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건교육담당자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건강을 지키는 현장-'93 보건교육 담당자 교육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17 no.12 s.181
    • /
    • pp.2-5
    • /
    • 1993
  • 한국건강관리협회는 '93년도 보건교육담당자교육을 지난 11월 17일부터 2박 3일간 수안보 상록회관에서 가졌다. 보사부의 후원하에, 전국의 일선 보건 교육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이번 교육은 교육 내용면에서 어느 때보다도 충실했고, 또 교육생들도 아주 진지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역주민 보건의식 향상을 통한 건강증진에 기여하겠다는 의지가 뜨거운 열기로 살아났던 '93 보건교육 담당자 교육의 현장을 소개한다.

  • PDF

건협소식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20 no.11 s.216
    • /
    • pp.30-31
    • /
    • 1996
  • PDF

국내외 건강도시 네트워크 관련 조직의 운영 현황 및 지원 방향

  • Song, Ye-Ri-A;Nam, Eun-U;Mun, Ji-Yeong;Choe, E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6-86
    • /
    • 2009
  • 목적 : 국내외 건강도시 네트워크 관련 조직의 운영 현황을 분석함으로서 대한민국 건강도시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국내 건강도시 네트워크의 활성화 방안과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방법 : 국내외 관련 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38개 건강도시 담당자를 대상으로 2009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1개월간 설문조사 및 담당자 면접조사를 실시함. 조사 결과는 SWOT 분석에 의하여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결과 : 국내 건강도시 응답률은 82.4%였음. 국내 건강도시는 사업 담당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및 정보 교류를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고, 건강도시사업계획서를 76.3%가 작성하였음. 건강도시의 규모는 중소도시(시) 31%, 농어촌(군) 22%, 대도시(구) 47%로 조사됨. 건강도시사업 담당부서는 71%가 보건소이었으며, 건강도시업무 전담인력 보유 도시는 19%였음. 건강증진기금을 재원으로 활용하는 도시는 34%에 불과하였음. 국외 현황으로는 브라질에서는 건강도시 관련 석사과정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국가별로 추진 방법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음. 결론 : 우리나라는 2007년도부터 건강도시협의회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고, 정부에서는 2008년도부터 교육훈련 비용 및 전담인력을 지원하고 있었음. 그러나 사업을 추진 중인 자체단체는 아직 예산의 부족과 전담인력의 부족, 그리고,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사업 추진으로 인하여 본 청사와의 갈등 등이 있었음. 향후 건강도시사업을 위한 지침서 개발, 정부의 예산 지원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음.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Improvement of Safety Education - Focused on the Education of Manufacturing Risk Assessment Officer - (안전교육의 효과성 향상에 관한 연구 - 제조업 위험성평가 담당자 교육을 중심으로 -)

  • Jin Eog K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1
    • /
    • pp.97-104
    • /
    • 2023
  • Purpose: The web based KRAS risk assessment support system to facilitate risk assessment in small businesses and provides an assessment model for each type of business. In order to help understand risk assessment, private institutions have opened and operated training in charge of risk assessment. It will present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n charge of risk assessment and measures to improve and revitalize it accordingly. Method: Using SPSS 22 for 670 workplaces that completed risk assessment personnel training within 5 years from 2017 to 2021, the disaster rate was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by dividing groups of less than 100 people into groups of 100 people. Result: Hypothesis 1-5 are adopted and reject 5-8.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organization of a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ize of a company for corporate education with more than 100 employees and to enhance the benefits of recognizing risk assessment.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Workers and the Health Personnel on the Health Management in Kyung-In Area (경인지역 일부 근로자와 보건담당자의 보건관리에 대한 인식 및 태도)

  • Chang, Seong-Sil;Lee, Se-Hoo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27 no.1 s.45
    • /
    • pp.145-158
    • /
    • 199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workers in small scale industries on health management,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more effective service by the group occupational health service system.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247 workers and 46 health personnel in the industries scattered around Incheon were investigated from December 1992 to February 1993.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workers and the health personnel by age, sex, marriage status, job-position and education level. 2. The recognition level of the workers to contract work related disea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ealth personnel, and recognition level of the workers on environmental hazards and on the utility of measuring hazards were lower than that of health personnel. 3. The recognition level on the content of the group occupational health service syste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workers and health personnel, 72.6% of the responses from the workers answered that they did not know what the group occupational healthe service system was, but 82.2% of the responses from the health personnel answered that they knew well what it was. And 79.0% of all respondents thought it was necessary for worker's health. 4. Seventy three percent of the respondents from the workers indicated that they had never taken health education. However, 93.0% of all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for the need of health education to promote their health. 5. Current health service system was judged to be insufficient for the demand of workers for better health. Most of the respondents prefered a formal but flexible health service system and they wanted the periodic health examination to be followed up. It was revealed that despite of poor knowledge, the demand of workers for health service was higher than the current supp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educating both health personnel and workers to obtain correct knowledge on the hazards to work enviroment and health management is needed for effective occupational health service.

  • PDF

PRECEDE factors associated with workers' participation i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by business size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 (사업장 규모별 제조업 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 참여도와 관련된 PRECEDE 요인)

  • Park, Kyoung-Ok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 /
    • v.19 no.2
    • /
    • pp.11-29
    • /
    • 2018
  • 목적: 산업장 안전보건교육에서 근로자의 자발적인 참여는 그 효과와 관련된 핵심적인 도전과제이다. 본 연구는 PRECEDE 모델을 중심으로 일부 제조업 사업장 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 참여도와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방법: 전국 133개 제조업체의 450명(50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 160명, 50인 이상 사업장 근로자 290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과 함께 산업재해 및 안전보건교육과 관련된 역학적, 교육적, 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PRECEDE 특성 중 대규모 사업장 근로자의 사내 안전보건교육 관련 교육.생태학적 여건이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보다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의 사내 안전보건교육 참여도와 관련된 PRECEDE 특성은 소규모 사업장에서는 안전보건교육 담당자에게 필요한 연수교육요구도, 안전보건교육을 위한 사회적 지지, 전체적인 사내 안전보건관리 수준이었는데, 사업장 규모 50인 이상의 사업장에서는 근로자의 연령, 사내안전보건교육 효능감, 사내교육을 위한 사회적 지지도, 사내 안전보건교육담당자의 교육역량이었다. 결론: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의 사내 안전보건교육 참여도와 관련된 요인은 주로 조직 수준의 특성이었는데 반해(사내교육을 위한 환경적, 사회적 지지), 50인 이상 사업장에서 유의미한 특성은 주로 개인 수준의 특성으로(안전보건교육 효능감, 사내교육담당자의 교육역량) 사업장 규모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를 기반으로 사업장 규모에 따라 차별화된 사내 안전보건교육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