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번식기록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에서 뒷부리장다리물떼새 (Recurvirostra avosetta)의 첫 번식 사례 보고 (First breeding record of Pied Avocet (Recurvirostra avosetta) in South Korea)

  • 박헌우;최순규;오동필;박운남
    • 한국조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1-105
    • /
    • 2018
  • 2018년 6월 22일 전라북도 군산시 새만금 매립지에서 뒷부리장다리물떼새(Recurvirostra avosetta)의 번식을 확인하였다. 번식장소는 인위적으로 조성된 간척습지였으며, 이소한 유조 4개체가 성조와 함께 지속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국내에서 최초 번식기록이며, 극동아시아에서 뒷부리장다리물떼새의 최남단 번식에 해당한다.

한우 농장별 번식기록 분석을 통한 번식률 제고 사례 연구 (Case Report on Improvement of Reproduction Rate in Hanwoo Farms)

  • 김의형;정기용;이승환;유일선;강희설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12
    • /
    • 2014
  • 본 연구는 한우 번식 기록이 잘 유지되고 있는 4개 농장의 2007년 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의 번식 자료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태 당 평균 수정 횟수와 평균 공태일은 A농장 $1.7{\pm}0.1$회와 $77.4{\pm}4.8$일, B농장 $1.5{\pm}0.1$회와 $150.8{\pm}11.2$일, C농장 $1.5{\pm}0.1$회와 $90.4{\pm}4.5$일, D농장 $1.4{\pm}0.1$회와 $71.4{\pm}2.5$일이었다. 호르몬으로 발정을 유도하는 D농장을 제외한 3개 농장 531두의 번식 기록으로 분만 후 첫 수정 시기에 따른 평균 수정 횟수와 평균 공태일을 분석한 결과, 총 5개의 수정 시기에 따른 수정 횟수는 30일 이전 첫 수정이 $2.1{\pm}0.2$회로 31일 이후 첫 수정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번식 장애우 58두에 2가지 배란 동기화법을 사용하여 수태율을 확인해 본 결과, Ovsynsh 법은 55.2%의 수태율을, CIDR-based TAI 법은 65.5%의 수태율을 나타냈다. 농장의 번식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확한 번식 기록 작성, 발정 관찰, 수정 후 임신 감정, 번식 기관 검진, 번식률을 고려한 첫 수정 시기 수정 등이 필요하다.

고능력 우군(牛群)의 번식관리

  • Ewenfeldt Robert G.
    • 종축개량
    • /
    • 제14권2호
    • /
    • pp.46-53
    • /
    • 1992
  • 본 강연의 취지는 고능력우의 번식관리에 대해 다시 한번 뒤돌아보고 고능력우군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평범한 문제점들을 낙농가에게 알리는데 있다. 본 강연의 내용은 기록, 발정주기, 발정 발견의 기술, 수정, 수정관리, 그리고 번식장애를 포함한 여러분야에 대한 일반적인 관찰이다. 가장 중요한 것으로 많은 불임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단서로서의 적절한 발정의 발견까지 포함한다. 발정의 조기 발견과 12달 내지 13달의 이상적인 분만간격으로 이끄는 시기 적절한 수정을 통하여 가장 좋은 수익을 올리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서는 영양, 유전, 인공수정 기술 혹은 수정란 이식을 자세하게 언급하지 않았지만, 앞에서 말한 모든 것들이 이해되고 실천되도록 하기 위한 번식기능에 대해 기본적으로 이해시키고자 한다.

