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전면적

Search Result 92,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Ozone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Silent Discharge Type Ozonizer with Varying Discharge Area (무성방전형 오존발생기의 전극면적 변화에 따른 오존생성특성)

  • Lee, S.K.;Chun, B.J.;Park, Y.K.;Lee, K.S.;Song, H.J.;Lee, D.H.;Kim, Y.H.;Kim, G.Y.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c
    • /
    • pp.1775-1778
    • /
    • 2002
  • 무성방전을 이용한 오존발생기에서 오존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원료가스의 온도, 습도, 유량, 방전전극의 재질과 형태, 전원의 형태 등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극의 면적변화에 의한 오존생성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방전전극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더 많은 전력의 인가가 가능하여 대용량의 오존발생기의 제작이 가능하며, 또한, 동일한 전력을 인가하는 경우에도 전극면적의 증대가 오존발생특성의 향상을 가져옴을 알 수 있었다.

  • PDF

비대칭 전극 구조를 갖는 용량성 결합 플라즈마에서의 방전 특성과 전력 소비 모드 전이에 관한 연구

  • Lee, Su-Jin;Lee, Hyo-Chang;Bang, Jin-Yeong;Jeong, J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22-222
    • /
    • 2011
  • 용량성 결합 플라즈마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널리 쓰이기 때문에 그 방전 특성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유사한 면적을 갖는 전극 구조에서 주로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전극의 면적 차이가 매우 큰 비대칭 구조를 갖는 용량성 결합 플라즈마에서 방전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전력 소비 모드 전이와 플라즈마 밀도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인가 전력 또는 방전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서 플라즈마에 전달된 전력은 초기에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다가 점차적으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방전 저항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형태의 전이를 보였다. 전달 전력과 방전 저항의 변화는 용량성 결합 플라즈마에서 초기에는 대부분의 전력이 플라즈마 내의 전자에 의해 소비되다가 점차 쉬스 내의 이온의 가속 에너지로 소비되는 전력 소비 모드 전이에 의한 것이며, 이로 인해 플라즈마 밀도는 처음에는 큰 폭으로 증가하다가 그 증가 폭이 줄어들었다. 이러한 방전 특성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아르곤 압력 범위에서 인가 전력을 증가시킴에 따라서 실험하였으며, 스퍼터, 에칭 등 산업용 플라즈마 공정에서 최적의 방전 조건 형성을 위해 큰 도움이 되리라 예상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Material Removal Rate According to Discharge Area and Capacitance in MEDM (미세 방전 가공에서 방전 면적과 축전 용량에 따른 가공율 특성)

  • 박동희;류시형;김보현;주종남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0 no.12
    • /
    • pp.183-190
    • /
    • 2003
  • In this paper, investigated are the machining characteristics such as material removal rate and machining time with respect to discharge area and capacitance in micro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MEDM). As discharge area determined by the electrode size and capacitance change, the optimal feedrate to allow the minimum machining time changes. The smaller discharge area is, the lower MRR becomes because of the area effect. As the capacitance increases, MRR also increases. However there is the limit capacitance beyond which the MRR does not increase anymore. As the discharge area increases, the limit capacitance also increases.

Ar 및 N2 기체유입에 따른 저온 대기압 DBD플라즈마에 의한 Fungi의 노출 효과

  • Gang, Ju-Su;Baek, Gu-Yeon;Yu, Yeong-Hyo;Kim, Yong-Hui;Choe, Eun-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514-514
    • /
    • 2012
  • 면방전 구조의 대가압 DBD플라즈마 소스를 제작하여 Ar과 N2 기체를 유입하여 미생물인 Fungi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면방전 구조의 DBD플라즈마 소스는 유리기판위에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으로 미소전극을 형성하여 고밀도의 방전셀을 형성하였다. 방전시 발생하는 열에 의한 효과의 제어를 위하여 냉각장치를 장착하였다. 또한 유리기판과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은 방전영역에 제한없이 다양한 크기의 소스제작이 가능하다. 셀 피치가 $400{\mu}m$이며 $cm^2$ 당 200여개의 방전 셀로 구성되어 있어서 기존 메쉬타입의 DBD플라즈마 장치에 비해 균일하게 플라즈마를 조사할 수 있으며 플라즈마 제트 장치에 비해서는 넓은 면적을 동시에 조사할 수 있게 되었다. Ar 과 N2기체를 3 L/min의 유량으로 방전공간에 유입하면서 1 kV의 구동전압으로 플라즈마를 발생하였다. 이 경우 플라즈마의 조사시간을 20 s, 40 s, 60 s 간격으로 변화를 주며 Fungi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 PDF

