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리조직검사

검색결과 683건 처리시간 0.032초

증상을 유발한 이두구 주변의 결절종에 대한 초음파 진단 - 증례보고 - (Ultrasonographic Diagnosis of the Symptomatic Ganglion around the Bicipital Groove - Case Report -)

  • 한석구;김석현;송하정;김률;박현우;송현석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1-25
    • /
    • 2015
  • 이두건 장두의 병변은 단순 방사선 검사에서 확인하기는 쉽지 않으며 외래에서의 초음파 검사가 도움이 된다. 우 견관절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이두구 주변의 종괴를 진단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관절경적 절제술을 시행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병리 조직 소견상, 종괴 내막은 활액막 세포의 배열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내막은 두꺼워져 있어서 결절종으로 진단되었다.

  • PDF

양돈 임상 연구에 의한 천연물 오배자 추출물의 항균.항바이러스 효과 규명 (Antimicrobial Effects of the Extract of Galla rhois on the Long-term Swine Clinical Trial)

  • 이현아;홍선화;한상준;김옥진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
    • /
    • 2011
  • 천연물 오배자 추출물은 in vitro 선행 연구를 통하여 병원성 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한 강력한 항균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양돈 농장에서 130일간의 장기 임상시험을 통하여 효능평가를 통한 천연물 오배자 추출물의 항균 항바이러스 효과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200 마리의 돼지를 천연물 오배자 추출물 투여군과 비투여군으로 2 그룹으로 나누어 130일 동안 양돈농장에서 연구가 수행되었다. 천연물 오배자 추출물 투여군에는 항생제가 없는 사료에 천연물 오배자 추출물을 0.2% 배합하여 급여하였고 비투여군은 항생제가 포함된 일반 사료를 급여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사료섭취량, 체중, 임상증상을 분석하고 시험종료일에 부검하여 육안검사와 미생물학적 검사 및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천연물 오배자 추출물은 양돈 산업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병원성 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한 강력한 항균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마선 조사 타락죽의 3개월 반복투여 독성평가 (Toxicity Evaluation of Irradiated Tarakjuk for Three Months)

  • 윤성복;전영은;김태근;심재훈;강일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34-1539
    • /
    • 2012
  • 본 연구는 타락죽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30 kGy 감마선 조사된 타락죽을 ICR 마우스에 3개월간 섭취시킨 다음 독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비조사 타락죽 및 30 kGy 조사 타락죽을 암수 마우스에 투여를 한 결과 시험기간 동안 시험물질에 의한 임상증상이나 폐사 동물을 나타나지 않았으며, 체중변화, 사료섭취량 및 주요 장기 무게도 대조군에 비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액학적 검사 및 혈청학적 검사 모두 정상범위 내의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병리조직학적 검사 역시 간 및 신장 모두 염증, 괴사 등의 유의할 만한 병적 변화 없는 정상적인 구조를 유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30 kGy로 감마선 조사된 타락죽을 암수 마우스에 3개월간 섭취시켜도 본 시험조건에서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호색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독성시험연구 (Toxicity study to Ensure the Safety of Corydalis turtschaninovii BESS)

  • 이승범;하현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529-53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현호색에 대한 기본적인 독성을 조사하고, 식품 소재로서의 현호색에 대한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호색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여 농도별로 마우스에 투여한 뒤 사망률과 임상증상을 관찰하였으며, 장기를 적출하여 각각의 절대중량과 상대중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 및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하여 현호색의 안전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사망한 개체는 없었으며, 장기중량에 있어서도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혈액생화학적으로 일부 유의성 있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로써 현호색이 식품의 부재료 또는 첨가제로서의 활용이 가능한 소재로 판단되며, 다양한 활용방법 및 추가적인 안전성 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개의 전포도막 흑색세포종 증례 (Anterior Uveal Melanocytoma in a Dog)

