 파킨슨병 진단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초기 편마비 보행 환자에서 양측 무릎의 초음파 검사 소견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Both Knee in Hemiplegic Ambulators with Recent Stroke)

  • 박순아;양충용;김지희;이강근;신병철;이인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39-545
    • /
    • 2012
  • To evaluate of the ultrasonographic changes in hemiplegic and unaffected knee joints of hemiplegic ambulators with recent onset stroke. Twenty patients (40 knees) with prevalence duration of 14-39 weeks (mean 24.70 weeks) after a stroke insult were included. All participants were walking independently without leg dragging, had no previous knee injur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condylar cartilage thickness and pes anserinous tendinopathy (PAT) between hemiplegic and unaffected knees (p<0.0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artilage thickness of medial condyle and lateral condyle, patellar tendinitis/bursitis, suprapatellar effusion, synovitis, joint space narrowing, and Baker's cyst of ultrasonographic findings and x-ray findings in hemiplegic knee compared to the control except PAT (p<0.05). In hemiplegic knee, medial or lateral condylar cartilage thicknes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ody weight, intercondylar cartilage thickness, and PAT (p<0.05). PA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runnnstrom stage and condylar cartilage thickness (p<0.05). Knee pai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ateral condylar cartilage thickness (p<0.1). The hemiplegic knee had more ultrasonographic abnormalities including PAT and more cartilage thickness preservation in patient with recent onset stroke. Intraarticular sonographic findings including cartilage thicknes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xtraarticular findings including PAT and a symptom of knee pain.

한우 싸움소에서 발생한 전십자인대 파열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in a Korean Native Cattle)

  • 이현;윤성호;박재옥;김승준;권영삼;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4-56
    • /
    • 2014
  • 9살 된 한우 싸움소가 왼쪽 뒷다리 파행 때문에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에 진료가 의뢰되었다. 환축은 좌측다리에 체중을 싣지 못하고 있었으며 파행이 발견되었다. 촉진하였을 때, 무릎관절은 부어 있었고 미열이 느껴졌다. 방사선 사진에서, 관절액의 증가, 연골하골의 미란, 도르레 융기선의 골편 형성, 무릎인대하 지방체의 변화를 보였으며, 정강뼈와 융기사이융기의 앞쪽 변위를 볼 수 있었다. 병력, 신체검사에 기초하여 전십자인대 파열을 잠정 진단하였으며 방사선 사진으로 확진하였다. 대상 환축은 심한 통증을 호소하면서 정상 보행이 불가능한 상태일 뿐 아니라 투우로서 효용성을 상실하고 현실적으로 치료가 불가능하여 신속히 도태 처분하였다.

뇌졸중 환자에서 Fugl-Meyer 평가척도와 보행속도, Timed Up & Go 검사와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of Fugl-Meyer Assessment Scale, Gait Speed, and Timed Up & Go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 이영정;이충휘;권오윤;김종만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7
    • /
    • 200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correlations among Fugl-Meyer Assessment scale, gait speed, and Timed Up & Go test (TUG) and to predict gait ability from subscales of Fugl-Meyer Assessment scale.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30 stroke patients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in the Bundang Jaesang General Hospital. All subjects were ambulatory with or without an assistive device. All participants were assessed on Fugl-Meyer Assessment scale and gait speed (m/s), TUG (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all items of Fugl-Meyer Assessment scale, except passive joint range of mo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ait speed and TUG. In particular, sensation score, lower extremity motor and coordination score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ait speed and TUG (p<.05). The sensation score and lower extremity motor score were important factors in comfortable gait and maximal gait speed. Their power of explanation regarding comfortable gait and maximal gait speed were 63.0% and 65.0%, respectively. The sensation score and lower extremity coordination score were important factors in TUG. Their power of explanation regarding TUG was 55.0%. These results showed that Fugl-Meyer Assessment scale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ait speed and TUG. Therefore Fugl-Meyer Assessment scale is an appropriate assessment tool to predict gait ability of patients with stroke. Further study about gait speed and TUG by change of Fugl-Meyer Assessment score is needed using a longitudinal study design.

