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근력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2초

슬관절의 자세에 따른 족관절 저측굴곡근의 등속성 근력 평가 (Isokinetic Evaluation of Plantarflexors with Knee Position)

  • 배성수;이현옥;이근희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2권2호
    • /
    • pp.145-152
    • /
    • 2000
  • 슬관절 자세에 따라 족관절 저측굴곡관의 근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건강한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Cybex 6000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대 토오크 값은 양쪽 모두 슬관절 신전상태서 $90^{\circ}$ 굴곡에서보다 높았다. 슬관절 신전상태에 대한 $90^{\circ}$ 굴곡에서의 토오크 값의 비는 운동속도 $30{\circ}/sec$$90{\circ}/sec$에서 각각 $75.7\%\;85.2\%$였다. 2. 최대 토오크는 $30{\circ}/sec\;90^{\circ}/sec$에서 모두 슬관절 신전상태에서 $90^{\circ}$ 굴곡상태에서보다 운동의 초기에서 나타났으나 유의란 차이는 업었다. 3. 저측룰곡근의 총일량은 굴곡보다 신전상태서 높았다. 슬관절 신전상태 대한 $90^{\circ}$ 굴곡에서의 총일량의 비는 운동속도 $30{\circ}/sec$$90{\circ}/sec$에서 각각$81\%,\;89\%$였다. 4 저측굴곡근의 근지구력은 슬관절 신전상태와 $90^{\circ}$ 굴곡상태애서 $78.35\%,\;92.70\%$로 굴곡상태에서 높았다. 5. 일률은 $30{\circ}/sec$에서 슬관절 신전에서 높았다. 위 연구 결과는 족관절 손상환자의 물리치료 시에 배 측굴곡근과 저측굴곡근의 근력 비와 더불어 근재교육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근력증가를 위한 목적으로 운동치료 시 슬관절 신전상태에서의 저측굴곡운동이 더 효율적인 방법이라 생각된다.

  • PDF

고등부 씨름선수의 체급별 기초·전문체력 비교분석 (A Comparison of Physical Fitness of High School Ssirum Elite-players According to Their Weight Class)

  • 정주하;김성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62-169
    • /
    • 2020
  • 본 연구는 고등부 씨름 선수들을 대상으로 체급별 기초·전문체력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측정기간은 2019년 11월 25일-12월4일이며, 총 28명의 고등부 씨름 선수(80kg이하 7명, 90kg이하 8명, 90kg이하 7명, 100kg이상 6명)를 대상으로 체급별 기초·전문 체력요인(근력, 근파워, 민첩성, 무산소성파워, 유산소능력, 유연성, 등속성근기능)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을 활용하여 one-way ANOVA와 Duncan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악력과 팔굽혀펴기, 서전트점프, 제자리멀리뛰기, 체후굴, 체전굴, 사이드스텝, 반응시간에서 체급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배근력에서 100kg 이하인 그룹이 100kg 이상인 장사급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윗몸일으키기와 20m 셔틀런에서 장사급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무산소성 최고파워와 평균파워의 상대적인 값은 100kg 이하인 그룹이 100kg 이상인 장사급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등속성근기능의 경우 허리 신전/굴곡력과 무릎 관절의 우측 신전근력, 그리고 좌우측 굴곡근력에서 체급별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얻은 결론은 고등부 씨름 선수의 경우 근파워, 유연성, 민첩성 그리고, 체중당 무산소성 평균파워와 등속성 허리근력, 무릎굴근력에서 체급에 따른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산소성 운동이 중년여성의 면역기능과 체력 및 체지방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on Immune Function, Physical Fitness and Fat mass in Middle-Aged Women)

