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변이종

검색결과 1,176건 처리시간 0.025초

남조세균 Anabaena 종 구분을 위한 RNA Polymerase Beta Subunit (rpoB)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Analysis of RNA Polymerase Beta Subunit (rpoB) Gene Sequences for the Discrimination of Cyanobacteria Anabaena Species)

  • 천주용;이민아;기장서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68-274
    • /
    • 2011
  • 남조세균 Anabaena (Cyanobacteria, Nostocales)는 담수 생태계에서 녹조 현상을 유발하거나 일부 종은 간독소(hepatotoxin)를 갖고 있어 수질관리 차원에서 주목 받아 왔다. 본 연구는 Anabaena RNA polymerase beta subunit (rpoB) 유전자 염기서열을 규명하였으며, 분류학적 분자 마커로 사용하기 위하여 이들 염기서열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Anabaena rpoB 유전자는 16S rRNA 유전자와 비교하여 염기 유사도가 낮으며 유전자 변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Student t-test, p<0.01). Parsimony 분석을 통해 rpoB 유전자가 4.8배의 속도로 빠르게 진화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rpoB 유전자 phylogeny 분석에서 16S rRNA tree보다 높은 해상도로 Anabaena 균주를 명확하게 구분해 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Anabaena의 종 식별, 분자계통 분류, 분자적 검출을 위해 rpoB 유전자가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제시해 준다.

한국산 장지뱀속(유린목:장지뱀과)의 분류학적 재고찰 (Taxonomic Revision of Genus Takydromus (Squamata: Lacertidae) in Korea)

  • 장민호;송재영;오홍식;정규회
    • 환경생물
    • /
    • 제24권2호
    • /
    • pp.95-101
    • /
    • 2006
  • 본 연구는 한국산 장지뱀속(Takydromus)의 분류학적 문제점을 재고찰하고, 한국산 아무르장지뱀 (T. amurensis)과 줄장지뱀 (T. wolteri)의 검색형질을 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총 114개체의 장지뱀속(Takydromus) 표본을 2003년 4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전국 각지에서 채집한 후 형태적 형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관악장지뱀 (T. kwangakunesis)과 장지뱀 (T. auroralis)은 아무르장지뱀의 동종이명 (synonym)이었고, 올디장지뱀(T. tachydromoides oldi)은 한반도에 서식하지 않는 종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산 장지뱀속에는 아무르장지뱀과 줄장지뱀 두 종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윗코판과 주둥이끝판의 접합 유무, 서혜인공의 수는 종내 변이율이 매우 낮아 두 종을 구별할 수 있는 좋은 검색형질이라 판단된다.

혈액형지배 유전자에 의한 칡소의 유전적 특성

  • 조창연;연성흠;손동수;이호준;윤종택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0-50
    • /
    • 2001
  • 혈액형을 지배하는 유전자는 진화에 대하여 중립적인 작용을 하고 있어서 집단의 유전적 구조의 특성 파악, 계통분류학 등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칡소에 대한 유전학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혈액형 분석기술을 응용하여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주)한경게놈텍 목장에서 사육중인 외모적으로 칡소의 특징을 보이는 25두를 이용하였다. 혈액은 경정맥에서 헤파린 처리된 진공 채혈관에 무균적으로 채취하여 혈장, 백혈구 및 적혈구로 원심분리한 후 냉동 혹은 냉장 보관하여 각 실험에 이용하였다. 적혈구 항원형의 검출은 2% 적혈구 부유액과 축산기술연구소에서 생산된 항혈청 11종을 이용하여 용혈반응으로 실시하였고, 혈액단백·효소를 지배하고 있는 6개의 유전자 좌위에 대하여 전분 혹은 포리아크릴 아미드겔 전기영동으로 다형 검출을 실시하였다. 용혈반응으로 검출한 적혈구 항원형의 반응양상은 검사한 11종의 항체에 대하여 6종은 50%이상의 개체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일반 한우에서 보이는 양성반응율보다는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전기영동법으로 분석한 6개의 혈액단백·효소 지배 유전자 좌위 중 ALB좌위을 제외한 5개 유전자 좌위에서 다형이 관찰되었다. HB, AMY-1, GC 및 PTF-2 유전자 좌위는 2개의 대립유전자가 관찰되었고, TF 유전자 좌위는 4개의 대립유전자가 관찰되었다. 표 1에서 같이 칡소에서 관찰된 각 유전자 좌위의 대립유전자 빈도의 구성은 일반적인 한우와는 상이한 결과를 보였으나 평균 이형접합도는 칡소가 0.438, 일반한우가 0.442로 계산되어 유전적 변이성은 유사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에서 분석한 칡소는 다른 한우집단과는 상이한 유전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유전적 다형성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시사되었다. 보다 정확하고 많은 량의 유전정보 수집을 위하여 Microsatellite DNA 및 모색 관련 유전자를 분석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Table Omitted)