  • 곽지윤;강선미;이의리;김수현;박상완;노현우;서강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5-208
    • /
    • 2015
  • 6년령 중성화 수컷의 말티즈가 서울대학교 부속 동물병원에 내원하였다. 안검사 상 우안의 전방출혈 및 안방수 흐림이 확인되었으며 포도막염에 대한 치료가 진행되었다. 4개월 후 우안 홍채의 등쪽 측면의 전방변위가 확인되었으며 안초음파 검사상 모양체 유래의 종괴로 잠정 진단되었다. 흉부 및 복부 영상검사에서는 종양의 전이소견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후 지속적인 포도막염과 종괴의 종대로 인해 우안의 안구 적출을 실시하였다.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우안의 종괴는 만성적인 출혈을 동반한 전포도막 흑색세포종으로 확진되었다. 본 증례와 같이 안내 종양 환자에서 비수술적인 처치로 눈의 지속적인 출혈이나 염증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 안구적출을 통한 적절한 안내 종양의 제거가 고려되어야 한다.

가변성 폐동맥 혈류조절기의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Percutaneously Adjustable Pulmonary Artery Banding Device)

  • 강경훈;김상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6호
    • /
    • pp.580-584
    • /
    • 1997
  • 기존의 폐동맥 혈류 조절술(pulmonary래eV banding procedure)의 미비 점을 보완하여 피하에서 조절 가능한 폐동맥 혈류 조절기(pulmonary artery banding device)를 개발하였다. 조절기는 탄성력을 가진 스테인레스 철 사를 이용하여 지그재그형으로 형태를 만든 조절부,폴리비닐 카테터로 된 몸체 부위 및 볼트와 너트로 이 루어진 나사부로 구성되어 있다. 15∼20 kg의 네 마리 황견을 이용해 좌측 개흉술 후 하행 대동맥에 본 장 치를 장착한 후 때월 후 장치의 조절에 따르는 혈압의 변화에 대한 검사를 하였다. 검사 후 실험동물을 희생시켜 장치를 포항한 대동맥의 병리 조직 검사를 시행하였다. 조절기의 나사부를 회전시키므로서 혈관 에 장착된 조절기의 직경과 원주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절되었다. 조절기의 조절에 따라 측정한 혈압 변 화에서 혈압이 조절기의 회전수에 선형 증감을 나타냈다. 폐동맥 혈류 조절기의 장착이 용이하고 쉽게 조 절 가능하므로 이를 장차 임상에 적용시켜 보다 향상되길 기대한다.

  • PDF

흉막삼출과 피부결절로 발현한 초등학생 남매의 폐흡충증 2례 (Two Cases of Paragonimiasis in Young Siblings Presenting with Pleural Effusion and Subcutaneous Nodules)

  • 정문영;백희조;조덕;김진;황찬규;한동균;마재숙;국훈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2호
    • /
    • pp.1385-1388
    • /
    • 2005
  • 인체 감염된 폐흡충류가 폐, 복부장기, 뇌 등에 기생하는 경우를 폐흡충증이라 한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의 특정지역에 유행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전남 및 경남 해안지방 등지에 유행지가 보고되어 왔다. 인체 감염은 민물 가재나 민물 게를 날 것으로 먹을 때 발생한다. 저자들은 과도한 호산구 증다증 소견과 함께 삼출성 흉막염과 피부 침범을 동반한 6세 남아에서 paragonimus 피부 반응검사와 ELISA 검사와 피부 결절의 병리조직학 검사를 통해 폐흡충증을 진단하였고, 동일한 증상을 보인 누나에서도 진단을 하여 praziquantel로 치료한 2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빠른 국소 재발을 보인 유방의 선근상피종에서 발생한 근상피암: 증례 보고 (Rapid Local Recurrence of Breast Myoepithelial Carcinoma Arising in Adenomyoepithelioma: A Case Report)

  • 하모인;서보경;최정우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1호
    • /
    • pp.207-212
    • /
    • 2020
  • 선근상피종은 관상피세포와 근상피세포의 이상성 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의 매우 드문 질환이다. 대부분의 선근상피종은 양성이나 관상피세포 또는 근상피세포에서, 혹은 둘 모두에서 악성 변형을 보일 수 있다. 본 증례 보고는 선근피상종 내부에 발생한 근상피암으로 절제술 시행 1달 후에 빠르게 발생한 국소 재발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검사와 자기공명검사에서 수술 후 생긴 혈종의 표재성 부분에 여러 개의 작은 재발 병소들이 관찰되었다. 본 증례 보고는 악성 선근상피종에서 수술 절제 면이 정상 조직과 가깝거나 높은 유사분열활성을 보이는 경우는 국소 재발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수술 직후 유방영상검사 시행을 제안하고자 한다.