  • PDF

암캐에 있어서 번식장애의 원인

  • 권춘수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35권1호
    • /
    • pp.16-21
    • /
    • 1999
  • 암캐에 있어서 번식장애의 병력이 있는가를 검사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문제이다. 많은 축주들은 번식장애를 일으킨 암캐들 중의 어떤 개를 소유하게 되었을 것이며 이는 과거에 의학적 문제에 관한 정확한 지식도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으며 불안전한 상태 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동물을 소유한 축주로부터 병력을 알았다고 할지라도 올바른 평가를 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많은 거리가 있을수도 있다. 그러나 병력을 통하여 적당한 진단계획을 세우는 것이 많은 가치가 있다면 병력을 얻는데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만 한다. 병력은 동물의 번식능력에 대한 기록, 발정주기, 발정간의 기간, 음부의 분비물, 과거 분만 곤란 및 강아지의 생존률 등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인터넷 정보망을 이용한 군 건강 및 생산관리수의학

  • 김선진;이학모;손우찬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021-1028
    • /
    • 2000
  • 본 란에서는 지난 호의 군 건강 및 번식 관리 프로그램의 원리에 이어서, 이 프로그램을 효율적인 기록 관리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기록이라 하면 단순한 사실의 나열을 넘어서 자료들을 통합하고 가공하며 유용한 형태로 보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기록은 수의사나 농부의 능력을 가늠하는 척도로 여겨질 만큼 중요하다. 여기서는 무엇을 기록해야 하는가 하는 점에서부터 자료의 저장 방법 및 다양한 시스템들, 특히 컴퓨터 이용의 중요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 PDF

젖소 번식장애 주요 유형별 치료방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Major Reproductive Failures in Dairy Cows)

  • 조성우;김용준;이해이;김용수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07-217
    • /
    • 2001
  • 1999년 5월부터 2000년 5월까지 김제시 관내 32농가 가임암소 836두를 대상으로 번식장애 진단 및 치료를 수행하였다. 번식장애는 직장검사와 초음파 진단기(SA 600, Medison, 5.0MHz rectal linear transducer)를 이용하여 진단한 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번식장애 치료는 자궁질환우는 자궁세정 또는 질세정을 실시하였고, 개체에 따라 호르몬 처치를 하였다. 난소질환우는 난소질환의 유형에 따라 호르몬 처치를 하고 초음파 소견에 따라 자궁 또는 질세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1. 번식장애 대상우 102두중 15두는 임신으로 판정되어 번식장애우는 87두로 가임암소 836두에 대해 10.4%의 번식장애 발생율을 나타내었다. 2. 번식장애는 자궁질환, 난소질환, 자궁과 난소질환 혼합형, 황체존재 무발정형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번식장애우로 분류된 87두중 자궁질환은 33두 37.9%, 난소질환은 30두 34.5%, 자궁과 난소질환 혼합형은 16두로 18.4%, 황체존재 무발정은 8두로 9.2%를 나타내었다. 3 번식장애우 87두중 시험중 번식장애와 함께 병발질환인 요질과 발굽질환이 심하여 번식우로 활용하기가 어렵다고 판단되어 7두를 도태 유도하였다. 4. 번식장애우 87두중에 7두는 도태되었고 치료두수 80두에 대한 치료결과 발정발현우는 74두로 92.5%의 발정발현율을 보였으며, 수태우는 56두로 70.0%의 수태율을 나타내었다. 5. 번식장애 유형별 치료결과는 자궁질환우 32두에 대한 치료후 발정발현우는 31두로 96.8%, 수태우는 23두로 71.9%의 수태율을 나타내었고, 난소질환우는 25두에 대한 치료후 발정발현우는 22두로 55.0%, 수태우는 16두로 64.0%이었으며, 혼합형중 15두에 대하여 발정발현우는 13두로 86.7%, 수태우는 9두로 60.0%의 수태율이었으며, 황체존재 무발정우 8두에 대한 치료후 발정 및 수태 모두 8두에 나타나 발정발현율 및 수태율이 100.0%이었다. 6. 번식장애우의 분만후 경과시기에 따른 발생 여부는 전체 87두중 분만후 0~30일이 2두 2.3%, 30~60일이 6두 6.9%, 60~90일이 12두 13.8%, 90~120일이 18두 20.7%, 120일 이상이 49두로 56.3%로서 분만후 시일이 경과할수록 번식장애우의 발생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7. 번식장애우에 번식질환과 함께 병발된 질환을 조사한 결과 번식장애우 87두중 병발질환이 있는 번식장애우는 18두로 20.7%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병발질환을 유형별로 보면 발굽질환우는 5두, 관절질환우는 5두, 뇨질 6두, 직장질루 2두로 나타났다. 병발질환우 18두에 대한 사지질환우는 10두로 55.6%이었다. 8. 번식장애농가 12농가중 7농가가 번식기록 관리를 하지 않았고(58.3%), 또한 5 농가가 운동장이 없거나 활용하지 않아(41.7%) 이러한 요인도 번식장애 발생과 연관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 직장검사에 의존해서 번식장애를 판단하기보다는 초음파 검사와 병행을 할 때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 높은 치료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번식기록 미비와 운동장의 활용이 적다는 것도 번식장애를 발생시킬 수 있는 사양관리상의 조건이 될 것으로 생각되어 이에 대한 개선방향이 세워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인천만의 검은머리갈매기(Larus saundersi) 번식개체군 변동 (Breeding Populations Trend of the Saunders' Gull (Larus saundersi Swinhoe) in Incheon Bay)

