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병소

Search Result 78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방사선 수술시 자동적인 선량분포의 최적화를 위한 예비 연구

  • 최경식;오승종;서태석;이형구;최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Conference
    • /
    • 2003.09a
    • /
    • pp.38-38
    • /
    • 2003
  • 목적 : 방사선 수술의 목적은 병소에 최대한의 방사선을 조사하고, 주위의 정상조직에는 가능한 적은 양의 방사선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해 방사선 수술계획자는 계획시 isocenter의 위치와 개수, 콜리메이터 크기를 변화시켜 가며, 주어진 병소에 맞는 선량분포를 획득해 방사선 수술효과를 최대화시키는 수술계획을 수립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모양의 병소에 대해 자동적으로 isocenter를 위치시켜 수술 계획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임의의 병소 모델들에 대해 위의 변수들을 변화시켜 가며 얻어지는 선량분포를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임의로 정의한 계산 영역내에 다면체를 병소로 가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사선 수술시 하나의 isocenter에서 얻어지는 선량분포는 구형으로 근사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isocenter를 구로 근사하여, 각 병소 모델 내에 콜리메이터 크기를 변화해가며 가능한 많은 영역을 포함하도록 isocenter를 배치시켰다. 이후 구형선량모델을 사용해 선량분포를 획득하여 병소와 정상조직간의 DVH(Dose Volume histogram)와 각 병소 모델에 대한 통일 평면상의 선량분포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임의의 다양한 종양 모델에 대한 50%의 등선량 곡선내에서 세 가지의 빔관련 변수들을 변화시킨 결과, 종양이 없는 정상 조직에서는 선량분포가 극히 낮았으며, 콜리메이터의 크기에 따른 isocenter 의 개수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경우 한 종양모델에서의 깊이에 따른 선량 분포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리고, isocenter의 개수가 변화함에 따라 선량곡선이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빔관련 변수인 콜리메이터 크기, isocenter 개수, 거리등은 어느 일정 정도를 넘기면, 병소내 선량 분포에 크게 기여하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여 빔관련 변수들을 최소로 고려하므로써 계획시 소모되는 시간 과 노력을 많이 줄일 수 있을 것이며, 또한 각 병소 모델에 대한 최적의 구형선량모델에서 공통적인 규칙성을 찾는 것과 실제 병소의 모양을 간단한 모양으로 근사화 시킨다면 자동적 선량모델을 이루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이로 인해 효율적인 치료계획작업이 이루어질 것이라 사료된다.

  • PDF

5급 와동의 심미 수복

  • Hwang, Seong-Uk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Esthetic Dentistry
    • /
    • v.21 no.1
    • /
    • pp.4-22
    • /
    • 2012
  • 치경부에 발생된 병소 부위(cervical lesion)는 "우식성 병소(caries lesion)"와 "비우식성 병소(non-caries lesion)"로 분류할 수 있다. 우식성 병소는 구강 내 세균들의 활동에 기인하여 발생된 병소로서 경조직 손상 부위의 수복과 함께 우식이 재발하지 않도록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우식성 병소는 산성 물질, 저작력 및 이물질에 의한 마모 작용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으며, 수복 치료에 앞서 병소에 발생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병소 유발 원인에 대한 분석과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한 후에 수복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미적인 요구가 높은 치경부 병소의 수복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재료는 "불소를 방출하는 재료"와 "불소를 방출하지 않는 재료"로 나뉘어지는데, 세균의 활동에 의해 형성된 우식성 병소의 수복에는 불소를 방출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우수한 심미성과 보다 강력한 유지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복합 레진계 수복 재료들을 사용하여 수복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접착 술식(bonding procedure)"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접착 술식"은 수복물의 일차적인 유지 뿐 아니라 지각과민을 해소하고 2차 우식을 방지하며, 궁극적으로 수복물의 수명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자연 치아를 최대한 보존하고자 하는 "최소침습(minimum intervention)" 개념에 바탕을 두고 세심하게 형성된 와동에 각각의 증례에 최적화된 수복 재료를 선택하여 수복치료를 시행한다면 보다 심미적이고 환자가 편안한 치경부 수복물을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Search of Characteristic for Dose Distribution Presented by Multi­isocentric Stereotactic Radiosurgical Plan Using Linear Accelerator (선형 가속기를 이용한 정위적 방사선 수술시 병소내 선량분포의 특성조사)

