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벽체변위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25초

벽체변위에 따른 기류벽에 작용하는 토압 (The Lateral Earth Pressure on Rigid Retaining Wall Due to the Various Modes of Wall Movement)

  • 채영수;임병주;백영식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권1호
    • /
    • pp.21-30
    • /
    • 1985
  • 응력재분포리론을 응용한 Dubrova의 토압론과 이를 수정한 Chang의 방법을 발전시켜 정적토압과 지진시의 토압을 벽체의 변위형태를 고려하여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뒤채움은 사질토 두 일반토로 구분하여 별개의 토압산정식을 제시하였다. 토류벽의 변위형태는 다음 4가지를 선택하였다. (1) 벽체의 정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주동변위 (2) 벽체의 정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주동변위 (3) 벽체의 벽체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수동변위 (4) 벽체의 벽체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수동변위 제안된 토압공식을 다른 토압론에 의한 이론치와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변위의 형태에 따라 상이한 토압분포가 얻어졌으며 이는 현재 관용되고 있는 토압이론보다 더 합리적이라 사려된다.

  • PDF

Diaphragm Wall에서 굴착깊이-시간-변위에 관한 원심모형실험 (Centriofuge Model Tests on Excavation Depth-Time-Displacement of Unpropped Diaphragm Walls)

  • 이처근;안광국;허열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179-19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화강토 지반상의 자립식 diaphragm wall의 거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벽체의 근입깊이비, 지하수위 및 굴착조건(연속 및 단계굴착)을 변화시키면서 원심모형시럼을 수행하였다. 원심모형실험시 지반굴착은 흙과 동일한 밀도로 혼합된 zine chloride 용액이 배수되도록 밸브를 조작하여 실시하였으며, 굴착에 의해 발생되는 지반의 변형괴 벽체의 변위 및 휨모멘트를 시간경과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벽체의 근입깊이비가 증가함에 따라 벽체의 휨모멘트는 증가하는 반면, 굴착과정동안 배면측에서의 간극수압 감소속도는 감소하였다. 최종 굴착단계에서 굴착후 시간경과에 따른 침하량은 굴착과정중의 침하?에 비해 5~7% 정도를 나타내었다. 최대표면침하량과 벽체변위를 굴착깊이로 정규화한 결과 최대 침하량은 벽체 변위량의 0.8~1.2배9평균0.91배)사이에 분포하였다. 굴착깊이로 전규화한 벽체변위와 근입깊이와의 관계는 지수함수식으로 제안하였다. 파괴면은 직선적인 형태로 파괴면내의 배면측 지반은 벽체를 향하여 하향의 변위를 일으키면서 벽체의 회전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퐈괴면의 각도는 66~72.5$^{\circ}$정도로 이론적인 파괴면의 각도보다 크게 평가되었다.

  • PDF

굴착모형실험을 통한 토류벽체 및 지반거동에 관한 연구 (Model Tests for The Behavior of Propped Retaining Walls in Sand)

  • 이봉열;김학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259-27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다단계 굴착시 연성토류 벽체의 수평변형, 굴착단계별 토압변화 및 분포, 그리고 배면지반의 지표침하와 지중변위의 분포를 규명하기 위하여 벽체강성, 벽마찰의 유무 및 지반조건에 대하여 굴착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모형실험 결과 벽체강성 및 벽체와 배면지반의 벽마찰각에 유무에 따른 지표침하 형태는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지중변위 결과는 최대지중변위의 발생심도는 심도비 0.1H에서 0.15H(H는 최종굴착심도)의 범위에서 나타났다. 그리고 벽체의 강성에 따라 배면지반의 토압재분배 현상인 아칭효과는 벽체강성과 지반조건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형실험에서 얻은 벽체변위 및 토압분포는 기존 탄소성보법 프로그램으로 또한 지표침하 및 지중변위는 본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GDHM 재료모델을 이용한 유한요소법 프로그램으로 각각 비교분석하였다. 기존 탄소성보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형실험을 해석한 결과 벽체변위 및 토압분포는 모형실험 결과와 상이한 결과를 얻었으며, GDHM 재료모델을 적용한 유한요소해석에서는 벽체수평변위의 형태는 다소 상이한 결과를 얻었으나 배면지반의 지중변위 분포는 벽체강성에 따라서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 PDF

