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염성능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초

목조 건축 문화재 적심부 실물화재 실험을 통한 연소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Roof 'Jucsim' Structure Combustion Real Scale Fire Test on Wooden Structure Heritage Building)

  • 노삼규;함은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95-10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목조한옥구조 적심부 실물화재 실험을 통하여 목조건축문화재 지붕 상부구조 내부의 연소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체는 숭례문 지붕 내부 구조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작하였으며, 기와를 제외한 강회, 보토, 적심, 개판 순으로 구성하고 위치별로 열 측정 장치를 설치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목조건축 문화재의 적심 지붕구조를 가지는 경우 연소 및 화재 성상을 알아보았다. 두 번째 실험은 화염이 직접 접촉하는 서까래와 천정 개판 상 하부에 방염도료를 도색하여 방염도료 내화 성능을 알아보았다. 세 번째 실험은 적심부와 개판 사이에 방염천을 넣어 적심부 및 강회층에 화염 전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목조 한옥구조 지붕의 적심부 화재 전파는 외부 화염의 제거 후에도 내부에 장시간에 걸쳐 연기와 화염이 계속 진행함을 보였다. 또한, 방염도료의 경우 내열효과를 보였으며, 방염천의 경우 화염전파온도를 $100^{\circ}C$ 이하로 유지할 때 적심부로부터 화염전파차단 효과를 보였다.

목질계 건축물 자재의 방염 성능 비교 평가

  • 채학병;안병권;최용묵;정국삼;원정훈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05-10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목질계 건축 재료를 대상으로 소방방재청 고시에 근거한 $45^{\circ}$연소성 실험을 실시하여 대상 실험 재료들의 방염 성능을 비교 평가 하였다. 실험결과, 잔진시간은 일반합판에서 높게 나타났고, 잔염시간은 OSB보드(Oriented Strand Board)에서 높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탄화면적과 탄화길이는 OSB보드와 중질 섬유판 보드(Medium Denstity Fiberboard)에서 높게 측정 되었으며, 6종류의 실험 제품들 모두 탄화면적과 탄화길이에서 기준치를 만족 못하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 PDF

인계 난연 허니컴 코아의 방화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Prevention Capability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hosphate Flame Retardant Honeycomb Core)

  • 문성웅;임경범;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72-77
    • /
    • 2010
  • 허니컴 코아 구조는 강성과 강도가 뛰어나 건축물의 내장재 등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허니컴 종이는 생산 단가가 낮으며 재활용이 가능하여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종이 재료의 특성상 화재에 취약하여 난연화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화문 내장재 및 포장재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허니컴 종이의 난연 처리 방법에 따른 난연 성능을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난연종이로 제작된 허니컴과 실험실에서 제작된 방염 필름을 부착한 허니컴, 난연제 함침을 통해 제작된 허니컴, 난연제 함침 후 방염 필름을 부착한 허니컴을 포함해 총 4종에 관한 난연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난연제를 함침한 허니컴 종이가 가장 우수한 난연 능력을 보여주었으며, 방염 필름은 착화 시간 지연에는 효과가 있었으나 열방출률 및 연기발생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외에 설치되는 인조잔디의 연소시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bustion Test of Artificial Turf Installed on Field)

  • 민세홍;김연황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48-5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운동장과 건물의 옥상 등 실외에 설치되고 있는 인조잔디에 대해 국내 기준에 의한 화재위험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현재 인조잔디에 대한 국내 기준은 실외에 한하고 있으며 특히 학교체육시설이라고 국한하여 KS M 3888-1에 강제하고 있고, 실내 기준은 소방방재청고시(2012-35호)에 권장사항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강제규정하고 있는 실외에 설치되는 인조잔디에 국한하여 연소시험을 진행하였다. $45^{\circ}$ 방염시험을 진행하여 분석한 결과, 현재 설정되어 있는 기준이 화재의 위험성을 판단하기에 매우 미흡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바닥재로 통용되고 있는 방염처리된 카페트의 연소시험을 통해 그 특징을 비교한 후 분석하였다. 45o 방염시험기를 이용하여 착화성을 시험한 후 평가한 결과, 해당기준에서 크게 벗어난 인조잔디와 달리 카페트는 방염성능기준을 만족하였다. 이에 추가로 인조잔디에 대해 콘칼로리미터시험을 진행하여 착화 이후의 연소특성을 분석 및 평가함으로써 실외 적용되는 인조잔디의 기준 강화를 위한 대책을 제안하였다.

막재료의 난연 및 방염성능 실험에 대한 연구 (Tests of Fire and Flame Retardant Performance for Membrane Materials)

  • 김기철;최광호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55-60
    • /
    • 2016
  • The Membrane structure has a number of problems in the application of a fireproof code based on general buildings codes. Thus, the fireproof code of membrane structure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construction of the membrane structure. Because it requires a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fire retardant and flame proof performance of membrane material. Fire retardant and flame proof tests are conducted on membrane materials mostly used in current construction to propose the fire and flame retardant performance criteria of membrane materials. Fire and flame retardant tests results, PTFE membrane material with the glass fiber fabric have a limit-combustible performance. PVDF membrane material with the polyester fabric does not ensure the fire retardant performance, but this membrane material has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a thick fabric. Also, ETFE does not ensure the fire retardant performance, but this membrane material has the flame retardant of a thin fabric.

