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육현황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3초

포커스 그룹면담을 통한 발달장애아동의 성교육 실태와 요구 (A study on the Sex Education Status and Need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Focus Groups)

  • 김종선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69-76
    • /
    • 2021
  • 발달 장애 아동의 성교육 현황을 조사하고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특수 교육 기관 및 장애 아동 보육 서비스에서 근무하는 12명의 교사를 선정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해 3개 주제에 대한 의견과 요구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했다. 장애 아동 성교육의 경우 교육의 방향이 일관되지 않고 개인의 특성과 욕구를 고려되지 않아 성교육 운영의 어려움이 파악되었다. 이에 발달 장애 아동의 발달 단계를 고려한 성교육 지침의 구체적인 사례와 높은 접근성을 포함하는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국의 영유아 보육정책 및 한국의 유사정책 현황 : Sure Start Children's Centres와 Dream Start 비교 (The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Policy in the United Kingdom and Similar Policies in Korea : A Comparison of the Sure Start Children's Centres and Dream Start)

  • 이연정;반건호;이소영;김봉석;방수영;손석한;양재원;이소희;정운선;정유숙;홍민하;황준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6권1호
    • /
    • pp.12-21
    • /
    • 2015
  • In an effort to expand working opportunities for women and encourage childbirth, the government of Korea introduced the free infant care policy in 2013. This policy, however, was controversial with regard to issues, such as budget shortages and dissatisfaction based on socioeconomic status. In addition, the lack of evidence-based data regarding adequate age criteria for the entry of children into childcare facilities was noted as a challenge. As child development professionals who are concerned with mental health issues,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and challenges of the free infant care policy with regard to infant mental health. In this review, we examined the policies enacted by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Kingdom (UK),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in Korea. The childcare systems in Korea and the UK differ historically and socially, but show some similarities, such as maternal responsibility for parenting and household issues. Like Korea, the need for UK childcare facilities increased in the 1990's in response to market recovery and associated increase in female employment. Among the new policies in the UK, the Sure Start program has begun to provide integrated services for infants, particularly to those 0-4 years of age, who are vulnerable to social exclusion. Similar to the Dream Start program in Korea, it has been successful in providing family-related services, resulting in improvements in problematic behaviors of children, enhanced parenting skills, and decreased rates of severely injured children.

영유아 보육시설의 영양관리 시범사업(I): 유아의 식생활 현황 (Baseline Dietary Behaviors of Children for Nutritional Management Programs at Child Care Centers in Korea)

  • 정효지;이난희;최영선;조성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3권8호
    • /
    • pp.890-900
    • /
    • 2000
  •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collect the baseline data about growth, dietary behaviors, nutrient intakes and dietary quality of children at child care centers for planning nutritional management program. The dietary intakes were measured by weighing method for intakes at child care centers and by dietary records by children\\`s mothers for intakes at home. The weight and height were measured and calculated z-scores by using standard of the same age groups. The children were 163 boys and 168 girls and the mean age were 55.6 months(12-78 months) and 56.0 months(16-78 months). respectively. The Z-score for height(0.33) and weight(0. 11) showed that the growth of children were above average. Nutrients intakes such s energy, protein, fiber, iron, sodium, potassium, vitamin A, vitamin B$_1$, vitamin C, niacin of boys from lunch and snack at day care cent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irls, and the meals at child care centers provided 20-37% of RDAs. The daily energy intakes were 1332.2kcal(83.1% RDA), protein 44. 26g(109.3% RDA), calcium 437.73mg(72.4% RDA), iron 7.24mg(72.4% RDA), vitamin A 459.6RE(113.1% RDA),vitamin B$_1$ 0.74mg(93.4% RDA), vitamin B$_2$0.79mg(79.7% RDA), niacin 7.66mg(69.9% RDA) and vitamin C 56.84mg(142.1% RDA). The nutrients which more than 50% of subjects ate less than 75% RDA were calcium, iron, niacin, and vitamin B$_2$.The average mean adequacy ratio was 0.80 and mean dietary variety score was 22.42, and those are positively correlated to % RDA of nutrient intakes. In summary, the children using child care centers consumed most nutrients below level of RDA and the nutritional management program at child care center is required to enhance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m. (Korean J Nutrition 33(8) : 890-900, 2000)

