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변재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1초

표고 폐골목으로 제조한 목질보드의 성질 (Properties of Wood-Based Board Prepared with Bed-Logs Decayed by Oak Mushroom(Lentinus edodes))

  • 최용순;황원중;한태형;김남훈;권진헌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38-144
    • /
    • 1998
  • 표고폐골목의 재활용을 목적으로 폐골목과 정상재의 칩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목질보드의 성질을 조사, 검토하였다. 그 결과 폐골목의 목섬유는 정상재보다 다소 짧고 표면이 거철었으며 폐골목 변재부의 밀도는 정상재에 비해 상당히 낮았다. 파티클보드의 두께 팽윤율 및 파괴계수의 시험결과 폐골목을 25-50% 정도 혼합한 경우는 정상재와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폐골목은 파티클보드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고 정상재와의 혼합비율은 25~50% 범위에서 조정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느티나무에서 단리한 카달렌 화합물에 관한 연구 I -7-hydroxy-3-methoxycadalene 단리 및 목부 내 분포 - (Study on Cadalene Compounds Purified from Zelkova serrata Wood I - Purification of 7-hydroxy-3-methoxycadalene and Its Distribution in Xylem -)

  • 최준원;문성희;최돈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6호
    • /
    • pp.130-13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느티나무의 에탄올 추출액에서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15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나프탈렌 구조의 세스퀴테르펜인 카달렌 화화물을 단리하였다. 단리한 카달렌 화합물은 HPLC, EI-MS와 $^1H$, $^{13}C-NMR$로 화학 구조를 규명하였다. 느티나무에서 단리한 카달렌 화합물의 분자량은 244 (m/z)으로 측정되었으며, 나프탈렌 구조의 1번 위치에 메틸기($CH_3$), 4번 위치에 isopropyl기가 부착되어 있으며, 7번 위치에 수산기(OH)와 3번 위치에 메톡실기($OCH_3$)가 치환된 7-hydroxy-3-methoxycadalene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수율은 기건상태 느티나무 중량의 약 0.03% 정도로 나타났다. 카달렌은 느티나무의 잎과 수피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고, 목부 부위를 연륜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7-hydroxy-3-methoxycadalene은 변재부위에는 전혀 존재하지 않고 심재부에서만 발견되었다.

수종운동체 적용을 위한 샌드위치 복합재 원통의 좌굴 해석 및 시험 (Buckling Analysis and Test of Composite Sandwich Cylinder for Underwater Application)

  • 김지선;이경찬;권진회;최진호;조종래;조상래;조윤식
    • Composites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17-2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 샌드위치를 수중운동체용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샌드위치 복합재 원통의 제작, 좌굴 해석 및 시험 방법, 중량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우선 변재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2단계 샌드위치 제작 방법을 소개하고, 이를 사용하여 원통을 제작하여 수압시험을 수행하였다. 동시에 MSC Nastran의 셀요소와 고체요소를 사용한 유한 요소해석을 수행하여 시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시험과 해석의 결과 비교로부터 선형 유한요소해석으로도 샌드위치 원통의 좌굴압력을 3% 내외의 오차로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필라멘트 와인딩 원통에 대한 인자연구를 통해 샌드위치를 사용할 경우 동일한 지지압력에서 필라멘트 와인딩 원통보다 최소 30% 이상 무게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통목가구의 연륜연대측정 : 장(欌)과 반닫이 사례연구 (Tree-Ring Dating of Korean Traditional Furnitures: A Case Study on Cabinet and Chest)

  • 박원규;김요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3호통권131호
    • /
    • pp.1-10
    • /
    • 2005
  • 우리나라 고건축 연구에 성공적으로 적용된 연륜연대측정법을 전통 목가구에 응용하고자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장(欌) 1점과 반닫이 1점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표준연대기와 크로스데이팅 결과 각각 1839년, 1904년의 절대연대가 마지막 나이테에 부여되었다. 수피가 있는 장은 1839년에 벌채된 나무로 제작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닫이는 수피부분이 없어 가공시 없어진 변재부의 나이테 수를 고려하였을 때, $1930{\pm}10$년에 벌채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반닫이의 경우는 연륜연대에 의해 목재의 산지가 설악산 지역임이 밝혀져 '강원도반닫이'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연륜연대측정법을 이용하여, 양식에 근거를 둔 기존의 미술사적 접근과는 다른 자연과학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전통 목가구의 편년을 확립할 수 있음을 제시하여 주었다.