  • 최경식;오승종;이형구;최보영;전흥재;서태석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14 no.4
    • /
    • pp.225-233
    • /
    • 2003
  • The goal of a radiation treatment plan is to deliver a homogeneous dose to a target with minimal irradiation of the adjacent normal tissues. Dose uniformity is especially important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using a linear accelerator. The dose uniformity and high dose delivery of a single spherical dose distribution exceed 70%. This also results with a similar stereotactic radiosurgical plan using a Gamma Knife. The dose distribution produced in a stereotactic radiosurgical plan using a Gamma Knife and Linear accelerator is spherical, and the application of the sphere packing arrangement in a real radiosurgical plan requires much time and skill. In this study, we found a characteristic of dose distribution with transformation of beam parameters that must be considered in a radiosurgical plan for effective radiosurgery. First, we assumed a cylinder type tumor model and a cube type tumor model. Secondly, the results of the tumor mode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dose profiles and DVH_(Dose Volume Histogram) representative dose distribution. We found the optimal composition of beam parameters_(i.e. collimator size, number of isocenter, gap of isocenters etc.), which allowed the tumor models to be involved in the isodose curve at a high level.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this study are helpful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and speed of a radiosurgical plan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 PDF

[ $^{99m}Tc-DISIDA$ ] Scintigraphic Diagnosis Of Extrahepatic Hepatocellular Carcinoma Metastasis : Comparison with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99m}Tc-DISIDA$ 신티그래피를 이용한 간세포암 간외 전이의 진단 : 원발 간세포암과의 비교)

  • Chung, Soo-Kyo;Kim, Sung-Hoon;Baik, Joon-Hyun;Kim, Young-Joo;Chun, Kyung-Ah;Park, Seog-Hee;Bahk, Yong-Whee;Shin, Kyung-Sub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29 no.4
    • /
    • pp.484-491
    • /
    • 1995
  • It is well known that hepatobiliary agent are taken up by metastatic hepatocellular carcinoma(HCC) as well as primary HCC. But the reported cases of the extrahepatic metastasis of HCC diagnosed by hepatobiliary scintigraphy are for the most part hematogenous ones. The relation of the uptake pattern of hepatobiliary agent in the primary and metastatic HCC is also still remains unknown. So we undertook this study to evaluate the relation of the hepatobiliary scintigraphic patterns of primary and metastatic HCC with different metastatic routes. Nine patients with primary HCC and twelve cases of metastatic HCC including four lung metastases, one bone metastasis, one right atrial metastasis, one peritoneal wall metastasis, and five lymph node metastases were studied with $^{99m}Tc-DISIDA$ scintigraphy. The images were taken on 10, 30 minutes, 1, 2, 4-6 hours. The overall detection rates of hematogenous metastases(lung and bone) is 60%(3 of 5), direct metastasis(right atrium and peritoneal wall), 100%(2 of 2) and lymphatic metastases, 0%(0 of 5). In four of five metastatic cases demonstrated with hepatobiliary scintigraphy, biliary agent is also taken up by primary HCC lesions. And the appearing time of the radioactivity in the direct metastatic HCC lesioin is same as that of primary HCC and in the cases of hematogenous metastasis, earlier than that of primary HCC. Hepatobiliary scintigraphy is more useful in the diagnosis of the metastatic HCC than primary HCC, in the cases of hematogenous and direct metastasis.

  • PDF

Long Bevel과 Self-Etching Primer를 이용한 치경부 병소 복합레진 수복의 치험례

  • 임중장;황인남;오원만
    • Proceedings of the KACD Conference
    • /
    • 2002.05a
    • /
    • pp.322-322
    • /
    • 2002
  • 치경부 병소는 부적절한 칫솔질, 화학적 침식 및 차아의 굴곡 등의 여러 원인에 의해 크게 cervical abrasion, erosion 및 abfraction의 형태로 나타난다. 최근 노령 환자층의 증가와 치주 치료에 의한 구강내 치아 잔존율의 증가는 치경부 병소의 증가를 가져왔다. 이러한 치경부 병소는 지각과민증, 우식 및 심미적 이유 등으로 수복을 시행하며 구치부위에 작은 우식이 없는 치경부 병소가 있는 경우 환자에게서 지각과민증를 유발하지 않는 경우라면 수복을 시행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많은 예에서 더 이상의 치아 및 치주 조직의 손상을 억제하고 치수의 보호를 위해서 수복을 시행한다. 특히 전치부의 경우에는 병소가 작고 우식에 이완되지 않았다 할지라도 그 심미적 측면 때문에 수복을 시행하는 예가 증가하고 있다.(중략)

