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측굴곡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5초

비복근 스트레칭이 α-운동 신경원 흥분도와 족관절 능동 배측굴곡 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strocnemius Stretching on α-Motor Neuron Excitability and Ankle Joint Activ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 김종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278-286
    • /
    • 2009
  • 본 연구는 스트레칭이 $\alpha$-운동신경원의 흥분도를 변화시키는지의 여부와 이에 따른 유연성의 변화 정도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alpha$-운동신경원 흥분도는 비복근 H-반사의 Hmax/Mmax 비로 측정하였으며 근육의 유연성은 족관절의 능동 배측굴곡 가동 범위를 통해 알아보았다. 스트레칭은 10명의 건강한 피검자를 대상으로 총 4분간(2분간의 스트레칭, 1분의 휴식, 2분간의 스트레칭), 각 시기별로 비복근에 적용하였다. $\alpha$-운동신경원 흥분도와 유연성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칭 적용 전, 1차 스트레칭 적용 직후, 2차 스트레칭 적용 직후, 그리고 2차 스트레칭 적용 후 48시간 후 Hmax/Hmax와 족관절의 능동 배측굴곡 각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1차와 2차 스트레칭 적용 후 의미 있는 $\alpha$-운동신경원 흥분도의 감소와 족관절 능동 배측굴곡 각도의 증가가 나타났으나 스트레칭을 소거한 48시간 후에는 $\alpha$-운동신경원 흥분도와 족관절의 능동 배측굴곡 가동 범위가 스트레칭 적용전과 비슷한 상태로 되돌아갔다. 이러한 스트레칭에 의한 비복근 $\alpha$-운동신경원 흥분도 감소와 이에 따른 족관절 배측굴곡 유연성 증가는 족관절 주변의 III형 기계적 수용기와 근육에 위치한 골지건 기관의 활성 결과로 사료된다.

수직착지시 발목관절의 운동형상학적(kinematic) 분석 (Effect of Ankle Taping and Brief Exercise on Lower Extremity Kinematics of Healthy Adults During Vertical Drop Landing)

  • 이충휘;박소연;권혁철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7-44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목에 테이핑을 한 후 40 cm의 높이에서 한 발로 수직착지를 할 때 발목관절에서의 테이핑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대상자는 20대의 건강한 성인 14명(남자 4명, 여자 10명) 이었다. 대상자에게 적용한 조건은 테이핑 전, 테이핑 적용, 30분 동안 트레드밀에서 걷기, 테이핑 제거상태 이었고 맥리플렉스(MacReflex)를 이용하여 발끝이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발목이 최대 배측굴곡(dorsiflexion) 되기까지 걸린 시간, 발목관절 각도변화, 각속도를 측정한 후 반복측정에 의한 분산분석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네 개의 조건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따라서 발목 테이핑은 수직착지시 발목의 배측굴곡을 제한하는 효과는 없다고 판단된다.

  • PDF

2족 보행시 중족지절관절 초기접지기 배측굴곡의 능동적 통제를 위한 Leg Stiffness Artificial Tendon Actuator($LeSATA^{TM}$)의 설계변수 확립 : (1) Lagrangian 방정식 및 Impulsive Constraint 적용법 구현 (Establishment of Design Variable of Leg Stiffness Artificial Tendon Actuator ($LeSATA^{TM}$) for Actual Control in Dorsiflexion of Metatarsophalangeal Joint at the Initial Contact while the Bi-pedal Human Walking : (1) Realization of Lagrangian Equation and Impulsive Constraint)

  • 김철웅;한기봉;어은경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51-652
    • /
    • 2010
  • PDF

헬스케어에서 발목의 굴곡 정보 (Ankle Flexion Information in Healthcare)

  • 신성윤;이민혜;신광성;이현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78-679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헬스케어 시스템의 다양한 영역 중에서 발목의 굴곡 영역을 선택하여 발목 불안정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처리한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환자의 발목이 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또한 영상을 이용하여 발목의 배측 굴곡과 족저 굴곡 각도를 자동으로 측정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소개한다.