  • PDF

한국의 저영향개발과 그린인프라: 현황과 발전 방향 (Low Impact Development and Green Infrastructure in South Korea: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 김이호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2호
    • /
    • pp.80-91
    • /
    • 2016
  • 도시홍수, 가뭄, 폭염과 열대야 등 다양한 기상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인명과 재산 피해는 물론 도시의 자연환경보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다양한 기상재해를 최소화 하고 기후변화에 적응하면서 보다 쾌적한 도시환경을 다음 세대에게 넘겨주기 위한 목적으로 저영향개발 또는 그린인프라가 주목 받고 있다. 한국의 저영향개발 및 그린인프라 기술은 현재 보육(incubating) 또는 시연 (demonstrating) 단계에 있다.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노력으로 법률 정비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통해 물을 이용만 하는 회색인프라 (Gray Infrastructure)로 구성된 회색도시 (Gray City)에서 물을 관리하는 그린인프라(Green Infrastructure)로 구성된 녹색도시 (Green City)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보다 체계적인 확산과 보급을 위해서는 한국형 신기술의 개발, 기술의 검증, 기술 기준의 정비, 다분야의 협력과 협업, 교육과 홍보 그리고 시민들의 참여가 요구된다.

하남시 영유아 보육시설의 식품알레르기 현황 조사 - 100인 미만의 어린이 급식소를 중심으로 - (The Current State of Food Allergy of Preschool Childcare Facilities in Hanam)

  • 조우균;김진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51-258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o manage food allergy of pre-school children, focusing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food allergy in childcare facilities in Hanam which have less than 100 children. Methods: Targeting 159 preschool childcare facilities, survey was carried out for a month in March, 2015. Recovery rate was 66.7%. 106 surveys out of 159 were available for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version 19.0. Results: Among 106 facilities, 58 (54.7%) reported that none of their children had a food allergy and 48 (45.3%) reported one more children had a food allergy. Total number of children having a food allergy was 71. Among them, the occurrences of food allergy in males were significantly more than that of the females (p<0.001). Further, children under 2 years of age had significantly more food allergy than the other ages (p < 0.001). The allergic inducing foods were nuts (23.3%), egg (17.8%), milk and dairy products (16.4%), fish and shellfish (13.7%), instant foods (12.3%), fruits (8.2%), soybean (4.1%), meat (2.7%), and cereals (1.4%) in order, and 6 children out of 71 were allergic to more than 2 food items. The clinical symptoms of the food allergy were a skin reaction (87.9%) and an oropharyngeal & respiratory reaction (12.1%). Majority of childcare facilities (80.3%) didn't serve alternative foods for children with food allergy. Necessity for food allergy edu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acilities with food allergy issues than without such issues. Conclusions: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need to educate workers of childcare facilities and parents about managing food allergy and enforce a plan to provide alternative menu to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보육기관에서 유아기 아동의 식품 알레르기 인지 및 관리 현황 (Food Allergy Awareness and Nutritional Management by Preschooler's Faculty Members of Child Care Facilities)

  • 김수빈;김정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8-306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nutritional management of food allergy (FA) by preschooler's faculty members in child care centers.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faculty members of child care centers in Seoul.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ies, requirements of food allergy support and differences in food management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llergic diseases. After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s, the data of 171 faculties in 137 child care centers (95.0%)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137 collected questionnaires, 96 child care centers asked parents about their children's allergic disease and 151 children from 66 child care centers had food allergies. A reported 89 children from 43 child care centers had food restrictions. However, 9 child care centers (21.0%) were not aware of food restriction for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Only 6 child care centers (14.0%) supplied substitute foods with the same amount and type of nutrients. Forty eight faculties (28.1%) received training about food allergies.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institution type, most of the faculty members wanted food allergy-related support.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d a lack of food allergy training for faculty members in child care centers. For proper management, it is necessary for faculty members of child care centers to be educated on overall food allergies. Food allergy-related support such as menus without allergenic ingredients, guidelines on emergency care for food allergies and anaphylaxis should be provided for faculty members in child care centers.

충청북도지역 보육시설의 학부모대상 급식서비스 현황과 품질 만족도 (Quality Evaluation of Foodservice within Child Care Centers in Chungbuk Province)

  • 최은숙;이영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67-27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rents' perceptions towards, a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of, foodservices in child-care centers and to suggest ways to increase foodservice quality and promote efficient operations in the future. A questionnaire survey was provided to 540 parents and the return rates 82%. The survey period was from June 20 to July 27,2007.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the SAS package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s, ANOVA, Duncan's multiple comparison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arents perceived that foodservice operations promoted their children's health and helped them form desirable dietary habits. The parents also had a high level of perception toward the need for foodservice, earning greater than 4.5 points out of 5 points. Their perceptions of foodservice quality were examined by four dimension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While the parents gave 4 points or greater of 5 points to most quality attributes of importance level, they gave 4 points of less out of 5 points to most quality attributes of performance level. As for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of the quality dimensions of meal service, the parents regarded sanitation as the most important dimension. IPA showed that 'organic food materials' was included as a 'focus here' area.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for foodservice was 3.59 out of 5 points.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as shown when a dietitian was present as well as in public childcare centers.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53.51% of the variance in the respondents' overall satisfaction scores was explained by factors such as food, sanitation, environment, and foodservice effects.