  • PDF

감마나이프 방사선 시술에서 측면에 위치한 병소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 임용석;이정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Conference
    • /
    • 2003.09a
    • /
    • pp.39-39
    • /
    • 2003
  • 목 적 : 병소가 바깥쪽 측면(far-lateral targets)에 위치한 경우 감마나이프 방사선 시술이 어렵다. 저자들은 새로운 식을 도입하여 치료 좌표계를 변환시키고 환자를 측면으로 눕혀 시술이 가능함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 통상적으로 병소 위치가 X축 좌표 51.5mm-148.5mm 범위 내에 있는 경우, 감마나이프는 반듯이 누운 자세에서 시술을 한다. 그러나 병소가 바깥쪽 측면에 위치한 경우(51.5mm-148.5mm 범위를 벗어난 경우) 환자는 측면으로 굽혀진 상태에서만 시술이 가능하며 이때 환자 머리에 고정한 정위기구의 전면부분은 일직선 타입이어야 한다. 환자의 치료 자세가 90도 만큼 회전된 상태이므로 X축과 Y축이 서로 치환된다. 새로운 좌표계는 감마플랜에서 계산된 방사선 조사량의 각각 좌표계들이 새로운 식에 대입하여 얻어진다. 새로운 X축 좌표는 43mm 만큼 증가하였으며 범위는 30mm-170mm 이였다. 결과 : 환자를 측면으로 눕혀서 바깥쪽 측면 병소를 시술하는 방법은 방사선 조사 중심 위치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새로운 X축과 Y축 좌표계는 새로운 식으로 쉽게 치환 변환된다. 결론 : 측면으로 누워서 시술하는 방법은 X축 좌표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었으며 감마나이프 장비에서 X축의 이축 편위 (trunnion excursion) 한계 때문에 시술을 할 수 없는 경우의 수를 줄일 수 있었다. 이 방법은 바깥쪽 측면에 위치한 병소 시술에 매우 요긴하게 사용되며 특히 여러 개의 병변을 갖고 있는 전이성 뇌종양 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 기대된다.