폐의 좁쌀 결절로 발현된 림프종 사례: 증례 보고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Manifesting as Miliary Nodules in the Lung: A Case Report)

  • 나효주;권혜영;김성수;박형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6호
    • /
    • pp.1391-1396
    • /
    • 2023
  • 악성 림프종은 흉부 CT에서 결절, 종양, 폐 경화, 간유리음영 등 다양한 폐질환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폐 병변은 다른 질환의 양상과 유사하여 진단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본 증례는 호흡곤란과 발열을 주 증상으로 하는 67세 남성 환자로 해당 환자의 흉부 CT상 크기가 작은 다발성 결절이 양측에 미만성으로 나타나 혈행성 전이, 좁쌀 결핵 또는 진균 감염을 의심해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시행한 혈액 검사, 영상 검사 및 조직 생검 결과 폐를 침범한 미만성 큰 B세포 림프종이 진단되었다. 저자들은 폐의 좁쌀 결절로 발현한 매우 드문 림프종을 보고한다. 환자의 적절한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의 병력, 신체 진찰, 혈액 검사 및 영상 소견의 포괄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Borrmann 4형 진행위암과 같은 형태를 보인 호산구성 위염(Eosinophilic Gastritis) 1예 (A Case of Eosinophilic Gastritis Mimicking Borrmann Type-4 Advanced Gastric Cancer)

  • 신현욱;서병조;유항종;이혜경;김진복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1호
    • /
    • pp.47-51
    • /
    • 2005
  • 호산구성 위장관염은 아직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드문 질환으로 1937년 Kaijer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되었으며, 1961년 Ureles 등은 광범위한 장관 내의 호산구 침윤으로 인한 장관의 비후, 부종 등을 보이는 미만형과 가성종양이나 용종의 형태로 장폐쇄를 흔히 일으키는 국한형으로 분류하였다. 1970년에 Klein 등은 미만형을 호산구가 주로 침윤한 장관병의 층에 따라서 점막하층형, 근육층형, 장막하층형 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호산구성 위장관염에 대하여 Talley가 제시한 진단기준에 의하면 첫째, 위장관 증상이 있고 둘째, 식도에서 대장까지의 위장관에 대한 조직 생검에서 한 곳 이상의 호산구 침윤이 있으며 셋째, 소화기 외에 여러 장기에 호산구 침윤이 있으며 넷째, 기생충 감염의 증거가 배제되어야 한다. 식도와 직장까지 소화관 어디든지 발병할 수 있으나 위장과 근위부 소장이 호발 부위이다. 호산구성 위장관업의 증상은 종종 급성 복증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급성 충수돌기염, 폐쇄성 맹장병변, 치료에 반응을 않는 거대한 십이지장 궤양, 또는 장중첩증, 출혈 등의 급성 합병증을 동반하거나, 진단이 확실치 않는 경우, 악성종양과의 감별을 요할 경우에는 수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증례: 59세 남자 환자로서 내원 3주 전부터 시작된 식후 구토를 주소로 내원하여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3회에 걸친 위내시경 조직검사 상 섬유소성 괴사와 육아조직, 섬유성 반흔형성을 동반한 만성궤양성위염 및 호산구 침윤 소견을 보여서, 위장의 수출부 폐쇄를 동반한 Borrmann 4형 위암으로 의심하고 위전절제술 및 D2 림프절 과청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병리 조직 검사상 고유근층의 저명한 비후성 반흔을 동반한 호산구성 위염, mural type으로 진단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특별한 이상 소견 없이 퇴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