  • PDF

삼각경사면 보행 시 하지 관절 생체역학적 분석 (Lower Extremity Biomechanics while Walking on a Triangle-Shaped Slope)

  • 홍윤노;정지영;김판권;신충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1권3호
    • /
    • pp.153-160
    • /
    • 2017
  • 보행 분석은 다양한 지형에서 수행되고 있으나 지형이 변화되는 시점에서의 보행 분석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삼각경사 보행 시 지형이 변화되는 시점에서 발목 및 무릎 관절의 운동학과 운동역학을 평지 보행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3차원 동작분석 시스템과 지면 반력기를 사용하여 성인 남성 18명의 하지 운동학 및 운동역학 자료를 획득하였다. 삼각경사 보행에서 최대 발목 배측굴곡각 및 모멘트와 최대 무릎 신전 모멘트가 평지보행과 비교하였을 때 증가하였다(p<0.05). 삼각경사의 상승경사 보행 시 $50^{\circ}$가 넘는 무릎 굽힘각과 그 시기에 발생하는 큰 무릎 신전 모멘트는 슬개대퇴증후군의 위험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삼각경사의 하강경사 보행에서 증가된 발목 배측굴곡 운동범위는 비복근과 아킬레스건 부상 위험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진모리장단에 따른 한국무용3단 디딤새 동작에 관한 운동학적 분석 (Kinematic Analysis of Samdan Didimsae Movement for Jajinmori Jangdan)

  • 안완식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03-212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진모리장단에 맞추어 3단 디딤새동작의 적합한 모델을 제시하고 이상적인 발 디딤새 동작수행을 위한 자료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신체중심의 위치변화는 발을 내딛는 순간 신체중심의 높이를 낮추고 발의교차 전진시 전방으로 향하는 직선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동작의 안정성을 유지하며, 좌 우 흔들림 없이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중심에 대한 속도변화는 수평방향으로 발을 딛는 순간 신체유동을 작게 하고 전방으로 급격한 이동을 통제하여 안정된 동작을 취하고, 슬관절과 족관절을 수직으로 들어 올려 종골이 지면에 닿을 때 무게중심의 속도가 수평방향으로 빠르게 전진하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절의 각도변화는 하퇴의 과신전을 막기 위해 고관절은 신전시키고 슬관절은 굴곡 시켜 동작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굴곡과 신전이 원활히 이루어지며, 족관절은 중족 에서 발바닥 전체로 무게중심이동시 좌측 발은 배측굴곡을 이룰 때 안정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Plyometric training이 하지 슬관절과 족관절의 등속성 총 일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lyometric Training on The Total Work of Knee and Ankle Joint)

  • 문영래;이경일;박성용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0-55
    • /
    • 2003
  • 목적: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이 하지 슬관절의 굴곡과신전, 족관절의 배측굴곡과 족저굴곡의 등속성 총일량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알아보며이훈련법의효과검증을위해시도되었다. 대상및방법: 선택된 플라이오메트릭훈련 방식은 7가지로pike jump, double leg hop, double leg bound, single leg hop, stride jump cross over, alternate leg bound, box jump로구성되었다. 연구대상자는20 $\~$22세사이의대학생으로, 훈련시행군(N=5), 대조군(N=4)으로8주간 시행하고 훈련 전후 등속성 장비를 이용하여 슬관절과 족관절의 등속성 총일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을 시행한군에서 높은 각속도의 슬관절과 족관절 운동의 총일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p<0.05) .결론: 결과적으로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은 하지슬관절과족관절의등속성 총일량에 부분적으로영향을미치는것을알수있으며, 더나아가운동수행에도영향을미칠수있는것을의미한다.

