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변형도 속도효과

Search Result 19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uggestion of the Hydrogen Flame Speed Correlation under Severe Accidents (중대사고시 수소연소에 의한 화염속도 상관식 제시)

  • Kang, Chang-Woo;Chung, Chang-Hy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6 no.1
    • /
    • pp.1-8
    • /
    • 1994
  • The flame speed correlation considering thermal-hydraulic phenomena under severe accidents is proposed and correction coefficients are defined. This correlation modifies the pressure dependency in Iijima-Takeno correlation and adds the steam suppression effects to it in the anticipated hydrogen and steam concentration ranges under severe accidents. The existing models of flame speed due to hydrogen combustion under severe accidents are based on the experiments which were performed merely at room temperature and atmospheric pressure. They have difficulty in predicting a accurate flame speed in a case of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during severe accidents. Thus the flame structure is assumed as a prerequisite to the reliable determination of flame speed and theoretical model is developed. To examine the validity, flame speeds in various conditions calculated by this model a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by the calculation of the existing correlations of the codes such as improved HECTR and MAAP. Also the steam suppression ratio is quantified and the steam suppression coefficient is defined as a composition of mixture. Initial temperature and pressure dependencies are investigated and correction coefficents are determined. More experimental studies can be recommended to improve this correlation to its further works.

  • PDF

Stemming Effect of the Crushed Granite Sand as Fine Aggregate at the Mortar Blasting Test (화강암 부순모래의 발파전색효과 연구)

  • Kim, Hak-Sung;Lee, Sang-Eu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1 no.4
    • /
    • pp.320-327
    • /
    • 2011
  • In this study, for stemming effect in blast of the mortar block body, the crushed granite sand as fine aggregate, which is waste rock obtained at the ○○ limestone mine, was investigated to compare with stemming materials such as sea sand, river sand, clayed soil and water can be acquired easily at the field. The mortar block body was manufactured with the dimensions of 50 cm width, 50 cm length and 70 cm height. The direct shear and sieve separator test were performed, and the properties of friction resistance were analyzed by the extrusion test for five stemming materials. Axial strain of steel bar and ejection velocity of stemming materials due to the explosive shock pressure in blasthole with the stemming length of 10 cm and 20 cm in the mortar blast test were measured by the dynamic data acquisition system. Among stemming materials, axial strain showed the largest value at the crushed granite sand as fine aggregate, and the ejection velocity was the smallest value at the stemming of water. The results has shown correlate with harden unit weight in blasthole, particle size distribution, shear resistance, and extrusion strength of stemming materials. The ejection velocity of stemming material at the mouth of blasthole and the axial strain of steel bar in the inside of blasthole tend to be inversely proportional to each other, represent exponentially.

Fast Planar Shape Deformation using a Layered Mesh (계층 메쉬를 이용한 빠른 평면 형상 변형)

  • Yoo, Kwang-Seok;Choi, Jung-Ju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7 no.3
    • /
    • pp.43-50
    • /
    • 2011
  • We present a trade-off technique for fast but qualitative planar shape deformation using a layered mesh. We construct a layered mesh that is embedding a planar input shape; the upper-layer is denoted as a control mesh and the other lower-layer as a shape mesh that is defined by mean value coordinates relative to the control mesh. First, we try to preserve some shape properties including user constraints for the control mesh by means of a known existing nonlinear least square optimization technique, which produces deformed positions of the control mesh vertices. Then, we compute the deformed positions of the shape mesh vertices indirectly from the deformed control mesh by means of simple coordinates computation. The control mesh consists of a small number of vertices while the shape layer contains relatively a large number of vertices in order to embed the input shape as tightly as possible. Since the time-consuming optimization technique is applied only to the control mesh, the overall execution is extremely fast; however, the quality of deformation is sacrificed due to the sacrificed quality of the control mesh and its relativity to the shape mesh. In order to change the deformation behavior and consequently to compensate the quality sacrifice, we present a method to control the deformation stiffness by incorporating the orientation into the user constraints. According to our experiments, the proposed technique produces a planar shape deformation fast enough for real-time applications on limited embedded systems such as cell phones and tablet PCs.