표고골목의 화학적 특성과 펄프재로서의 이용방안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for Kraft Pulp of Bed Log Wastes)

  • 정명준;김대영;조병묵;오정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3호통권131호
    • /
    • pp.79-88
    • /
    • 2005
  • 연구는 폐표고목을 제지용 원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1년부터 5년 동안 재배한 표고골목을 이용하여 목재 성분 조성과 크라프트 펄프화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화학조성의 경우 변재에서는 재배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글루코스와 자일로스의 감소가 크게 나타났으나 심재부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정선수율과 리젝트 함량 모두 재배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펄프 특성에서도 재배기간 증가에 따라 섬유장과 폭, 여수도는 감소하였으며 폐표고골목 크라프트 펄프를 국산 폐골판지에 첨가 시 종이의 건조 강도가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폐표고목 크라프트 펄프를 다른 장섬유 펄프와 혼합사용 시 강도 향상과 고해 에너지 감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솔잎혹파리 피해 소나무재의 해부 및 물리학적 특성 (Anatom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Wood Damaged by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황원중;권구중;이찬용;김남훈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37-46
    • /
    • 2001
  • 솔잎혹파리 피해 소나무재의 특성을 이해하고 효율적인 이용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위하여 솔잎흑파리 피해재의 해부 및 물리학적 성질을 조사하여 정상재와 비교 및 검토하였다. 그 결과, 솔잎혹파리 피해재는 정상재에 비해 축방향 수지구 및 수평수지구의 수가 많았고 위연륜이 출현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또한 솔잎흑파리 피해재가 정상재보다 변 심재 모두 수축 팽윤율이 높았으며 변재부의 생재함수율은 정상재에 비해 다소 낮았다. 압축강도와 휨강도는 정상재보다 다소 낮았으나 전단강도는 거의 비슷한 값을 보여주었다.

  • PDF

건조온도와 아세틸화처리가 소나무 원판의 Polyethylene Glycol 잔류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rying Temperature and Acetylation on The Retention of Polyethylene Glycol in Red Pine Wood Disks)

  • 이원희;홍승현;강호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784-791
    • /
    • 2015
  • 소나무 원판에 polyethylen glycol (PEG)를 주입시키면 건조 중 횡단면할렬을 막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조온도와 아세틸화처리가 PEG처리 목재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자 다양한 온도에서 건조한 소나무 원판의 PEG잔류율(PPR)을 아세톤추출과 조습처리를 통해 측정하였다. 아세톤추출법으로 구한 PPR은 열기건조시편이 천연건조시편보다 최하 4배 높았으며, 열기건조시편은 변재의 잔류PEG율이 심재보다 2배 정도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조습처리실험을 통해 검증되었다. 아세틸화처리에 의한 열기건조시편의 중량변화율(WPC)은 천연건조시편 보다 훨씬 적게 증가하거나 오히려 감소하였다. 무수초산이 잔류 PEG를 용출시켰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PPR을 높이려면 열기건조하는 것이 천연건조보다 유리하나 아세틸화처리는 대부분의 PEG를 용출시켜 천연건조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포풀라류의 결정에 관한 연구(I) - 황철나무와 양황철나무의 목부 및 수피종의 결정 (Study on the Crystals in the Populus spp.(I) - Crystals in the Woods and Barks of Populus maximowiczii and Populuss nigra × maximowiczii)