2D LiDAR 센서 기반 흙막이 벽체 변위 계측 시스템의 최적 변위 분석 알고리즘 연구 (A Study of the Optimal Displacement Analysis Algorithm for Retaining Wall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 Based on 2D LiDAR Sensor)

  • 김준상;이길용;유건희;김영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70-78
    • /
    • 2023
  • 선행연구에서는 지중경사계의 문제점인 1) 지중경사계관 설치의 어려움, 2) 단면 변위 파악의 한계성, 3) 인력 중심의 계측 방식을 해결하기 위한 2D LiDAR 센서 기반의 흙막이 벽체 변위 계측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흙막이 벽체 변위 계측 시스템 내 탑재될 변위 분석 알고리즘을 선정하는 것이다. 변위 분석 알고리즘 선정 결과, 변위 추정 오차가 2mm인 M3C2 알고리즘이 흙막이 벽체 변위 분석 알고리즘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선정된 M3C2 알고리즘이 흙막이 벽체 변위 계측 시스템에 탑재되고 수차례의 현장 실험을 통해 변위 분석 결과의 신뢰성이 담보될 경우 흙막이 벽체 변위 계측 시스템이 현행 계측관리 대비 변위 계측의 편리성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흙막이 벽체의 변위를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타이백 억지토류벽에서 앵커 자유장 및 앵커하중의 크기와 벽체변위와의 상관성 (A Relation between Anchor Unbonded Length, Anchor Loads, and Wall Deflection in Tieback Anchored Wall)

  • 임유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87-200
    • /
    • 1999
  • 타이백 앵커 억지 토류벽의 거동을 분석하기위해 광범위한 현장계측자료를 조사하고 이중 한 현장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임의 굴착깊이에 대한 벽체변위-앵커자유장-앵커긴장하중 사이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유한요소해석은 앵커하중과 앵커자유장을 변화시키면서 벽체변위의 증감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굴착깊이로 정규화시킨 횡방향 벽체 변위와 앵커위치의 상관도를 작성하였으며 임의 굴착깊이에 대한 벽체변위-앵커자유장-앵커긴장하중 사이에 고유한 관계가 설정됨을 확인하였다. 차후 실무차원에서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현장계측자료의 집적과 유한요소해석의 추가적인 실시가 필요하다.

  • PDF

Mass Movement가 타이백 앵커 벽체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평가 (Investigation of Tieback wall Behavior based on Generated Mass Movement)

  • 임유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83-92
    • /
    • 2000
  • 벽체의 수평변위 중 토체의 침하 및 앵커체 자체의 움직임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mass movement가 타이백 앵커토류벽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공사례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을 실시하여 벽체의 변위, 겉보기토압, mass movement 및 앵커 자유장 내에서의 하중 변화를 투적하였다. 유한요소해석법을 이용해 mass movement를 계산, 예측할 수 있었으며, 시공 순서에 따흔 앵커 자유장 내의 하중변화를 예측할수 있었다. 현장계측결과와 유한요소해석결과로부터 벽체변위, 겉보기토압 및 앵커의 하중 변화에 미치는 mass movement의 영향이 매우 큼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강성토유벽의 움직임에 따른 토압분포 (Earth Pressure Distribution with Rigid Retaining Wall Movements)

  • 강병희;채승호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5권1호
    • /
    • pp.47-60
    • /
    • 1989
  • 본 논문에서는 사질토를 뒷채움한 강성연직벽에 작용하는 횡토려의 분포를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탄소성해석에 의하여 구하고 벽체의 3가지 변위형태(벽체정부중심회전, 벽체양부중심회전및 평행이 동형태 및 변위의 크기가 토압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들 토압을 Rankine주동 토압 및 Dubrova주동토압과 비교하였다. 벽달정부중심회전하는 경우 아아칭효과에 의하여 역5-형토려분포를 나타내고 결과적으로 벽체 전 높이에 작용하는 총토추의 작용점은 벽체람부로부터 벽체높이의 113보다 훨씬 높을 뿐만 아니라 다 른 형태의 벽체변위에 비하여 제일 높고 또한 크기도 가장 크다. 그리고 벽체변위가 증가하여 주동상태로 파괴될 때 뒷채움지반내에 발달하는 소성영역은 벽체저부중심회전형태인 경우에만 쐐기형태로 발달하고 다른 변위형태의 경우에는 쐐기형태를 보이지 않는다. 또한 뒷채움이 경사지면인 경우 몇가지 경사도에 대한 저부중심회전벽체의 토압분포를 나타내었다.