Three-dimensional Boundary Segmentation using Multiresolution Deformable Model (다해상도 변형 모델을 이용한 3차원 경계분할)

  • 박주영;김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592-594
    • /
    • 2000
  • 변형모델(deformable model)은 볼륨의료영상(volumetric medical image)으로부터 복잡한 인체기관의 3차원적 경계를 분할해내기 위해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기존 변형모델은 초기와 의존성, 오목한 경계(concavity) 분할의 비적합성, 그리고 모델내 요소간 자체교차(self-intersection)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고, 오목한 구조를 포함하는 복잡한 인체기관의 경계를 분할하기에 적합한 새로운 변형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변형모델은 볼륨영상 피라미드(pyramid)를 기반으로 다해상도(multiresolution)의 모델 정제화(refinement)를 수행한다. 다해상도 모델 정제화는 전역적 시셈플링(global resampling) 및 지역적 리샘플링(local resampling)를 통하여 저해상도의 모델로부터 점차 고해상도의 모델로 이동하면서 객체의 경계를 계층적으로 분할해가는 방법이다. 다해상도 모델에 의한 계층적 경계 분할은 초기화 조건에의 의존성을 극복할 수 있게할 뿐 아니라, 빠른 속도로 원하는 객체의 경계에 수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지역적 리샘플링은 모델 구성요소의 정규화를 수행함으로써 객체의 오목한 부분을 성공적으로 분할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안 모델은 기존 변형모델에서 포함하는 내부 힘(internal force)과 외부 힘(external force)외에 자체교차방지 힘(non-self-intersection force)을 추가함으로서 효과적으로 모델내의 자체교차를 방지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주조/단조 공정에서 $A\ell$6061의 단조효과에 관한 연구

  • 권오혁;김형진;배원병;조종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51-251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주단조 공정을 자동차 부품인 low control arm 제조에 적용하였다. Al6061에 주단조 공정을 적용함므로써 재료비 감소와 기존의 스틸제품보다 경량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함이다. 첫째로 단조 재료인 A16061의 최적 주조조건을 찾기 위하여, 주조 실험은 알루미늄의 주입온도, 금형온도, 주입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수행되어졌다. 최적주조조건은 주입온도 $700^{\circ}C$, 금형온도 30$0^{\circ}C$, 주입시간 10초로 정하여졌다. 각각의 미세조직을 관찰하고 응력-변형률곡선을 구하기 위하여 열가단조실험은 빌렛온도, 변형률속도와 감소율을 기초로 하여 수행되어졌다.(중략)

  • PDF

Doppler effects of Transmission sign진 from Moving Target (움직이는 표적 전달신호의 도플러 효과)

  • Jin Un-Hwan;Na Jungyul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01-104
    • /
    • 2000
  • 본 논문은 중거리 수중표적이 고정 설치된 수신기에 접근 시 표적신호의 다중경로에 신호변형을 일으키며, 특히 신호의 변형 중 도플러효과를 변화정도를 신호모의를 동하여 분석하였다. 동해의 동계와 하계의 대표적인 음속구조에 따른 고유음선(eigenray)의 도플러 주파수를 계산하였다. 수중표적의 속도는 12노트, 주파수는 135Hz, 350Hz, 신호는 정현파로 가정하여 신호모의를 하였다. 그 결과 해저면 반사가 한번인 음선은 수신신호에 주로 Vp-doppler를 형성하였고 두 번인 음선은 주로 Down-doppler를 형성하였다.