  • 한성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622-631
    • /
    • 2002
  •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유산소성 운동으로서 댄스스포츠 동작을 이용한 운동프로그램을 12주간 실시하여 실험군과 통제군의 면역기능과 체력 및 체지방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면역기능은 실험군에서 임파구, 호산구, T3, T4의 경우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중구와 B4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군에서는 74가 유의하게 증가하고,78이 유의하게 감소한 외에는 거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실험군과 통제군 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증감은 면역기능 지표의 정상범위내에서 나타난 현상이다. 그리고 체력은 실험군에서 근력과 근지구력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배근력의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속적인 유산소성 운동이 중년 여성의 전신의 근육을 적절히 단련시킴으로써 근골격계의 기능감소를 지연, 개선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체중과 체지방률의 변화는 모두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집단간에서도 실험군이 통제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요약하자면,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댄스스포츠 동작을 이용한 유산소성 운동이 면역기능과 근력, 근지구력 등의 체력 및 비만 인자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냄으로서 성인병의 예방뿐만 아니라 건강 증진으로 향후 활기찬 생활에 기여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요통자가운동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요통, 복.배근력, 허리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Self-exercise Program for Low Back Pain, Abdominal-back Muscle Strength, and Waist Flexibility in Hospital Nurses)

  • 김영신;김연희;안양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9-117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a self-exercise program on low back pain, abdominal-back muscle strength and waist flexibility in hospital nurses. Method: An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43 subjects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3 in the control group) who worked in a general hospital in W city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intervention had 6 sessions with self-exercise program including flexion and extension demonstrated by a trained research assistant. A Visual Analog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subjective pain severity. Abdominal-back muscle strength was measured with a back strength dynamometer, while waist flexibility was gauged by the standing of the subject's upper body.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x^2$ test, t-test and ANOV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decreased low back pain, an increase in abdominal-back muscle strength, and increased waist flexibility after 6 sessions. The experimental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increased in abdominal-back muscle strength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replicate for verification of clinical validity with the methodological rigors, and to utilize the self-exercise program for care and prevention of low back pain.

  • PDF

복부근육 및 넙다리네갈래근과 균형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balance and thickness of abdominal and quadriceps muscles)

  • 김석현;김재홍;전정우;홍지헌;유재호;김진섭;김성길;이동엽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31-38
    • /
    • 2023
  • 본 연구는 서 있는 자세에서 측정된 정적균형과 근육두께(배근육, 넙다리네갈래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29명의 건강한 성인 29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근육두께와 정적균형을 측정하였다. 넙다리곧은근의 근육 두께는 정적균형체중분포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다른 근육과의 유의한 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건강한 20대 남성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른 연령대에 일반화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근력과 시각이 측정되지 않아 연구의 정확성을 표현하고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단위의 피험자 수를 대상으로 근력을 추가적으로 측정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부하 편차 방식의 전신진동운동이 하지 근력 불균형 개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n Improvement of Muscle Strength Imbalance According to Load Deviation Protocol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 서신배;강승록;유창호;민진영;권대규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1095-110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n improvement of muscle strength unbalance according to load deviation protocol during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Seventeen female volunteers (age $22{\pm}3$ years, height $160{\pm}4.9$ cm, weight $49{\pm}.8$ kg)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 subjects performed squat exercise in WBV platform. Exercise were performed five set a day including 15 time a set, three days a week, and during 4 weeks. Vibration stimulus was 25Hz as frequency and intensity was dominant leg 1mm and non-dominant leg 4mm. The results in WBV group showed that the differences of peak torque in 16% were getting decreasing significantly after 4 weeks from 16.2% to 5.2%. This result means that WBV with load deviation protocol could provide muscle strength exercise for muscle strength balance. Our study found out that WBV of load deviation protocol could provide muscle strength exercise for improving muscle imbalance.

ACE와 ACTN3의 다중유전형질과 근력운동 경기력간의 관계 (Polygenic Association of ACE and ACTN3 Polymorphisms with Korean Power Performance)