마이크로파 가열 목재의 방염·방충 복합 보존처리 특성 (Characteristics of Flame Retardent and Mothproof Conservation of Microwave Heated wood)

  • 김종근;박철우;윤태호;임남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234-246
    • /
    • 2013
  • 목조주택의 골조 및 실내 외 마감용으로 사용되는 침엽수 구조재를 대상으로 방염 방충 보존처리제가 혼합된 약제에 마이크로파 가열 후 열기를 지닌체 침지하여 복합적인 기능화를 부여한 후 목재의 건조 스케줄, 방염 시험에 의한 화재 저항성과 흰개미에 의한 내충해성, 혼합 약제의 침투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마이크로파로 3 kW로 5분 급속 가열된 시험편은 목표 온도 및 함수율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산염과 헤테로고리화합물계가 혼합된 약제에 120분 침지할 경우 가장 높은 중량 증가율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염 후 처리 물품 시험을 실시한 결과 인산염과 혼합된 약제는 방염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흰개미 투입 후 7일 사충율을 확인한 결과 인산염과 헤테로고리화합물계 혼합 약제 침투 시험편의 경우 96% 이상 높은 사충율을 나타냄으로서 가장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재 내부로 약제 침투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목재 세포내부 전면에 있어 혼합약제가 침투된 것으로 나타나 목재의 방염성 및 방충 저항성 등에서 우수한 성능의 발현은 혼합 약제의 균일한 침투때문으로 판단된다.

다중이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실내장식재에 대한 방화.방염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Legal Alternatives to Fire Performance Certificate and Tests for Interior Finish, Decorative Materials in Premises Used as Assemblies)

  • 박형주;곽동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47-54
    • /
    • 2001
  • 90년대 후반기부터 연이어 발생한 씨랜드 화재사고와 인천 인현동 라이브클럽 화재등의 동일한 유형을 가진 화재사건을 계기로 국내 다중이용업소의 실내장식재 및 장식물품에 사용하는 재료가 화재시 인명참사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국내다중이용업소를 중심으로 실내장식재 및 장식물품의 사용과 관련한 화재안전규정 및 기준을 조사한 후에 유럽·미국 등의 선진국의 관련 규정을 조사 비교하여 그 문제점을 세부적으로 발췌하여 규제방향 및 규제기준의 상이점을 분석하여 대형인명참사를 초래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내었다. 고찰된 원인을 근간으로 실내장식재 및 장식물품에 사용하는 재료가 선진국 수준의 방재성능을 가질수 있도록 규제방향을 제시하고 제시된 규제방향을 뒷받침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검증된 시험방법을 연구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향후 발생가능한 대형인명참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다중이용업소를 중심으로 방화 및 방염제도의 효과적인 수립디 되도록 실내장식재 및 장식물품에 대한 세부규제안을 기술하여 방화 및 방염제도의 세부규안을 제시하였다.

  • PDF

난연처리된 소나무와 잣나무의 연소특성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ire Retardant Treated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 최정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244-25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잣나무(Pinus Koraensis)에 대한 연소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두 수종은 한옥의 부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체적밀도는 소나무가 잣나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고 있다. 목재의 연소특성은 해당 수종의 체적밀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방염성능에 있어서는 뚜렷한 차이를 확인하기는 어려웠지만 콘칼로리미터 시험방법에 있어서는 총 방출열량, 평균 열방출률 비교를 통하여 목재 수종의 체적밀도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CO/$CO_2$의 비로부터 알 수 있는 연소가스의 유해성은 난연처리에 의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료의 주성분에 따른 편백 합판의 방염성능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Japanese Cypress Plywood Based on the Main Ingredients of Fire Retardant Paint)

  • 임수희;공하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1-6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Japanese cypress(Chamaecyparis obtusa) plywood, commonly used in indoor decoration, furniture, and tableware, by treating it with three different fire retardants with different primary ingredient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compliance with Article 31, Paragraph 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Fire Facilities Installation and Management Act and Articles 4 and 7-2 of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Standards. After flame time, after glow time, char length, and char area were measured. As a result, first, after flame time was measured at 0 seconds regardless of whether the flame retardant treatment was applied. Second, after glow time was relatively long, measuring 22.7 seconds without treatment, which is likely due to the weak fire resistance and high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generated by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cypress itself.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s of the primary ingredient, phosphorus, in the flame retardant treatment varied depending on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the manufacturers of the same species of Japanese cypress plywoo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fundamental data to select flame retardant treatments that show high flame retardan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w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