  • PDF

역해석을 통한 소단굴착에 따른 흙막이 벽체변위의 매개변수 연구 (Parametric Study on Displacement of Earth Retaining Wall by the Bermed Excavation Using Back Analysis)

  • 이명한;김태형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23-33
    • /
    • 2015
  • 소단은 굴착 후 지지구조물이 설치되기 전 벽체의 강성과 더불어 가설벽체의 안정성을 좌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굴착지반이 느슨하거나 연약한 경우 소단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단을 이용한 도심지 버팀굴착현장의 계측결과와 수치해석을 사용하여 가설벽체의 최대수평변위에 미치는 소단의 규모(폭과 경사) 및 굴착깊이, 지반물성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계측결과 소단 폭이 짧아질수록 벽체의 수평변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치해석 결과 소단의 경사가 급해질수록, 소단폭이 짧아질수록 최대수평변위량은 크게 나타나 소단이 벽체의 변위를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굴착심도가 깊어질수록 소단폭과 경사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소단 조건에서 지반물성이 높을수록 벽체의 최대수평변위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반 굴착시 지하수위가 벽체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 of Ground Water Table on Deep Excavation Performance)

  • 송주상;;유충식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33-4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대심도 굴착시 흙막이 벽체에 대한 실내 모형실험 결과를 다루었다. 지반의 지하수위와 벽체의 강성등의 영향인자가 흙막이 벽체 및 지반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성적 고찰을 위하여 기존 CIP 벽체와 CS-H벽체의 휨강성에 따른 상사법칙을 적용하여 제작 및 사용하여 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제 현장을 모사하여 버팀보 설치 및 굴착을 진행하였다. 또한 벽체, 지반 거동 분석을 위하여 PIV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벽체변위, 지반침하 및 지반 수평변위를 분석하여 지하수위가 높아질수록 벽체 강성이 작아질수록 변위가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재하중을 받는 토류벽체의 거동에 관한 모형실험 연구 (Model Test for the Behavior of Retaining Walls Under Surcharge Load)

  • 정온수;허경한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49-5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상재하중을 적용한 굴착모형실험을 통하여 상재하중 적용으로 인한 굴착단계별, 벽체강성 및 지반조건에 따른 토류벽체의 수평변위, 배면지반 지표침하, 토류벽체에 적용되는 토압변화 및 분포에 대하여 실험결과치, 이론치 및 현장자료 분석치와 상호비교, 분석하여 상재하중 적용에 의한 영향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상재하중이 적용된 모형지반에서의 지표침하곡선 형태는 상재하중 미 적용시 지표침하 곡선형태의 정규확률 분포곡선과 달리 상재하중 중앙 부분이 최대 침하를 일으키는 포물선 형태의 침하를 보이고 있으며, 굴착단계별 상재하중 적용으로 인한 벽체최대수평변위는 최종굴착시에 0.8H(보:굴착깊이) 지점에서 벽체의 최대수평변위가 발생하였으며, 상재하중 적용에 따른 벽체변위량의 증가범위는 벽체상부로부터 하중이격거리에 2배의 깊이까지 증가범위를 보였다. 또한, 굴착단계별 지표면의 침하로 인한 기초판의 각 변위는 최종단계에서의 각 변위가 가장 크게 발생하였고, 벽체강성별로는 두께 4mm(유연계수 ${\rho}\;:480m^3/t$) 벽체가 두께 9mm(유연계수 ${\rho}\;: 40m^3/t$)보다 최대 3배 이상 발생하고 있어 벽체강성의 영향이 매우 큼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