  • PDF

관절경하 전방십자인대 일차수복술 및 재건술후 신전보조기를 착용한 조기 완전체중부하 (Immediate Full Weight Bearing in Extension Brace Following Arthroscopic Primary Repair or Reconstruction of ACL)

  • 김정만;장정호;조우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28-131
    • /
    • 1997
  • 전방십자인대의 일차수복술이나 재건술후에 장기간의 비체중부하가 필요한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일차수복술을 시행한 96례와 재건술을 시행한 82례등 총 178례를 대상으로 술후 체중부하시기에따라 두군으로 나누어 비교분석 하였다. 모든 례에서 술후 보조기를 착용하였고 120례에서는 술후 첫6주간 점차적으로 관절운동범위를 증가를 시키고 다음 6주간은 완전운동범위 회복상태에서 유지후 술후 12주에 체중부하를 허용하였으며 나머지 58례에서 술후 완전신전상태에서 즉시 체중부하를 시켜서 정기적으로 Lachman검사, KT 2000을 이용하여 불안정성여부를 관찰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4.2년(2년$\~$6년)이었고 불안정성에 대한 평가는 AMA 분류에 따랐다. 최종추시상 모든환자에서 1+이상의 불안정성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술후 12주에 체중부하를 한군에서 1a+가 104례$(86.7\%)$, 1b+군이 16례$(13.3\%)$로 관찰되고 즉시 체중부하를 한 군에서 1a+가 51례$(87.9\%)$, 1b+가 7례$(12.1\%)$에서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P>0.05). 본연구의 결과로 전방십자인대 일차수복술이나 재건술후 신전보조기를 착용시키고 즉시 보행을 시키는 것이 술후 슬관절의 불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안전한 재활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

뇌기능 장애 환자의 가상 환경 움직임(Virtual Moving Surround) 자극에 따른 자세 균형 제어 (Postural Control During Virtual Moving Surround Stimulation in Patients with Brain Injury)

  • 김연희;최종덕;이성범;김종윤;이석준;박찬희;김남균
    • 감성과학
    • /
    • 제5권4호
    • /
    • pp.67-75
    • /
    • 2002
  • 뇌기능 장애 환자에서 자세균형 제어능력의 저하는 보행 및 일상생활동작 수행 등에 어려움을 초래하며 이에 대한 정확한 평가 및 치료를 위하여 일상의 환경변화와 유사한 상황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자세균형 조절 능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뇌기능 장애 환자에서 가상적 움직이는 환경에 따른 자세균형 조절 기능을 정확히 평가하고 환경의 움직임이 자세균형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5명의 뇌기능 장애 환자들과 정상인 15명을 대상으로 실생활과 유사한 환경의 조성을 위하여 HMD를 이용한 가상 환경 움직임(Virtual Moving Surround)을 네 가지 다른 패턴으로 제공하였다. 자세동요의 정도는 힘판을 이용하여 신체압력중심의 변화를 전체이동거리, 동요주파수, 최대 빈도 COP 위치로 측정하였으며 가상 환경의 차이에 따른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검사 재검사 신뢰도평가에서 일관된 분석결과를 나타냈고 뇌 기능장애 환자와 정상인의 분석에서는 두 그룹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전후로 빠르게 변하는 가상 환경에서 가장 큰 자세동요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뇌기능 장애 환자에서 가상 환경 변화가 자세균형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환자들을 위한 치료와 평가 환경 조성 등에도 유용한 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Wii Balance Board를 이용한 Sit-to-Stand와 보행기능 측정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Test-retest Reliability of Sit-to-Stand and Gait Assessment Using the Wii Balance Board)

