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해충 관리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초

배부식 방제기의 분무 성능평가 (Spray Performance Evaluation of Knapsack Type Sprayer)

  • 김영주;곽현환;강태경;이중용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7-263
    • /
    • 2003
  • 방제는 재배작물에 발생하는 병충해를 최소화하여 농산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관리 작업이며, 작물을 재배하는 동안에 여러 번 작업해야하며 노동 강도가 크고 농약중독 위험 때문에 농민이 기피하는 작업이다. 방제 방법에는 화학적 방제와 생물학적 방제, 농업적 방제, 기계적 방제 등 여러 방법이 있다. 화학적 방제는 잡초나 해충, 균의 밀도가 경제적 피해 수준 이하에서 유지되면서 더욱 확산되지 않도록 천연 또는 인공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병해충이나 잡초를 억제는 방제방법으로 현재는 물론 가까운 미래에도 주를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중략)

  • PDF

조경수의 병해충 - 벚나무에 피해를 주는 해충

  • 최광식
    • 조경수
    • /
    • 제79권3_4호
    • /
    • pp.27-30
    • /
    • 2004
  • 봄이면 우리의 가슴을 설레게 하는 벚꽃의 연분홍색 자태는 4월을 알리는 봄의 전령으로 우리를 기쁘게 하지만 이를해치는 해충의 종류는 한국수목해충목록집에 424종이 등재되어 있어 인간이 벚꽃을 사랑하는 만큼이나 곤충들도 벚나무류를 무척 좋아 하는가봅니다. 1990년 이후 각 도시의 가로수, 정원수로서 경쟁적으로 식재 관리하고 있는 벚나무류에 대한 주요해충으로 복숭아혹진딧물, 뿔밑깍지벌레, 뽕나무깍지벌레, 공깍지벌레, 벚나무응애 등 흡증성해충을 중심으로 이들 해충에 대하여 생리·생태 및 방제법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전국 농업기상관측망 구축과 농업기상정보 서비스 개발 (Development of Agrometeorological Network and Information Service in Korea)

  • 신재훈;이계엽;이정택
    • 한국농림기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림기상학회 2001년도 춘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43-146
    • /
    • 2001
  • 농업기상정보는 농업경영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정보이다. 그날 그날의 영농관리를 위한 날씨정보뿐 아니라, 재배작목 또는 작부체계의 변경, 재배적지 판정, 작황진단, 병해충 발생의 예찰, 농업기상예보(agrometeorological forecasting) 등과 같은 의사결정지원정보에는 농업기상의 이용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 국가적 농업기상관측 인프라 구축이 미흡한 상황에서 이 같은 정보를 기대하기 어렵다.(중략)

  • PDF

불임으로 수확 불가능한 필지도 발생 '93 - 줄기수 적으나 일조량 많아 등숙양호 '94 - 저온지속되면 질소성분이 축적돼 도열병 쉽게 걸려

  • 박대균
    • 농약정보
    • /
    • 제15권6호통권123호
    • /
    • pp.15-19
    • /
    • 1994
  • 최근들어 기상학자들의 기상이변 학설을 뒷받침 하듯이 지구촌 곳곳에서 가뭄, 홍수 등이 계속 발생한다는 보도를 자주 접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93년 냉해, 94년의 유래없이 오래 지속된 여름 무더위, 가뭄으로 농작물 관리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러한 자연재해를 극복하고 식량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이러한 두해(年)의 기상이변이 벼생육과 수량 및 병해충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를 돌이켜 보고, 앞으로 언제 있을지도 모를 기상재해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야겠다.

  • PDF

한국의 과채류 재배 스마트 온실 실태: 온실 환경 및 병해충 관리 (Present Status of Smart Greenhouses Growing Fruit Vegetables in Korea: Focusing Managemen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Pests in Greenhouses)

  • 박영균;백성훈;임재성;김민중;이준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55-64
    • /
    • 2020
  • 스마트 온실은 주로 파프리카, 토마토, 딸기와 같은 과채류 작물을 대상으로 보급되었다. 스마트 온실의 보급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그 실태에 대한 조사는 부족하다. 그러므로,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의 스마트 온실의 시설 규모, 재배작물, 재배방법, 발생 병해충과 실사용자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 현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스마트 온실의 리스트는 각 권역별 현장지원센터로부터 제공받았으며, 모든 조사는 농가를 직접 방문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된 스마트 온실 농가의 약 50%가 3,300 ㎡~6,600 ㎡ 사이의 규모로 운영하고 있었다. 조사된 농가 중 97.1%가 화학적 방법을 이용해 병해충을 방제하고 있었다. 조사된 농가에서 응답한 주요 식물병은 흰가루병과 잿빛곰팡이병으로 각각 54.4%, 33.8% 비율로 주로 문제가 되는 식물병이라고 응답하였다. 모든 토마토 농가에서 가루이류가 가장 문제가 되는 해충이라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파프리카 농가의 76.5%, 70.6%가 총채벌레류와 진딧물류를 가장 문제가 된다고 응답하였다. 스마트 온실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평균 7.5점이었다. 이 결과는 한국의 현재 스마트 온실을 관리하고 미래 스마트 온실을 설계하는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유과기 소봉지 괘대가 '화산배' 병해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mall Paper Bag Coverage at Young Fruit Stage on the Reduction of Fruit Damage Incidence and Quality Deterioration during 'Hwasan' Pear Cultivar)