  • PDF

$\gamma$-선 및 화학돌연변이원 처리가 양치식물 전엽체의 기내배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irradiation$ and Chemical Mutagenesis on In vitro Culture of Fern Prothallus)

  • 정진아;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48-354
    • /
    • 2006
  • 6 종(도깨비고비, 참쇠고비, 족제비고사리, 꼬리고사리, 거미고사리 및 변산일엽)의 양치식물에서 돌연변이원 처리에 따른 영향을 구하고 인위적인 돌연변이를 유도하기 위하여, 균질화한 전엽체에 감마선 및 EMS, NMU, $NaN_3$등의 회학돌연변이원과colchicine을 처리하였다. 전엽체 증식률은 전반적으로 처리농도 및 처리시간에 비례하여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엽체의 증식률에 근거할 때, 감마선 처리의 최적 조건은 족제비고사리의 경우 20krad였으며, 그 나머지 종은 $5{\sim}10krad$ 수준이었다. EMS의 적정 처리조건은 50mM에서 3시간이었으며, NMU는 $5{\sim}10mM$에서 $1{\sim}3$시간 수준이었다. 그리고 $NaN_3$ 처리의 적정조건은 $0.5{\sim}1mM$ 에서 $1{\sim}3$시간이었으며, colchicine의 경우 각각의 처리조건에서 전엽체 증식률은 종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한국산 다래나무속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Actinidia in Korea)

  • 김윤영;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85-295
    • /
    • 2013
  • 한국산 다래나무속은 4종 2변종, 총 6분류군으로 분류하여 왔으나, 이들을 구분하는 분류학적 형질에 대한 이견이 존재함에 따라 형태학적, 해부학적, 화분학적 형질을 토대로 종의 한계를 재고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다양한 자연집단을 관찰하였으며, 각국의 표본관에 소장된 기준표본을 포함한 건조표본들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잎의 두께, 털의 형태와 색깔, 엽형 등은 중요한 형질로 여겨왔으나 폭넓은 변이로 인해 식별형질로 부적합하였으며, 수의 형태, 동아의 돌출 정도, 인편 수, 약의 색깔, 열매 모양, 숙과기 등은 유용한 형질이었다. 털다래나무와 녹다래나무는 털의 형질에 기초하여 분류되었으나, 이들 두 분류군에서 나타나는 털은 다래나무에서도 관찰되므로 모종에 통합하였다. 결과적으로, 한국산 다래나무속 식물을 총 4종으로 정리하였고 이에 따른 검색표를 제시하였으며 이명과 기준표본을 정리한 기재문을 작성하였다.

Drosophila melanogaster complex내의 유전적 유연관계에 관한 연구 (Genetic Relationship within the melanogaster Complex of the Genus Drosophila)

  • 최영현;이원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9-75
    • /
    • 1999
  • Genus Drosophila에서 melanogaster complex내의 4종에 대한 유연관계 해석을 위하여, insemination test에 의한 premating isolation, 잡종형성 여부에 의한 postmating isolation, 형태 형성에 관한 영향 및 종 분화 관련 유전자의 특징 등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종내 교배에서는 insemination rate는 96∼99% 정도였고 종간 교배에서는 정역 교배간에 심한 변이를 보였으며 D. melanogaster 암컷은 타종 수컷과의 교배에서 전반적 성공률이 높으며 D. sechellia 수컷은 타종 암컷과의 교배에서 비교적 높은 교배 성공률을 보였다. 종간 잡종 형성에서는 특히 simulans, mauritiana 및 sechellia 사이에서 임성이 완전한 암컷과 불임의 수컷이 형성되어 이들 3종이 더욱 근연임을 시사하고 있다. sex comb과 genital arch에 대한 잡종의 형태 형성에 관한 영향은 대부분이 polygene에 의하여 조절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 melanogaster와 simulans에 있어서 분화 관련 유전자로 추정되는 잡종의 온도 감수적 생존도는 주로 simu-lans의 X 염색체상의 유전자에 의하여 조절되고 있음이 분석되었다.

  • PDF

횡행결장간막의 림프절을 침범한 고래회충유충증의 장외감염 1례 (A case of extragastrointestinal anisakiasis involving a mesocolic Iymph node)