  • 이기영;김재경;김남훈;박완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1-17
    • /
    • 2000
  • 황철나무와 양황철나무는 전형적인 다습심재(wetwood)로써, 심재 전체가 변재보다 높은 함수유를 나타냈다. 황철나무와 양황철나무의 목부중에 존재하는 결정은 주로 심재중에서도 일부연룬을 따라 또는 착색얼룩을 따라 또는 국소에 집중하여, 수에 가까울수록 많았다. 또한 1연륜 내에서는 만재보다 조재에 많은 경향이 있었다. 심재에서의 결정은 전 종류의 세포에 존재하였으나, 대부분의 결정은 도관과 섬유상가도관에 존재하였다. 수피중에 있는 결정은 내수피에서 외수피까지 비교적 산재하여 존재했다. 양황철나무에서는 잎옹이의 출현빈도가 높았으나 황철나무에서는 그 출현 빈도가 낮았다.

  • PDF

심재, 변재, 형성층 및 사부를 포함한 뽕나무 심부 고온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High Temperature Extract from the Central Part Including Heartwood, Sapwood, Cambiun, and Phloem in Morus alba L.)

  • 노종현;강병만;정원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3-239
    • /
    • 2018
  • Background: Inflamm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various diseases, including ulcerative colitis, Behcet's disease, and rheumatoid arthriti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orus alba L. extracts obtained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water extraction or high temperature extraction) on RAW264.7 cells. Methods and Results: Extracts from the central part (including the heartwood, sapwood, cambiun, and phloem) and bark (including the periderm and cortex) of Morus alba L. were obtained using either water or high temperature extraction. The following extract were obtained: MA1, water extract from the central part of Morus alba L., MA2, high temperature extract from the central part of Morus alba L., MA3, water extract from the bark of Morus alba L., and MA4, high temperature extract from the bark of Morus alba L. None of these extracts was observed to be cytotoxic to RAW264.7 cells. The MA2 extract reduced the production of LPS-induced NO (nitric oxide), $PGE_2$ (prostaglandin $E_2$), $TNF-{\alpha}$, IL-6, and $IL-1{\beta}$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flammatory response was moderated by MA2. Treatment with MA2 could be used as a natural medicine for treating diseases involving inflammation. However, further experiments are required to determine how the high temperature extraction method alters the active ingredients in the extract and influences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orus alba L..

Up and Down법(法)에 의(依)한 목재(木材) 연소시험(燃燒試驗)에 있어서의 산소지수(酸素指數) (Oxygen Index for Wood in Burning Test by the Up and Down Method)

  • 엄영근;이필우;김현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3호
    • /
    • pp.255-259
    • /
    • 1990
  • 10종(種)의 침엽수재(針葉樹材)와 10(種)의 활엽수재(闊葉樹材)에 있어서의 상대적(相對的) 연소도(燃燒度)를 측정(測定)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변재(邊材) 판일재(板日材)의 산소지수(酸素指數)를 ASTM D 2863-77에 의거 Up and Down 법(法)을 통하여 구하였다. 산소지수(酸素指數)는 침엽수재(針葉樹材)의 경우 스트로부스잣나무가 21.0으로 그리고 잎갈나무가 28.2로 각각 초소치(最小値) 및 최대치(最大値)를 나타냈으며 활엽수재(闊葉樹材)의 경우 사시나무가 20.7로 초소치(最小値)를 그리고 상수리나무가 27.6으로 최대치(最大値)를 나타냈다. 따라서, 연소(燃燒)가 용이한 재료(材料)일수록 낮은 산소지수치(酸素指數値)를 지닌다는 사실(事實)에 근거하여 볼 때 침엽수재(針葉樹材)와 활엽수재(闊葉樹材)별로 잎갈나무와 상수리나무가 연소성(燃燒性)이 가장 낮으며 스트로부스잣나무와 사시나무가 연소성(燃燒性)이 가장 큰 소재(素材)임을 구명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