  • 박영식;정햇님;이제창;엄남용;홍세진;허재윤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31-841
    • /
    • 2017
  • 본 연구는 '화산배' 품종에서 유기재배 동안 유과기 소봉지 괘대가 과실의 병해충 발생과 과실품질 저하 방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2015년 4월부터 9월까지 유기농 배 과원에서 과실의 생산성과 상품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병해충에 발생량을 검정하였다. 4가지의 주요 나방류 해충 중 복숭아순나방이 유기농 과원에서 가장 많은 발생량을 보였으며, 이들은 4월과 5월 사이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4가지의 주요 병해 중에서는 붉은별무늬병과 검은별무늬병의 발생량이 많았으며, 특히 5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과기에 소봉지 괘대는 생물학적 스트레스에 따른 간섭을 억제하는데 기여함으로서 봉지 괘대 시기에 상관없이 관행 봉지 괘대 처리법보다 우수한 품질을 가지고 상품성을 가진 과실의 생산 비율을 증진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월 중 가장 빠르게 소봉지 괘대가 이루어졌던 실험구간에서 병해충에 대한 소실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과실이 가장 많이 비대 되고 당도도 가장 많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화산배'에 있어 빠른 소봉지 괘대가 유기재배를 위한 효과적인 관리기법 중 하나로써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형 사과 병해충종합관리(IPM) 체계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의 전개: 이순원 박사의 연구 사례 (Development of Basic Research for Establishing the Apple IPM System in Korea: Dr. Lee Soon-Won's Research Case)

  • 안정준;오현석;최경산;최경희;도윤수;이선영;이동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13
    • /
    • 2021
  • 1950년대에 종합적 유해생물관리(IPM)의 개념이 발달하기 시작하여 1960년대에는 경제학적 개념이 해충방제에 포함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부터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종합방제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었다. 우리나라 병해충 종합방제에 관한 연구는 1970년대 감귤해충에 대한 종합방제연구와 통일계 품종의 보급에 따른 수도해충종합방제연구에서 시작되었다. 우리나라 사과 병해충종합관리 연구는 1980년대 화학농약을 이용한 방제 및 약제 저항성 연구, 해충 및 천적생태에 대한 연구, 성페로몬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진행되었다. 1990년대부터는 농가보급을 위한 IPM 연구사업과 현장실증사업이 병행되었다. 2000년대에는 교미교란제를 중심으로 한 해충예찰과 발생모형 개발, 해충에 대한 DB프로그램 및 정보공유를 위한 네트워크가 구축되었다. 2010년대는 무인예찰 및 자동화기술 개발을 통해 IPM 기술이 확장되고 있다.

우리나라 주요 산약 재배지 GAP와 관련된 재배환경 실태 (Cultivation Environment in Relation to Good Agricultural Practices in the Major Cultivation Area of Disocorea batatas)

  • 조재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4호
    • /
    • pp.290-295
    • /
    • 2011
  • 본 연구는 산약(Disocorea batatas)을 대상으로 토양 및 관개용수의 질 평가, 화학비료 및 퇴비의 사용실태 그리고 잡초 및 병해충 실태에 대한 현장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생산단계에서 good agriculture practices (GAP) 기반조성에 유용한 데이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약 재배지 토양과 관개용수 중 카드뮴, 납, 구리 및 아연 모두 자연함유량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산약재배지 관개용수 가운데 총질소는 대부분의 조사지점에서 기준치를 초과하였으나 총인은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 산약 재배지에 화학비료와 퇴비가 복합적으로 과량 투입되고 있음이 현장 설문조사에서 나타나 최적의 양분종합관리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약 재배지에서 우점 잡초는 바랭이(Digitaria sanguinalis), 쇠비름(Portulaca oleracea) 그리고 깨풀(Acalypha australis)로 나타났으며, 제초제 처리횟수는 1년에 2회 처리가 가장 많았고, 일부 농가에서는 4회까지 처리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산약 재배지에서 병해는 탄저병과 잎마름병이 주로 발생하였고, 해충으로는 응애가 주로 출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병해충 방제 목적으로 살충제나 살균제를 연 4~5회 처리하고 있었다. 산약의 안전성과 지속적인 농업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화학비료와 농약의 저투입이 필요하며, 궁극적으로는 유기농업에 의한 우수 산약의 재배기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농업기술 - 겨울철 인기 만점 포인세티아 재배관리요령

  • 장정희
    • 농업기술회보
    • /
    • 제46권1호
    • /
    • pp.36-37
    • /
    • 2009
  • 크리스마스를 상징하는 화려한 포인세티아는 겨울철의 대표적인 분화이다. 포인세티아 수요는 매년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하여 겨울 꽃시장의 주요 상품으로서 자리 매김을 하고 있지만 그동안 외국 품종에 대한 높은 로열티 지불로 화훼농가 경영에 큰 부담이 되었다. 농촌진흥청에서는 포인세티아 신품종을 육성, 보급하여 로열티 경감과 화훼농가의 안정적인 소득 증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포인세티아는 단일성 식물로 보통 자연일장이 줄어드는 10월부터 이듬해 3월 중순까지 꽃눈을 형성한다. 이 시기는 일장단축과 함께 온도도 영향을 미치며 일장조절에 의한 연중출하가 가능하다. 겨울철 출하를 목표로 재배중인 포인세티아는 적정 온도유지, 환기에 의한 습도관리, 병해충 방제 등 환경관리에 특별히 유의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