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Major Reproductive Failures in Dairy Cows

젖소 번식장애 주요 유형별 치료방법에 관한 연구

  • 조성우 (전북축산진흥연구소 종축시험소) ;
  • 김용준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 이해이 (전북축산진흥연구소 종축시험소) ;
  • 김용수 (전북축산진흥연구소 종축시험소)
  • Published : 2001.09.01

Abstract

Diagnosis and treatment of major reproductive failures were carried out for 836 dairy cows of 12 farms in Kimje area from May 1999 to May 2000. Reproductive failure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uterine diseases, ovarian diseases, combination of uterine and ovarian diseases, and anestrus with corpus luteum (CL), based on the diagnosis by both rectal palpation and ultrasonography (SA 600, Medison, 5.OMHz transducer). 1. Of 102 cows examined, 15 cows were diagnosed as pregnant. Cows with real reproductive failures were therefore 87 cows and the rate of reproductive failures far all the cows of 12 farms was 10.4% (87/836). 2. Of 57 cows with reproductive failures, the cows with uterine diseases were 33 heads (37.9%), with ovarian diseases: 30 heads (34.5%), with combination form: 16 heads (18.4%), and with anestrus with CL: 8 heads (9.2%). 3. Of 87 cows with reproductive failures, 7 cows were slaughtered and 80 cows were treated by hormone or douche. The cows expressed estrus were 74 cows (92.5%, 74/80 heads) and 56 cows were pregnant (70.0%, 56/80 heads) following treatment. 4. The reproductive failures tended to be increased as the period proceeded from 30 days (2.3%, 2/87 heads) to over 120 days (56.3%, 49/87 heads) after parturition. 5. Associated other diseases to reproductive failures were foot diseases(5 cows), joint diseases (5 heads), urovagina (6 heads), and rectovaginal fistula (2 cows) and the rate of occurrence of associated diseases was 20.7% (18/87 heads). 6. No reproductive record was used in 7 farms of 12 farms and 5 farms had no play ground or not used for the cow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iagnosis fur reproductive failures by rectal palpation along with ultrasonography was more accurate than the conventional rectal palpation and brought better result of treatment for major types of reproductive failures. It was also indicated that non-uses of reproductive record and play ground were also important factors in occurrence of reproductive failures.

1999년 5월부터 2000년 5월까지 김제시 관내 32농가 가임암소 836두를 대상으로 번식장애 진단 및 치료를 수행하였다. 번식장애는 직장검사와 초음파 진단기(SA 600, Medison, 5.0MHz rectal linear transducer)를 이용하여 진단한 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번식장애 치료는 자궁질환우는 자궁세정 또는 질세정을 실시하였고, 개체에 따라 호르몬 처치를 하였다. 난소질환우는 난소질환의 유형에 따라 호르몬 처치를 하고 초음파 소견에 따라 자궁 또는 질세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1. 번식장애 대상우 102두중 15두는 임신으로 판정되어 번식장애우는 87두로 가임암소 836두에 대해 10.4%의 번식장애 발생율을 나타내었다. 2. 번식장애는 자궁질환, 난소질환, 자궁과 난소질환 혼합형, 황체존재 무발정형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번식장애우로 분류된 87두중 자궁질환은 33두 37.9%, 난소질환은 30두 34.5%, 자궁과 난소질환 혼합형은 16두로 18.4%, 황체존재 무발정은 8두로 9.2%를 나타내었다. 3 번식장애우 87두중 시험중 번식장애와 함께 병발질환인 요질과 발굽질환이 심하여 번식우로 활용하기가 어렵다고 판단되어 7두를 도태 유도하였다. 4. 번식장애우 87두중에 7두는 도태되었고 치료두수 80두에 대한 치료결과 발정발현우는 74두로 92.5%의 발정발현율을 보였으며, 수태우는 56두로 70.0%의 수태율을 나타내었다. 5. 번식장애 유형별 치료결과는 자궁질환우 32두에 대한 치료후 발정발현우는 31두로 96.8%, 수태우는 23두로 71.9%의 수태율을 나타내었고, 난소질환우는 25두에 대한 치료후 발정발현우는 22두로 55.0%, 수태우는 16두로 64.0%이었으며, 혼합형중 15두에 대하여 발정발현우는 13두로 86.7%, 수태우는 9두로 60.0%의 수태율이었으며, 황체존재 무발정우 8두에 대한 치료후 발정 및 수태 모두 8두에 나타나 발정발현율 및 수태율이 100.0%이었다. 6. 번식장애우의 분만후 경과시기에 따른 발생 여부는 전체 87두중 분만후 0~30일이 2두 2.3%, 30~60일이 6두 6.9%, 60~90일이 12두 13.8%, 90~120일이 18두 20.7%, 120일 이상이 49두로 56.3%로서 분만후 시일이 경과할수록 번식장애우의 발생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7. 번식장애우에 번식질환과 함께 병발된 질환을 조사한 결과 번식장애우 87두중 병발질환이 있는 번식장애우는 18두로 20.7%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병발질환을 유형별로 보면 발굽질환우는 5두, 관절질환우는 5두, 뇨질 6두, 직장질루 2두로 나타났다. 병발질환우 18두에 대한 사지질환우는 10두로 55.6%이었다. 8. 번식장애농가 12농가중 7농가가 번식기록 관리를 하지 않았고(58.3%), 또한 5 농가가 운동장이 없거나 활용하지 않아(41.7%) 이러한 요인도 번식장애 발생과 연관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 직장검사에 의존해서 번식장애를 판단하기보다는 초음파 검사와 병행을 할 때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 높은 치료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번식기록 미비와 운동장의 활용이 적다는 것도 번식장애를 발생시킬 수 있는 사양관리상의 조건이 될 것으로 생각되어 이에 대한 개선방향이 세워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