  • PDF

태권도 돌려차기 동작의 운동학적 협응 및 제어과정 (The Process of the Kinematic Coordination and Control of Dollyochagi Motion in Taekwondo)

  • 윤창진;채원식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5-104
    • /
    • 2008
  • 본 연구는 남자 중학교 초보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태권도 돌려차기 동작의 숙련정도에 따른 운동학적 협응과 제어과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용된 변인은 최대합성직선속도와 각도 대 각도 도면이었다. 분석결과, 연습후기로 갈수록 인접한 분절간의 운동량 전이가 잘 이루어져 각 분절의 최대합성직선속도가 증가하였으며 무릎관절 최대굴곡 시까지는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이 동형동조 협응형태로 변해갔으며, 최대굴곡 후 타격 시까지는 모든 숙련 단계에 있어서 이형동조 협응패턴을 나타내었다. 발목관절은 무릎관절 최대굴곡 시까지 배측굴곡 상태에서 저측굴곡으로 변했으며, 최대굴곡 후 타격시점까지는 발목관절은 고정시키고, 무릎관절은 신전시키는 자유도 고정 제어기전을 나타내었다.

성인 계단보행 시 계단 너비에 따른 하지의 운동역학적 분석 (A Kinetic Analysis of the Lower Extremity during Walking on Three Different Stair width in Healthy Adults)

  • 전현민;류지선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61-169
    • /
    • 2008
  • 이 연구는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계단 너비에 따른 계단 보행의 지지국면 시 하지분절의 역학적 변인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계단의 너비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20대의 남자 대학생 10명이 참여하였다. 계단의 높이는 18cm, 최소폭은 90cm로 동일하나 디딤면의 너비가 각각 26cm, 31cm, 36cm인 세 개의 계단을 사용 하였다. 이때 사용된 계단의 세 번째 디딤면에 지면반력기를 설치하여 지지구간의 하지관절 모멘트를 분석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상향계단보행에서 발목관절의 굴곡/신전 모멘트변화를 분석한 결과 계단의 너비가 증가 할수록 pull-up 단계의 peak 모멘트가 감소하였으며(p<.05), 무릎관절에서는 굴곡/신전 모멘트를 분석한 결과 계단의 너비가 증가할수록 무릎에 작용하는 신전모멘트가 중지지기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그러나 고관절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하향계단보행에서 발목관절의 굴곡/신전 모멘트를 분석한 결과 계단의 너비가 증가할수록 지지기 동안 저측굴곡과 배측굴곡의 차이가 확연히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무릎관절과 고관절에서는 굴곡/신전 모멘트를 분석한 결과 계단의 너비에 따라 신전 모멘트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회성 발목가동성 운동프로그램이 만성발목불안정성을 가진 성인여성들의 발목가동범위와 통증에 미치는 영향-Pilot study (Effect of acute ankle mobility exercise program on ankle range of motion and pain in adult women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 Pilot study)

  • 김승은;황동주;장용철;김태경;조준용;구정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259-1267
    • /
    • 2023
  • 본 연구는 일회성 발목가동성 운동프로그램이 만성적인 발목불안정성(CAI)에 나타나는 발목가동범위와 통증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발목불안정성 설문지 검사에서 좌, 우측 평균 점수가 24점 이하인 성인여성 20명을 선정 하였으며 집단은 일회성 발목 가동성 운동프로그램 집단(Ankle mobility exercise program, AE, n=10)과 대조군(CON, n=10)으로 구분하였다. AE 처치는 일회성 운동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좌·우측 발목을 각각 1회(20분) 실시하였으며 처치 전후 발목불안정성 검사, 통증 및 발목가동범위를 확인하였다. 먼저 AE 프로그램을 실시한 AE 집단의 통증 수준은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또한 AE 프로그램 처치한 AE 집단에서 배측굴곡이 사전과 비교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일회성 발목 가동성 운동 프로그램은 CAI에서 나타나는 발목 통증과 발목의 가동범위를 개선시켜 결과적으로 발목 불안정성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 중재 방법이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