  • PDF

Evaluation of Hot Mix Asphalt Properties using Complex Modifiers (복합개질제를 이용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물성 평가)

  • Lee, Kwan-Ho;Kim, Seong-Kyum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5
    • /
    • pp.146-152
    • /
    • 2018
  •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sphalt mixtures for plastic deformation occurring mainly in Korea, complex modifiers were prepared by mixing powders and liquid type modifiers. The main constituents were powdery diatomaceous earth, mica and carbon black, and liquid type solid 70% SBR latex. The tensile strength ratios for the two asphalt mixtures used in the test were above 0.80 for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ation (2017) asphalt mixture production and construction guidelines. The effects of increasing the tensile strength in the dry state was more than 14% when the composite modifier was added. The deformation rate per minute by the wheel tracking test load was an average of 0.07 to 0.147 for each mixture. The strain rate per minute was improved by the modifier, and the dynamic stability was improved by almost 100% from 295 to 590. In addition, the final settling was reduced from 11.38 mm to 9.57 mm. A plastic deformation test using the triaxial compression test showed that the amount of deformation entering the plastic deformation failure zone at the end of the second stage section and in the third stage plastic deformation section was 1.76 mm for the conventional mixture and 1.50 mm for the complex modifier mixture. The average slope of the complex modifier asphalt mixture mixed with the multi-functional modifier was 0.005 mm/sec. The plastic deformation rate is relatively small in the section where the road pavement exhibits stable common performance, i.e. the traffic load.

Mixing Characteristics of the Blends Containing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 (열방성 액정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혼합물의 혼련특성)

  • 김영석;이재욱;이석현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2 no.2
    • /
    • pp.56-65
    • /
    • 1990
  • 열방성 액정고분자와 폴리카보네이트를 대상 수지로 하여 용융혼합기로 액정고분자 의 함량, 혼합속도 및 온도등의 변환에 따른 훈련 특성을 측정하고 고분자 혼합물의 혼련조 건과 유변학적 특성 모폴로지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혼련 토크는 100rpm의 혼합속도 에서 극소값을 보이며 혼합기 내의 전단속도가 낮기 때문에 혼력에의해서는 LCP가 섬유상 으로 형성되지 못하고 구형의 입자로 존재함을 알수 있었다. 혼합물의 점도는 시험된 전단 속도 영역에서 순수한 고분자보다 현저히 낮으며 5wt%의 소량 첨가로도 5배의 점도 감소 효과를 보이고 LCP함량이 약 30wt%일 경우 점도 및 혼합에너지가 최소로 되었다. Capillary 레오미터의 실험결과 LCP/PC의 점도비가 1보다 작거나 같튼 전단장하에서 LCP 는 섬유상을 형성하였으며 높은 점도비의 경우 LCP의 변형이 어려워 구형의 입자로 존재하 였다. 또한 혼합물의 PC Tg 이동은 에스터르 교환 반응에 의한 부분적인 혼화성의 증가에 기인함을 알수 있었다.

  • PDF

The Effect of Extensional Flow on the Morphology of Polyblends Containing a Liquid Crystalline Polymer (액정고분자를 포함한 고분자 블렌드의 형구학적 성질에 대한 신장유동의 효과)

  • 조길원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9 no.3
    • /
    • pp.111-117
    • /
    • 1997
  • 대표적인 신장유동의 하나인 방사공정을 통해 액정고분자를 포함한 블렌드 섬유의 신장유동의 특성과 형구학적 성질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신장유동에 의해 분산상인 액정 고분자는 미세섬유구조를 바뀌었고 압출온도가 높을수록 더욱 발달된 미세섬유구조를 가졌 다. 이러한 분산상의 미세구조 변화에 대한 설명은 블렌드의 신장유동특성을 나타내는 신장 점도비로서 가능하였다. 즉, 압출온도가 높을수록 방사사선에서 신장변형률속도가 z지고 신 장점도비가 작아지므로 분산상의 신장변형이 더 많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방사이전의블렌드 내의 분산상은 압출온도를달리하여도 모두 구형으로 존재함을 발견하였고 이사실로부터 분 산상의 미세섬유구조는 방사사선에서의 신장변형에 의해 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 PDF

Effects of Modified ultrafiltration at cardiopulmonary bypass animal experiment. (심폐바이패스 실험동물에서의 변형 초여과법 사용의 효과)