  • 양승례;오유리;전예림;박대성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0-47
    • /
    • 2016
  • Background: Assessments of Sit-to-Stand (STS) and gait functions are essential procedures in evaluating level of independence for the patients after stroke. In a previous study, we developed the software to analyze center of pressure (COP) in standing position on Wii Balance Board (WBB). Objects: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est-retest reliability of ground reaction forces, COP and time using WBB on STS and gait in healthy adults. Methods: Fifteen healthy participants performed three trials of STS and gait on WBB. The time (s), vertical peak (%) and COP path-length (cm) were measured on both tasks. Additionally, counter (%), different peak (%), symmetry ratio, COP x-range and COP y-range were analyzed on STS, 1st peak (%), 2nd peak (%) of weight were analyzed on gait.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standard error measurement (SEM) and smallest real difference (SRD) were analyzed for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ICC of all variables except COP path-length appeared to .676~.946 on STS, and to .723~.901 on gait. SEM and SRD of all variables excepting COP path-length appeared .227~8.886, .033~24.575 on STS. SEM and SRD excepting COP path-length appeared about .019~3.933, .054~11.879 on gait. Conclusion: WBB is not only cheaper than force plate, but also easier to use clinically. WBB is considered as an adequate equipment for measuring changes of weight bearing during balance, STS and gait test which are normally used for functional assessment in patients with neurological problems and elderly. The further study is needed concurrent validity on neurological patients, elderly patients using force plate and WBB.

소음인환자(少陰人患者)의 중풍후유기(中風後遺期)에 병발(倂發)한 만성(慢性) 염증성(炎症性) 빈혈(貧血)에 대한 증례(症例) (A clinical case study of chronic inflammatory anemia in post-symptom period resulting Stroke of Soeumin patient)

  • 박은경;박성식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77-383
    • /
    • 1999
  • 임상에서 가장 빈번하게 당면하는 빈혈의 하나로 여러종류의 만성적 원질환에 동반되는 빈혈이 있다. 이에 본 증례에서 소뇌 출혈이후의 합병증인 폐렴으로 인해 만성 염증성 빈혈이 발생한 환자에서 한방치료에 의해 전신상태 호전과 함께 빈혈이 교정된 증례가 있어 이에 보고하고자 한다. 75세의 여환으로 뇌출혈 후유증으로 인한 두통과 현훈, 보행장애, 연하장애, 전신무력감으로 본원 내원하였으며. 내원당시 혈액학 검사상 normocytic normochromic anemia 소견을 보이고 있었다. 이를 소음인 울광증으로 변증하고 승양익기의 치법에 준하여 팔물군자탕을 투여한 결과 전신증상의 호전과 빈혈의 치료를 확인하였다.

  • PDF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기능 수행 및 보행 검사를 위한 평가도구의 비교: BBS, TUG, TUG, Fugl-Meyer, MAS-G, C·MGS, and MBI (Correlation Between Balance, Walking Test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Stroke Patients: BBS, TUG, Fugl-Meyer, MAS-G, C·MGS, and MBI)

  • 안승헌;박창식;이현주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64-71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correlations between the Berg Balance Test (BBS), Timed -UP & Go Test, Fugl Meyer-L/E, Balance, Sensory (FM-L/E, B, S), Motor Assessment Scale-Gait (MAS-G), Comfortable maximal Gait Speed (C MGS), and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The subjects were 40 stroke patients of the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Main outcome measures were Balance control (BBS, FM-B), Gait (TUG, C MGS, MAS-G), ADL (MBI) and Motor Function of Lower Extremities (FM-L/E, 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product correlation. FM scales between other clinical and instrumental indexe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for Balance, Gait and ADL Motor Function of Lower Extremity inclin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BBS, FM-L/E, balance, sensory and MBI showed positive correlation relations, but TUG and C MG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The sensory factor of the FM-scale showed the strongest variance in predicting BBS. However the FM-balance showed the strongest variance in predicting TUG, MAS-G and C MGS. The use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cales was shown to be a good measuring instrument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general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