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건 정책

Search Result 1,60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pproaches to Teaching Health Policy : Moving Students into the Political Process (보건정책 교육을 위한 접근법 -간호학생의 정책참여 과정을 중심으로-)

  • Yom, Young-Hee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5 no.1
    • /
    • pp.156-163
    • /
    • 1995
  • 이 연구는 간호사의 보건정책과 정치에 대한 미래지도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써 한국의 4년제 간호학과에서 가르쳐야할 보건정책과목을 상세하게 제시한다. 새로운 보건정책과목 개설을 위한 기초작업으로써, 미국 간호사들의 정치와 정책참여에 대한 사례를 열거하고 어떻게 간호사들이 정책에 참여하고 영향력을 발휘 했는지를 서술한다. 특히 Oregon plan과 지역사회 중심으로 형성된 연합체제와 간호정책 분석가의 역할이 소개된다. 간호사들의 사회 정치 진출의 한 방법으로써 간호교육에서의 보건정책과목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언급되며, 미국의 4년제 간호대학 학부과정, 석사과정, 박사과정에서 가르쳐지는 보건정책 과목이 소개된다. 간호정책 전문가로써의 등용문으로 알려 진 Robert Wood Johnson Health Policy Internship과 Fellowship이 소개한다. 미국간호사들의 보건정책 참여방법과 현재 가르쳐지는 보건정책과목의 장점을 토대로 하여 우리의 실정에 맞는 간호학생을 위한 보건정책 과목이 제시되어진다. 보건정책과목의 목적과 내용이 자세히 서술되어지고 역동적인 실습과정이 소개되어진다. 또한 학과목으로 정착되기 위해서 필요한 새로운 전략이 서술되어 진다.

  • PDF

환경정책 - 2014년 환경보건정책방향

  • Lee, Ho-Jeung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12
    • /
    • pp.5-7
    • /
    • 2014
  • 환경보건정책의 영역은 대기, 수질 등 환경매체에 배출된 오염물질이 수용체인 인간에 도달하여 건강피해를 야기하는 일련의 과정을 규명하여 예방 관리하는 폭넓은 범위를 차지하고 있다. 환경보건정책은 다른 매체별 환경정책에 비해 뒤늦게 출발하였지만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을 보전하여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환경보건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

  • PDF

Mental Health Reform through the National Mental Health Strategy in Australia and Convergence Policy Implications (호주의 국가정신보건전략을 통한 정신보건개혁과 융복합 정책적 함의)

  • Shin, Chang-Sik;Kim, Se-W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6
    • /
    • pp.341-350
    • /
    • 2015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main contents of the National Mental Health Strategy and changes after mental health reform through the National Mental Health Strategy in Australia, and to find some convergence policy implications on mental health policy in South Korea. The direction of reform has changed considerably over the 20 years that the National Mental Health Strategy has been in place including the National Mental Health Policy(1992, 2008), the National Mental Health Plan(1993~2014), COAG National Action Plan on Mental Health(2006~2011), the Roadmap for National Mental Health Reform 2012-2022. The National Mental Health Strategy has advocated fundamental change in the national spending on mental health, mental health service provision, the expansion of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services and care system, NGO, consumer and carer participation in mental health care.

A Study on Policy Execution Analysis of Industrial Safety Health Criteria (산업안전보건기준의 정책집행분석에 관한 연구)

  • 전운기;송수정;강경식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1.11a
    • /
    • pp.181-186
    • /
    • 2001
  • 산업재해로 인한 개인·사회·국가적 손실이 막대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산업재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산업안전보건정책의 결정과 집행과정에 대한 분석·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며, 유사한 성격의 사회정책으로서 공정거래제도나 환경분야보다도 훨씬 뒤떨어 져 있다 본 논문은 산업안전보건기준이라는 정책과제를 중심으로 산업안전보건정책의 집행 과정의 성공과 실패요인의 분석에 필요한 연구분석들을 제시하고자 하며, 향후에 이를 바탕으로 실증적인 적용실태연구를 통해 산업안전보건정책방향의 일단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보건복지 정책 모니터 국민과 호흡하고 대화하는 체제

  • Jang, Byeong-Won
    • Social Workers
    • /
    • no.5 s.49
    • /
    • pp.32-34
    • /
    • 2006
  • 이번에 도입되는 정책모니터 제도는 한마디로, 주요 복지정책들의 품질을 높이고 국민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 국민과 함께 호흡하고 대화하는 의사소통 체제라고 할 수 있다. 열린 보건복지 행정의 기틀을 다진다는 뜻에서 보건복지정책모니터 제도는 매우 의의가 있다.