  • 한재진;원태희;박성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2 no.10
    • /
    • pp.874-882
    • /
    • 1999
  • 배경: 체외순환 후의 부종현상 및 이에 따른 여러 장치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 체외 순환 이탈 후 환자의 혈액을 짧은 시간에 관류하여 여과해 주는 변형 초여과법의 사용이 늘고 있다. 이에 대한 긍정적인 임상결과들의 보고도 있으나, 다른 한편 체외 순환 후 염증반응을 포함한 폐손상의 기전에 혈구 성분의 영향이 보고되고 있는 바, 변형 초여과법의 효과, 특히 폐 조직에 대한 영향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몸무게 15에서 22 Kg(평균 16.5$\pm$0.5)의 16 쌍의 잡견을 이용한 정소성 심장이식, 실험에서, 통상적인 인공심폐기 작동군과 인공심폐기 작동 후 변형 초여과 관류를 시행한 군으로 무작위 구분하였다. 변형초여과법은 체외순환 정지 후에 대동맥관에서 나온 혈류를 Roller pump를 거쳐 Amicon Diafilter 초여과 관에 150 mL/m 정도의 속도로 10~15 분 정도 관류시켜 정맥관을 통하여 우심방에 직접 주입하였다. 혈액 채취 및 폐생검은 심폐기 시작 전과 정지 직후, 그리고 변형초여과 시행 군은 초여과 완료 직후에, 대조군은 심폐기 정지 10~15분 후에 각각 시행하였다. 혈류역학 측정요소는 동맥압, 우심방압, 좌심방압 등이었으며, 혈액 검사 항목은 동맥혈 가스분석, 혈색소 농도, 헤마토크릿, 백혈구 수, 혈소판 수, 혈중 단백 성분, 알부민 성분 등이었다. 폐 생검 조직으로는 냉동 건조법을 이용한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였고,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을 하였다. 결과: 변형 초여과 군에서 혈중 혈색소 농도는 수술전 10.3$\pm$1.7 mg/dL, 심폐기 정지 직후 6.3$\pm$1.7 mg/dL, 초여과 직후는 8.3$\pm$2.8 mg/dL의 변화를(p=0.0078, 0.0117), 혈중 총 단백질의 농도 변화는 4.3$\pm$0.9, 3.1$\pm$1.5, 4.1$\pm$1.6 mg/dL, 혈중 알부민의 농도는 1.9$\pm$0.5, 1.4$\pm$0.7, 1.8$\pm$0.8 mg/dL로서, 각각 초여과법의 시행 전후에 유의한 증가를 가져왔고(p=0.0280, 0.0277), 폐조직의 수분 함유량의 변화는 수술전 75.1$\pm$8.6%, 심폐기 정지 직후 82.8$\pm$6.0%, 초여과 직후 77.88%를 보인 반면, 대조군에서는 각각 74.7$\pm$4.9, 82.1$\pm$5.9, 82.3$\pm$5.1%의 변화를 보였다. 미세 구조의 관찰에서, 폐포의 내포세피의 융합 기저막층과 미토콘드리아에서의 부종은 변형 초여과 후에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미토콘드리아내 크리스티의 파괴성 변화와 막성 파괴 성향이 초여과 후에 심화되게 관찰되었고, 세포질 내 소체의 팽창과 공포화 현상도 심폐기 가동 후 발생하여 초여과 후에 더 심화되게 관찰되었다. 세포질 내 소체의 팽창과 공포화 현상도 심폐기 가동 후 발생하여 초여과 후에 더 심화되게 관찰되었다. 폐조직 내의 백혈구는 심폐기 작동 후에 그 수에 있어서 증가하였으며 백혈구의 괴변, 탈과립 정도도 심폐기 작동 후 및 초여과 후에 증가한 소견을 보였다. 결론: 변형 초여과법은 인공 심폐기 후의 혈색소 농도 및 혈중 단백질 농도의 복원에 효과가 있었으며 변형 초여과 관류후 폐의 미세 조직내에서 부종의 급격한 감소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