다중 Mult-hole 전극을 이용한 RF Capcitively Coupled Plasma에서의 위치 별 밀도 제어에 관한 연구

  • Lee, Heon-Su;Lee, Yun-Seong;Jang, Hon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176-176
    • /
    • 2012
  • 다수 홀 전극을 이용한 RF Capcitively Coupled Plasma는, 평판 전극을 이용할 때에 비해, 전자 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전자 밀도의 증가는 일반적으로 공정의 속도를 증가시키며, 박막 태양전지의 Microcrystalline Silicon 증착 공정등 공정의 속도가 중요시되는 공정에서는 공정속도를 향상 시키는 것이 중요한 공정의 요구사항으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자 밀도를 향상시켜 공정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공정에 사용하는 RF 전력의 파장의 유한성으로 인해, 공정의 면적을 증가시킬 경우, 방전의 균일도가 하락하게 되며 넓은 면적에 일정한 공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공정의 품질이 하락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의 하나로 본 발표에서는 다중 Multi-hole 전극을 이용한 방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중 Multi-hole 전극은, 복수의 구획으로 나뉘어진 다수의 홀이 있는 전극으로 각각의 구획은 분리되어, 각 구획 별로 서로 다른 복수의 홀이 10 mm 깊이로 뚫린 전극 구획으로 나누어지며, 각 구획을 결합하여 하나의 전극을 이루도록 한 전극이며 이를 이용하여 위치 별 플라즈마 밀도를 제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계되어진 전극 구조이다. 본 학회에서 발표하는 실험에서는 가장 단순한 형태인, 두 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진 전극을 이용하여 내부와 외부에, 평 전극 구획 혹은 5 mm 지름의 다수 홀이 존재하는 전극 구획을 조합하여 다양한 전극 구조를 만들었으며 이를 통해, 다중 Multi-hole 전극을 이용하는 위치 별 플라즈마 밀도의 제어 방법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위치 별 플라즈마 밀도의 측정을 위해, 전극에 대해 수평하게 이동하는 RF compensated Single Langmuir Probe를 이용하여, 전자 밀도를 측정하였으며 50 mTorr의 낮은 압력 범위 및 500 mTorr의 높은 압력 범위에서 위치 별 플라즈마 밀도를 측정하여, 압력에 따라 달라지는 홀 방전의 특성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 PDF

Arc Discharge Sensor having Noise Immunity to Ambient Light (주변광 영향을 받지 않는 아크방전 감지 센서)

  • Roh, Hee Hyuk;Seo, Yong Ma;Khishigsuren, J.;Choi, Kyoo 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726-728
    • /
    • 2013
  • Optoelectronic arc discharge sensor was used to detect arc discharge inside power distribution panel. Arc discharge is fatal to power system once it begins, thus preventive detection is necessary before power failure occurs. Optoelectronic detection method was used to avoid direct electrical contact to power apparatus inside power distribution panel. 180 degree detection angle and detection range far exceeding 6m, which was sufficient for monitoring purpose, was achieved using the photodiode having $7.5mm^2$ of active surface area and flash source with $0.4cal/cm^2$ energy density, which is equivalent to 1.9J with $2.16cm^2$ emitting area. The response speed of arc discharge sensor was measured to be below 1 msec. The above optoelectronic arc discharge sensor was measured to be sensitive enough to detect 0.94 pC charge.

  • PDF

Ar 및 He기체유입에 따른 저온 대기압 DBD플라즈마에 의한 E.Coli의 노출 효과

  • Lee, Sang-Hak;Baek, Gu-Yeon;Kim, Yong-Hui;Yu, Yeong-Hyo;Choe, Eun-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512-512
    • /
    • 2012
  • 최근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 장치의 개발로 대기 및 수질 환경, 바이오 메디컬분야로의 응용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공기 중 플라즈마의 살균 및 정화효과에 대한 많은 결과가 발표되어 왔다. 본 연구는 면방전 구조의 DBD플라즈마 소스를 제작하여 He과 Ar 기체를 유입하여 미생물인 E.Coli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면방전 구조의 DBD플라즈마 소스는 1.8 mm 두께의 유리기판위에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으로 미소전극을 형성하여 고밀도의 방전 셀을 형성하였으며 방전시 발생하는 열 효과를 제어하기 위하여 냉각장치를 제작하여 장착했다. 또한 유리기판과 포토 리소그라피 공정은 방전영역에 제한없이 다양한 크기의 소스제작이 가능하다. 셀 피치가 $400{\mu}m$이며 $cm^2$ 당 200여개의 방전 셀로 구성되어 있어서 기존 메쉬타입의 DBD플라즈마 장치에 비해 균일하게 플라즈마를 조사할 수 있으며 플라즈마 제트 장치에 비해서는 넓은 면적을 동시에 조사할 수 있게 되었다. Ar 과 He기체를 3 L/min의 유량으로 방전공간에 유입하면서 1kV의 구동전압으로 플라즈마를 발생 하였으며, 플라즈마의 조사시간을 20 s, 40 s, 60 s 간격으로 변화를 주어 E.Coli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 PDF