공교육 활성화를 위한 유아교육 현황 분석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of Preschool Education for Activation of Public Education)

  • 정경화;권은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5-8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공교육의 활성화에 대하여 재조명하려 하며, 이를 위하여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공교육화에 대한 인식과 공교육화 방향에 대한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유아교육 공교육화 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 공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서로 많은 차이를 보였다. 유아교육 공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부모들은 교육기회의 균등화 등을 이유로 꼭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사들은 사립 유아교육기관들의 운영이 어려워질 것이기 때문 등의 이유로 유아교육 공교육이 아직까지는 필요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육환경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교사와 부모들은 우리나라 유아들의 유치원 취학 기회에 대하여 불공정하며, 유아교육의 공교육화가 추진될 때의 교육비 재정부담에 대해 국고지원으로 무상화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유아교육의 공교육화에서 추진해야 하는 교육 내용의 방식에 대해서는 지역중심으로 프로그램의 개발 실시라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교육화가 추진된다면 유치원을 보내야 한다고 생각하는 나이에 대해 부모들은 만 5세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만 4세라는 의견이 많았으며, 반면 교사들은 만 4세가 가장 많았으며, 만 3세 라는 의견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육여건과 관련하여 공교육화 추진 시 적당한 유치원 규모에 대해 부모들은 3-4학급이라는 의견이 많았으며, 교사들은 4-5학급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즉, 부모들이 교사들보다 공교육화 추진 시 적당한 유치원의 학급 수에 대해 더 적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치원 교육여건과 관련하여 교사 1인당 적당한 원아 수에 대하여 부모들은 11-15명이라는 의견이 많았으며, 교사들은 16-20명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셋째, 유아교육 공교육의 추진방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육의 공교육화를 추진하고자 할 때, 앞으로의 공립 유치원의 설립형태에 대한 생각에 대해 부모들은 국가의 재정적 지원과 관리 감독이라는 의견이 많았으며, 교사들은 교원인건비 및 운영비 보조 및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라는 의견이 많았다.

  • PDF

대구의 사회복지시설 분포특성 (Distributional Trait of Welfare Facilities in Taegu.)

  • 배숙희(윤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1-98
    • /
    • 1997
  •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 여건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제기되고 있는 노인문제, 장애자문제와 가정 해체에 의한 아동 및 청소년비행과 범죄문제, 여성의 높은 취업율에 의한 육아보육 및 부녀복지문제 등 삶의 질과 관련되는 광범위한 복지문제중 복지의 범위를 한정하여 대구의 복지시설현황과 분포특성을 고찰하여 지역사회의 복지시설 입지선정에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먼저 우리나라의 복지제도와 복지정책을 개관하고 대구의 사회복지시설현황을 이용시설과 수용시설로 대별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각 시설들의 분포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각 동별로 생활보호대상자수, 60세 이상의 노인인구 및 노인인구비율, 6세 이하 아동인구 및 인구비율을 파악하여 각 시설들의 분포와의 관계를 설명하고 지도화하였다. 그 결과 각 시설들의 분포는 그 시설을 주로 이용하는 연령충의 분포 및 저소득층의 분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우리의 사회복지시설이 아직도 보편적인 시설이 아니라 소외계층에 제한된 시설임이 입증되었으며 앞으로는 좀 더 보편적인 시설로의 운영 및 전향을 제언하며 시설의 불균등분포의 문제와 아울러 노후화와 염세성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싶다.

  • PDF

저출산 대응을 위한 일-가정 양립지원정책 (Work-Family Balance Policies Responding to Low Fertility)

  • 유계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8권1호
    • /
    • pp.111-125
    • /
    • 2012
  •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1983년 인구대치수준에 도달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현재 세계 최하위권의 출산율에 머물고 있다.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증가와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어려움은 전통적 성역할 및 가족규범과 함께 저출산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또한 지속적인 경기침체와 양극화는 일-가정 양립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저출산을 보다 심화시키고 있다. 2011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서는 저출산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책의 우선순위를 일-가정 양립지원 및 결혼·출산·양육부담 경감에 두고 있다. 특히 양성평등 환경조성에 기반한 일-가정 양립지원정책은 향후 출산율 제고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보육, 근로시간, 휴가·휴직, 돌봄노동 등 우리 사회의 저출산과 관련된 일-가정 양립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정부와 국내기업의 정책 현황과 출산율 제고효과를 고찰함으로써 저출산 대응 및 여성고용 촉진을 위한 일-가정 양립지원정책의 추진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