  • PDF

임상가를 위한 특집 2 - 구강악안면영역에서 양성 종양의 영상진단

  • Kim, Gyeong-A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47 no.10
    • /
    • pp.637-646
    • /
    • 2009
  • 양성 종양(benign tumor)을 언급하기에 앞서 과오종(hamartoma) 및 과다 형성(hyperplasia)과의 차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양성 종양은 기원조직과 유사한 조직이 이상 증식하는 것으로 서서히 성장하지만 일반적으로 치료하기 전까지 이상 증식을 지속하는 진성 신생물을 일컫는다. 이에 비해 과오종은 정상 조직이 무질서하게 과증식하는 것으로 일정기간 후에는 성장을 멈추기 때문에 진성 신생물로 간주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과오종이 양성 종양에 포함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치아종은 정상적인 치성 조직의 성장이 완료되는 시기와 거의 동일한 시기에 성장을 멈추지만 양성 종양으로 분류된다. 과다 형성은 조직의 세포가 정상적인 배열 양상을 보이면서 세포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지속적인 성장 양상을 보이지만 그 성장이 제한적이므로 양성 종양과는 구별된다. 양성 종양은 일반적으로 무통성으로 서서히 성장하기 때문에 종양의 크기가 증가하여 안면 종창이나 동통 등을 유발하는 경우에 발견될 수 있으며, 방사선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기도 한다. 방사선검사는 병소의 위치, 범위, 특징 및 병소와 인접 해부학적 구조와의 관계 등 많은 방사선학적 진단 정보를 제공한다. 일부 종양은 방사선사진에서 매우 특징적인 소견을 나타내기 때문에 방사선학적 소견으로 예비 진단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진단정보를 제공하기도 하는 반면 어떤 종양들은 방사선사진에서 관찰되는 소견이 매우 유사하여 진단에 어려움을 주기도 한다. 따라서 종양의 확진을 위해서는 생검이 필수적이며, 방사선검사는 반드시 생검에 앞서 진행되어야만 정확한 방사선학적 진단을 할 수 있다. 양성 종양은 각각의 특징적인 방사선학적인 소견을 나타내지만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양성 종양의 특징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일반적인 특징을 관찰하여 병소가 양성인지 악성인지를 감별할 수 있다. 첫째, 양성 종양은 대개 호발하는 부위가 있으므로 종양의 발생부위는 감별 진단을 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치성 병소는 치아가 형성되는 하악관 상방의 치조돌기에서, 혈관성 및 신경성 병소는 하악관 내에서, 연골성 종양은 하악과두와 같이 연골세포가 잔존되어 있는 부위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둘째, 양성 종양은 대체로 명확한 경계와 피질골성 변연을 보이며, 종종 병소가 결체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어 병소 주위에 방사선투과성 띠가 관찰되기도 한다. 셋째, 양성 종양은 일반적으로 인접 주위 조직에 압력을 가하면서 서서히 성장하기 때문에 인접 치아의 변위 또는 흡수, 피질골의 비박, 팽융 등의 소견을 보이며 피질골의 천공은 드물다. 방사선학적으로 양성 종양의 병소 내부는 방사선투과상으로 관찰되거나, 방사선불투과상으로 관찰되거나, 방사선투과상과 방사선불투과상이 혼재된 상으로 관찰된다. 저자는 이 지면에서 이러한 방사선학적 특징을 기초로 하여 구강악안면영역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을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RADIOGRAPHIC INTERPRETATION OF EXPERIMENTALLY PRODUCED BONY DEFECT ACCORDING TO kVp (관전압 변화에 다른 실험적 골결손부의 방사선사진상의 판독)

  • Nam Hye Kyung;Choi Karp Shik;Kim Chin Soo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 /
    • v.20 no.2
    • /
    • pp.265-276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evaluate radiographic interpretation, of various sized 60 periapical and 60 cancellous lesions in 10 mandibular sections of 5 dogs according to kVp (65, 70, 75, 80 and 85 kV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hange of kilovoltage within 65kVp-85kVp range did not have influence on the radiographic interpretation of the same-sized bony defects at the constant radiographic density (p> 0.05). When the bony defects were less than the size of No.2 round bur, radiographic interpretation of bony defects prepared with No.2 round bur was easier than those prepared with No. 1 round bur at 80-85kVp in periapical region (p<0.05). However, in cancellous bone, this radiographic interpretation was easier at 65-75kVp (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diographic interpretation between the defects confined only to the cancellous, bone and the defects involved in the compact bone (p<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efects confined only to the cancellous bone and the defects involved in junctional area of cancellous and compact bone (p>0.05). From the results of densitometric analysis, there was a difference in densitometric measurements at the same radiographic interpretation scores, and aluminum equivalent differences of 0.15-1.66㎜ thickness were needed for radiographic interpretation.

  • PDF

A 20-year Retrospective Study of Pediatric Oral Lesion Biopsy (소아 청소년 환자에서 시행된 구강 병소 생검 : 20년 간의 후향적 연구)

  • Park, Sang Hyun;Kim, Hyuntae;Song, Ji-Soo;Hyun, Hong-Keun;Kim, Young-Jae;Kim, Jung-Wook;Jang, Ki-Taeg;Shin, Teo Jeo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48 no.4
    • /
    • pp.425-436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athological information of pediatric oral lesions by retrospectively analyzing oral biopsy results from pediatric patients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Biopsy results of all oral lesions from pediatric patients, aged 0 - 16 years, were collected from the files of the Department of Oral Path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January 2000 to April 2020.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age groups: 0 - 5, 6 - 11 and 12 - 16 years. All oral lesio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inflammatory and reactive, tumor or tumor-like and cystic lesions. Among the total of 2928 biopsy specimens, tumor or tumor-like lesions(35.66%)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inflammatory and reactive lesions(34.29%) and cystic lesions(30.05%). Regardless of the categories used in this study, odontoma was the most frequently found lesion, mucocele and dentigerous cyst being the next common. This study was the first retrospective review of pediatric oral pathology in Korea, an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may assist in providing informative insight into the pediatric oral pathology for pediatric dent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