Discharge Luminous Phenomena Caused Between ZnO Surge Arrester Block and Electrodes (산화아연 피뢰기 소자와 전극사이에 발생하는 방전광 현상)

  • Lee, Bok-Hee;Park, Keon-Young;Kang, Sung-M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9 no.3
    • /
    • pp.44-50
    • /
    • 2005
  • This paper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reduction methods of the plasma luminosity caused between the ZnO surge arrester block and metal electrodes. In this study, the impulse current generator that can generate $8/20[{\mu}s]$ impulse currents with a peak short-circuit of 10[kA] is designed and fabricated. Plasma luminosity phenomena for fine and used ZnO blocks were observed as a function of the contact states between the ZnO block and electrodes and the polarity of applied impulse voltages. As a result, discharge luminous events are produced near the contact edges between the ZnO block and metal electrodes. The discharge plasma luminosity between the ZnO surge arrester block and low potential electrode is more intensive than that between the ZnO surge arrester block and high potential electrode. Surface flashover of ZnO blocks are mainly caused by plasma generation near the edge of metal electrode. Also, plasma luminosity for the fine ZnO blocks is less than that for the used ZnO blocks. Plasma luminosity at the contact of the ZnO block and ring-type electrode is more intensive than that at the contact of ZnO block and disk electrode. It is desirable to use the disk electrode with the proper contact area to reduce the plasma luminosity caused at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ZnO block and electrodes.

A Study on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lent Discharge in an Electrolyte. (전해액내에서 무성방전의 전기적특성에 관한 연구)

  • 이종헌;하홍곤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 /
    • v.14 no.4
    • /
    • pp.15-21
    • /
    • 1977
  • In this paper, an analogical method for measur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lent discharge in the Na2CO3 electrolyte is proposed by using an electrical equivalent model which consist of charging and discharging circuits. The electrical equivalent model is constructed with the use of zener diode and capacitor, an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by the voltage and charge traces which appear a simple parallelogram on the oscilloscope. The area enclosed by the parallelogram could be considered of the energy input per cycle, and is independent of the applied voltage waveform but dependent on the maximum applied voltage.

  • PDF

유전체장벽 방전구조의 비접촉식 저온 대기압 면방전 플라즈마를 이용한 빵곰팡이의 살균효과

  • Yu, Yeong-Hyo;Kim, Seong-Hui;Park, Gyeong-Sun;Choe, Eun-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519-51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기적 충격이 없고 넓은 면적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형태의 유전체 장벽 방전(DB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을 이용한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 장치를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빵 곰팡이(Neurospora crassa) 살균에 대한 기본 분석을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저온 대기압 면방전 플라즈마의 파워는 사인파 교류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전압은 1.4~2.3 kV, 방전전류는 20~30 mA의 값을 가지며,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는 약 80도의 기울기 차이가 난다. 이때의 출력은 약 4 W를 가지며, 공랭식 쿨러를 이용하여 유전체의 열을 배출하였다. 시료대의 온도 측정결과 방전과 동시에 쿨러를 작동할 경우 최대 10분에서 37도를 넘지 않았다. 장치에서 발생하는 플라즈마에 의한 O3의 양은 플라즈마 발생부로부터 10 mm 이내에서 약 25~30 ppm 이 측정되었으며, NO나 NO2 는 거의 검지되지 않았다. 증류수(Deionized water)속에 담긴 빵 곰팡이(Neurospora crassa) 포자를 면방전 플라즈마 발생장치로 처리하였을 때, 포자의 발아율은 처리시간 및 출력파워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VM (Vogel's Minimal) 배양액에 넣고 플라즈마 처리를 한 경우에는, 증류수의 결과와 달리 살균효과가 미비함을 보였다. MTT 측정법 또한 같은 경향성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포자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이 플라즈마의 살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실험을 통해, 유전체 장벽을 이용한 면방전 플라즈마 발생장치가 플라즈마 제트(jet)와 달리 직접적인 플라즈마 접촉 없이도 미생물 살균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았으며, 처리대상의 생체용액과 같은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면방전 플라즈마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O3과 같은 활성종들이 빵 곰팡이의 비활성화에도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