  • PDF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한 국가실천전략

  • 김용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Conference
    • /
    • 2004.05a
    • /
    • pp.3-11
    • /
    • 2004
  • Ⅰ. 국가실천전략을 위한 정책추진배경 및 방향·방향 1. 삶의 질 개선과 국가경쟁력 제고·새로운 산업, 고용정책 추진, 사회안전망의 내실화를 통한 삶의 질 개선 ■ 인적자원의 확충과 효율적 관리를 통한 성장동력 확보, 국가경쟁력 제고 □ 방향 2. 장기적·종합적 정책 수립 ■ 중장기적 관점에서 큰 틀의 방향 설정 ■ 이에 맞춰 단기대잭 조율 □ 방향 3. 국민의 참여와 범정부적 정책추진 ■ 인구, 경제, 고용, 교육, 여성, 보육, 보건, 복지, 여가, 문화 등의 여러 분야에서의 국민참여를 통한 국민을 위한 정책 개발 ■ 범정부적 정책으로 유도정부의 정책방향과 미래사회 준비에 합치되는 범정부적 정책으로 유도 (중략)

  • PDF

Basic Principles for Establishing Legal Regime of Environmental Health in Korea (환경보건 관련 법제도 수립의 기본원칙에 관한 고찰)

  • Shim, Young-Gyoo;Park, Jeong-Im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5 no.4
    • /
    • pp.127-154
    • /
    • 2006
  •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the environment is an important determining factor of human health. Apprec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Korean government has begun to deal with issues of environmental health. The government proclaimed the year of 2006 to be the first year of Environmental Health and established "The Environmental Health Plan for the next 10 Year".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in the plan, there are necessary considerations such as support systems for environment health related research, investigation, law, institution, administration, and so forth. This study suggests basic principles required to establish a legal regime of environmental health which is to implement the environmental health policies in Korea. Several cases of foreign legislation and policy relevant to environmental health are reviewed. Also, existing related legal system in Korea are analysed considering legal and institutional elements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environmental health policy. The main purpose of amending legal system related environmental health is to protect both public health and the soundness of ecosystem. To reach the goals effectively,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health' should be clearly established and presented. In addition, an advanced prevention system, including investigation and prevention of the cause of environmental diseases and risk assessment based on the precautionary principle, are substantial in the environmental health legislation. Also the environmental health law should guarantee public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as well as the first consideration of susceptible or vulnerable populat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expected legislation related to environmental health should be a nonnative instrument not only for integrating each environmental protection scheme but also for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the policy.

  • PDF

A Study on Research Trends and Development Process of Health Policy for the Elderly (노인보건정책의 발전과정 및 연구동향에 대한 일고찰)

  • Sunwoo, Duk
    • 한국노년학
    • /
    • v.28 no.4
    • /
    • pp.773-784
    • /
    • 2008
  • This paper is to suggest policy issues to be done in the future health policy for the elderly, analyzing contents of results suggested in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is 61, occupying most of papers related with chronic disease, medical expenditures and health delivery system except dental and psychiatric health. Method used to be analyzed is mostly random sampling among community inhabitants or hospital patients. Policy issues are as follows in case of being based in the above analysis results. Firstly, it is necessary that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specialized for the elderly be developed and activated. Secondly, it is necessary that the primary health care system specialized for the elderly be constructed. Thirdly, it is necessary that the subacute care system specialized for the elderly be constructed after acute care services. Finally, it is necessary that the health care system specialized for the elderly in need of long-term care be constructed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