  • 김희정;박찬일;조승열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1호
    • /
    • pp.63-66
    • /
    • 1997
  • 고래회충의 유충감염증은 주로 위장관을 침범하여 육아종을 형성하고 급성복통 등 임상증상을 유발한다. 그러나 감염 일부에서 유충은 위장관 벽을 통과하고 복강내 기관에서 육아종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으며 일본에서는 이러한 장외감염이 전체 고래회충중의 0.4%를 차지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와 같은 증례가 보고된 바 없어 이를 기록하고자 한다. 환자는 43세된 남자로 서울에 거주하며 입원 3주일 전부터 피곤감과 식욕녁진 증상이 나타나고 3일전부터는 혈 변이 있어서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한 결과 위 중간부 전벽에서 종양이 발견되었다. 종괴를 수술하는 과정에서 횡행결장간막의 림프절이 커진 것이 발견되어 생검하였다. 림프절의 크기는 $0.8{\;}{\times}{\;}0.6{\;}cm$였으며, 조직병리학적 검색 결과 호산구의 침윤이 심한 육아종이었고 육아종 중심에서 선충의 절편이 발견되었다. Y-자 모양의 측선 근육세포의 수와 모양, 배설세포의 모양과 크기, 전체 절편의 크기 등을 기초로 고래회충(Anisakis species) 유충으로 진단하였다. 그러나 이 환자의 주병변과 고래회충의 장외감염과는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였다.

  • PDF

찰옥수수 립의 아밀로그램 분석과 식미 관련 특성과의 관계 (Relationships of Amylogram Characteristics and Table Quality in Waxy Corn Kernel)

  • 이문섭;이경은;정상욱;이희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70-474
    • /
    • 2015
  • 공시된 교잡종에 대한 식물학적 특성, 잡종강세와 유전적 거리 및 종실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는 공시 교잡종에 대한 간장은 CNU H09-26에서 228.5 cm, CNU H09-30에서135.2 cm 범위로 큰 변이를 나타냈으며, 착수고 역시 CNU H09-23에서는 78.2 cm, CNU H09-30에서 22.1 cm으로 교잡종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이삭길이는 공시종 중에서 CNU H09-26에서 21.2 cm로 가장 길었고 CNU H09-13에서 10.8 cm로 가장 작게 나타났다. 아밀로 그램의 특성 중에서 호화개시온도는 CNU H09-23의 $71.1^{\circ}C$로 가장 낮은 온도에서 호화가 시작되었으며 식미가 우수한 반면 CNU H09-7은 $76.0^{\circ}C$로 호화온도가 가장 높았다.

소맥겹의 Glutamine Synthetase 활성도에 관한 연구 I. 엽위별 GS활성도의 차이 및 출수후 "V"자형 변화현상 (Studies on the Activity of Glutamine Synthetase(GSA) in Wheat Leaves I. Variation of GSA by Different Leaf Position and its Depression Phenomenon after Inflorescence Emerged)

  • 손상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8-105
    • /
    • 1989
  • 소맥생육기간중의 GS활성도의 경시적 변이진상을 알고저 소맥품종 Kolibri의 시비수준별, 엽위별 활성도를 분석한 결과, 1. 각엽에 있어서 생체종 1g당 GS활성도는 엽분화 초기에 극히 낮으나 엽의 전개, 신장에 따라 수배까지 증가하며 엽의 노화 진전과 더불어 하락하였다. 2. 생체종 1g당 GS활성도는 엽의 분화초기를 제외하면 아래로부터 상위엽 차순으로 높았으며, 최고의 활성도는 지엽에서 나타났다. 3. 최상위 2개엽은 최하위엽(제 1-4엽)보다 활성도와 활성 peak가 전 처리구에서 모두 2-3배 높았다. 4. 생체종 1g당 GS활성도는 제 1-4엽에서 1회의 활성 peak를 보인 반면 제6-지엽에서는 2회의 peak를 나타냈다. 5. GS활성도는 출tnrlRK지 증가하여 첫 번째 활성 peak에 이르고 그 이후 개화후 7일의 유숙기까지 급락하였다가 다시 증가하여 개화후 22일인 호숙기에 두 번찌 peak에 이르는 V자형 함몰현상을 나타냈다.

  • PDF

AGB (Ancestral Genome Browser): 조상유전체 데이터의 시각적 열람을 위한 웹 인터페이스 (AGB (Ancestral Genome Browser): A Web Interface for Browsing Reconstructed Ancestral Genomes)

  • 이대환;이종인;홍운영;장은지;김재범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12호
    • /
    • pp.1584-1589
    • /
    • 2015
  • 차세대 시퀀싱(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술의 발달로 여러 생물 종의 유전체 데이터를 다양한 관점에서 비교 분석한 결과를 직관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해 주는 다양한 유전체 브라우저(Genome browser)들이 활발하게 서비스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유전체 브라우저들은 현존 생물 종의 유전체 데이터에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생물의 진화 현상에 주목하는 연구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존 생물 종의 유전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원된 조상 유전체 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 해주는 유전체 브라우저인 AGB (Ancestral Genome Browser)를 소개한다. AGB를 이용하면 진화 과정 중에서 발생한 유전체 변이 현상을 직관적으로 빠르게 추적할 수 있다. AGB는 현재 http://bioinfo.konkuk.ac.kr/genomebrowser/에서 이용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