  • 김철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98-406
    • /
    • 2012
  • 이 연구는 한국인에서 적용할 수 있는 근력관련 유전적 소인을 ACE 유전자와 ACTN3 유전자를 단일유전자 수준과 다중유전자 수준에서 관계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근력운동종목의 엘리트선수 158명, 국가대표선수 106명, 대조군 676명을 동원하여 ACE ID 다형성과 ACTN3 R577X 다형성 분포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ACE 다형성에서 II 유전형 및 I 대립형질은 유의하게 높은 분포를 가졌고, 반면 DD 유전형 및 I 대립형 질은 유의하게 낮은 분포를 가졌다(Top-Class vs. Control: 41.4% vs. 32.1 for II genotype, 67.1% vs. 57.7% for I allele, p<0.05). ACTN3 다형성에서 RR 유전형 및 R 대립형질은 유의하게 높았고 XX 유전형 및 R 대립형질은 유의하게 낮았다(Top-Class vs. Control: 42.3% vs. 29.0 for RR genotype, 65.3% vs. 54.8% for R allele, p<0.05). 다중유전자 수준에서 근력은 ACE 다형성과 ACTN3 다형성이 조합된 우성조합유전형(II/ID+RR/RX)이 최우수 경기력에서 유의하게 높은 분포를 가졌다(Top-Class vs. Control: 82.9% vs. 66.7% for II/ID+RR/RX, p<0.05). 또한 최우수 경기력을 가진 국가대표는 엘리트와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높은 TGS를 가졌다($66{\pm}0.9$ vs. $58{\pm}1.9$ vs. $56{\pm}2.3$, p<0.05). 이를 근거로 우성조합유전형이 최우수 근력 경기력을 가질 가능성에 대한 승산비는 2.43배(CI:1.45-4.09, p<0.001)였다. 따라서 ACE 다형성과 ACTN3 다형성은 한국인에서 근력과 관계된 유전형으로 확인되었으며, 두 유전자는 상호 조합된 다중유전형에서 근력 경기력에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ACE 다형성과 ACTN3 다형성을 조합한 다중유전자는 근력 경기력을 예측할 수 있은 유전적 요인으로 사료되었다.

마우스가드의 형태가 운동선수의 체력 및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cclusal Condition on Physical Fitness and Motor Capacity in Athletes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Mouthguards)

  • 최수정;정재광;이규복;채원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1호
    • /
    • pp.1-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우스가드의 착용이 기초 체력 및 운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특히 부분피개 마우스가드 착용의 효과를 파악하여 교합의 안정성이 기초 체력 및 운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K대학교 체육교육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5가지 교합상태-마우스가드 미착용, 전악피개 마우스가드 착용, 좌우측 편측 마우스가드 착용, 전치부 마우스가드 착용-에서 각각 사이드스텝, 제자리 높이뛰기, 배근력, 악력, 외발서기, 유연성과 같은 기초 체력 및 운동능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전악피개 마우스가드의 착용은 운동능력 측정 항목 중 사이드스텝, 제자리 높이뛰기, 배근력, 악력, 외발서기, 유연성, 전신반응 모두에서 마우스 가드 미착용 시와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부분피개 마우스가드의 착용 시에는 미착용 시에 비해 전신반응이 유의성 있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전악피개 마우스가드의 착용이 운동능력에 유의한 영향은 없으나 부분피개 마우스가드의 착용은 민첩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뿐만 아니라 교합적인 안정성이 단기적으로는 전신반응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발생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12주간 복합운동이 비만 여대생의 신체조성 및 기초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training 12weeks on body composition and basic physical strength in obese college women)

  • 김원현;김승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471-47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 복합운동이 비만 여대생의 신체조성 및 기초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취지를 충분히 설명하고 자발적 참여의 동의서를 작성한 D대학교의 여대생 12명이었으며, 과거병력과 현재 특별한 질환이 없고, 규칙적인 운동경험이 없는 자들로 구성하였다. 이들은 실험 전 신체조성검사 및 기초체력검사인 좌 우악력, 배근력, 유연성, 순발력, 근지구력을 측정하고, 12주간 복합운동 실시 후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실험 전, 후 차이 검증은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2주간 복합트레이닝 운동집단에서 참여 후 체중, 골격근, 체지방량 및 좌 우악력 및 배근력, 순발력은 통계적으로 유의(p.<05)한 감소와 증가를 보였고, 유연성은 약간의 증가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통제집단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12주간 복합운동은 여대생의 근육을 증가시켜 기초대사량이 증가하여 체중 및 체지방을 감소시켜 건강관련 기초체력 향상에 의미 있는 운동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