  • 박헌우
    • 환경생물
    • /
    • 제28권2호
    • /
    • pp.49-55
    • /
    • 2010
  • 검은머리갈매기는 서식지 축소와 개발압력으로 10,000개체 내외가 생존하고 있는 종이다. 국내에서의 첫 번식 기록은 1998년이며 이후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나 아직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1998년부터 2009년까지 11년간 번식 개체군의 변동 추세를 모니터링하고 경향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국내에서는 1998년 시화호에서 300개체가 번식한 이후 2009년 1,300여 개체가 번식을 시도하여 해마다 증가되었다. 주번식지인 중국의 경우에도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전체 개체군은 증가추세에 있다. 국내의 번식지는 인간에 의한 훼방과 간섭, 개발, 포식 동물들로 인하여 위협받고 있으며, 인천만의 경우 송도 신도시 매립지, 영종도 매립지 등 갯벌의 매립지에서 번식하고 있다. 그러나 이곳은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번식 장소가 수시로 변동되고 서식지도 축소되고 있어 새로운 대체번식지와 서식지를 마련하지 않을 경우 번식개체군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공소상이용조류에 관한 관찰-특히 산림실제와의 관련에 대하여 (An Observation on the Birds Utilizing Nest-Boxes in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Relation of Birds to Forestry Practice-)

  • 원병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1-28
    • /
    • 1961
  • 1. 본 조사는 1955년부터 1958년까지 약 4년간 서울 청량리 임업시험장 시험림내 약 5 ha 범위에 가설한 10여개의 소상에 번식한 산림조류의 번식경과미치 이용성적을 관찰한 것이다. 2. 소상이용조류 5 종중 박새 Parus major 짐야잰사두냔,북방쇠찌르레기 Sturina sturnina sturnina, 흰눈섭 황금새가 우점종으로 이용율이 높았다. 3. 박새는 침엽수림내의 우점종으로 특히 타종의 이용권내외의 임상적환경, 소나무, 잣나무 침엽수림내의 소상에서의 이용율이 좋았다. 4. 북방쇠찌르레기는 침엽수보다는 촬엽수와의 혼육림, 특히 도시부근 평지의 소림을 호서식처러 하며 식재한 종자식물 Sambucus latipinna 딱총나무, 벗나무열매를 즐겨 채식하므로 전기 재식종자식물은 본종의 유지번식상 효과적이었다. 5. 흰눈섭황금새는 활엽수나 혼육림내의 우점종으로 소상의 규격 및 구경이 제일 작으므로서 타종의 침해를 받을 우려도 적을 뿐더러 앞으로 보다 높은 이용율을 예상할 수 있다. 6. 소상이용조류중 특히 우점종에 대한 번식경과를 관찰기록하였다. 7. 소상침해동물을 조사 관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