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변이종

검색결과 1,173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산 또아리물탈행이과 3종 내의 미토콘드리아 DNA 변이 (Mitochondrial DNA Variations among Three Species of Korean Planorbid Snails : Gyraulus convexiusculus, Hippeutis cantori and Segmentina hemisphaerula)

  • Chung, Pyung-Rim;Younghun Jung;Jung, Eung-Kyung;Kim, Dae-Soo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7-37
    • /
    • 1994
  • 한국산 담수 또아리물달팽이과(Planorbidae)에 속하는 또아리물달팽이(Gyraulus convexiusculus),수정또아리물달팽이(Hippeutis cantori) 및 배꼽또아리물달팽이(Segmentina hemisphaerula)3종에 대한 종간 유전적 변이와 이들 상호간의 분류학적 유연 관계를 생화학적 측면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즉, 모계유전으로 자손에 유전되고 있는 미토콘드리아 DNA(mitochondrial DNA; mt DNA)의 변이를 보기위하여 제한효소(restriction enzyme)를 처리하고 잘라진 mtDNA절편들을 상호 비교하는 restriction fragmint length polymorphism(RFLP)기법을 응용하였다. 본 실험에서 10개의 제한효소 중 CIa I, Dra I, Eco RI, Hin dIII, Kpn I및 pst I의 6개 제한효소에서 좋은 결과를 얻어 종간의 공통절편(shated fragmints)을 비교하였고, 염기분화율(nucleotide divergince rate)을 각각 측정하였다. 미토콘드리아 DNA 크기(genome size)는 또아리물달팽이가 12.08 kb, 수정또아리물달팽이가 14.4 kb, 그리고 배꼽또아리물달팽이가 12.93 kb로 관찰되었다. 염기분화율(p)는 또아리물달팽이/수정또아리물달팽이 군에서 p=12.7%, 배꼽또아리물달팽이와 상기 2종군 사이의 염기분화율은 P=56.6%여서 배꼽 또아리물달팽이류는 타 2종보다 그 분화율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분류군(taxa)의 mtDNA 변이에 의한 RELP기법이 앞으로 한국산 담수 패류 연구에 널리 응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SOS Chromotest에서 숙지황 물 추출물의 세포내 항돌연변이 효과 (Bio-antimutagenic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in SOS Chromotest)

  • 안병용;이갑상;맹일경;송근섭;최동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39-445
    • /
    • 1998
  • 숙지황 물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활성을 4-nitroquinoline 1-oxide (4-NQO),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mitomycin C (MMC), $aflatoxin\;B_1\;(AFB_1)$, benzo(a)pyrene [B(a)P]의 변이원성에 대하여 SOS Chromotest로 조사하였다. 숙지황 물 추출물을 메탄올 가용성 부분과 불용성 부분으로 분리하여 시험한 결과 5종의 변이원의 활성에 대하여 메탄올 가용성 분획은 불용성 분획 보다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메탄올 가용성 분획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 순으로 순차용매 분리하였고 그 분획물 중, 물 분획이 5종 변이원의 돌연변이원성에 대하여 가장 강한 억제효과$(4.5{\sim}29.5%)$를 나타내었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AFB_1$의 변이원성을 촉진하였다.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물 분획을 정제하여 9 분획을 얻었으며, 이들 중 fraction III가 시험한 5종의 변이원으로 각각 유도된 변이원성에 대하여 용량반응의 억제효과와 함께 가장 강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400\;{\mu}g/assay$ 농도의 Fraction III는 4-NQO, MNNG, MMC, AFB1 및 B(a)P의 돌연변이원성에 대하여 각각 29, 35, 38, 25, 24%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Fraction III는 4-NQO, AFB1의 변이원성에 대하여 40% 이상의 강한 세포내 항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었다.

  • PDF

등숙기 기온 및 일사량이 벼 종실중 및 종실질소함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Radiation on Grain Weight and Grain Nitrogen Content in Rice)

  • 이충근;김덕수;권영업;이재은;서종호;이변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36-44
    • /
    • 2009
  • 본 연구는 다양한 등숙기의 온도 및 일사량 조건에서 종실중 및 종실질소 함량 변화를 조사하여 등숙기 생육온도와 일사량이 벼 종실중 및 종실질소함량의 형성과정과 이들의 최종산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최종 종실중은 연차 및 품종에 관계없이 등숙기 일사량이 높을수록 큰 경향이었으며, 최종 종실중에 도달하는 출수일수는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2. 종실 질소의 축적기간은 등숙기 적산일사량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나 최종 종실질소함량은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3. 유효적산온도(임계온도 $7^{\circ}C$)는 등숙기 생육온도에 관계없이 종실중 및 종실질소함량 변이를 잘 설명하였으나, 유효적산온도 또는 적산일사량에 따른 종실중 및 종실질소 함량은 등숙기 일사량간 변이가 매우 커 이들 단일 요인으로는 등숙기 일사량에 따른 종실중 및 종실질소함량 변이를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4. 유효적산온도 및 적산일사량의 상승적은 등숙기 일사량에 관계없이 종실중 및 종실질소함량 변이를 잘 묘사하였다.

한반도 남부 지방 습지에 같이 자생하는 식충 육상 초본 2종 땅귀개 및 이삭귀개 (통발과)의 알로자임 변이의 결여: 집단의 역사 추론 (Lack of allozyme variation in the two carnivorous, terrestrial herbs Utricularia bifida and Utricularia caerulea (Lentibulariaceae) co-occurring on wetlands in South Korea: Inference of population history)

  • 정미윤;;정명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97-303
    • /
    • 2017
  • 한반도 중부 및 남부에 작은 육상성 식충식물(땅속줄기에서 벌레잡이주머니 존재)인 땅귀개와 이삭 귀개가 종종 습한 장소(또는 습지 내)에서 같이 서식한다. 이들 2종은 아열대 및 열대 아시아의 주요 산지이기 때문에 한반도는 중국 중부 및 일본 북부 지역과 더불어 분포의 북방한계이다. 최후의 빙하기 최대 기간동안 따뜻한 온대 식물이 한반도에 없다는 점을 감안할 때 두 종의 한반도 집단은 빙하기 이후에 기원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한반도에서 빙하기 이후 정착에 대한 두 가설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로, 현재 집단이 단일 조상 개체군(즉, 하나의 피난처)으로부터 유래된 자손에 의해 형성되었다면, 우리는 낮은 수준의 유전적 다양성을 기대할 것이다. 반면에, 현재 한반도 집단이 여러 집단(몇 곳의 피난처)에서 유래되었다면, 우리는 높은 수준의 유전적 변이를 기대할 수 있다. 어떤 가설이 더 타당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저자들은 한반도 남부지방 10곳 지역을 대상으로 알로자임 변이를 조사하였다. 저자들은 각 종 내에서 알로자임 변이가 없음을 발견했다. 그러나, 기존 연구된 그들의 수생 동속종인 Utricularia australis는 일본 전 지역을 대상으로 채집된 자료에서 알로자임 다형성을 보였다(3개의 효소 시스템에서 4개의 다형성 좌위가 보고됨). 저자들은 땅귀개와 이삭귀개가 남한으로 각각 개체군이 유전적 다양도가 낮은 조상집단에서 한번 도입되었을 가능성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