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사선측정기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7초

CCD 카메라를 이용한 방사선원 3차원 위치 고속 측정기 (High speed 3D position detection of radiation using CCD camera)

  • 이남호;김승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433-435
    • /
    • 2005
  • 광변환 물질을 사용하여 X-선이나 감마방사선을 가시광으로 변환한 다음 CCD 카메라를 통하여 광량을 측정하면 방사선의 양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CCD형 비상대용 로봇용 고속 삼차원 방사선 위치 탐지장치에서 방사선 위치 센싱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CCD 방사선 탐지부를 간접 방사선 측정 방법을 응용하여 고안하고 구현한 다음 이에 대한 방사선 특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로 부터 구현한 CCD형 방사선 센서가 방사선 위치 및 선량 탐지장치로 활용 가능성이 충분함 확인하였다.

  • PDF

유리 선량계와 다이오드 측정기를 이용한 유방암 환자의 체표면 선량측정 비교 (Comparison of Skin Dose Measurement Using Glass Dosimeter and Diode for Breast Cancer Patients)

  • 고영은;박성호;최병준;김희선;노영주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9권1호
    • /
    • pp.9-13
    • /
    • 2008
  • 다이오드 측정기(diode)와 유리 선량계(glass dosimeter)를 이용하여 체표면 선량측정을 시행하고 실제 방사선조사 영역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치료계획 시스템에서 계산된 방사선량과 비교하여 유리 선량계를 체표면 측정기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방암 치료로 방사선을 조사받는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다이오드 측정기와 유리 선량계를 같은 부위에 부착하여 각각의 위치에서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유리 선량계는 총 40개 중 재현성이 3% 이내인 28개의 소자만을 사용하였다. 환자의 치료 셋업 위치에 따라 네 부위에 각각 선량계를 부착하여 각 위치에서의 선량값을 측정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27명의 환자 모두에 대하여 180 cGy/fraction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이때 같은 부위에 부착한 두 측정기가 나타내는 선량값의 차이는 최대 3.2%였으며, 치료계획 된 선량값과 비교했을 때 다이오드 측정기의 경우 평균 2.3%의 차이를 보였으며, 유리선량계의 경우 평균 3.4%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로써 유리 선량계는 체표면 측정기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치료계획에서 계산된 선량값에 비해 두 종류 측정기로 측정한 선량값이 모두 적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이는 각각의 선량계가 가지고 있는 특성 오차의 영향과 선량계를 부착한 부위가 고정되기 쉽지 않고 움직이기 쉬운 부분이라는 신체적 특성의 영향에 따른 차이라 생각된다.

  • PDF

마이크로필름과 탄소막 전극을 이용한 소형방사선측정기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mall Radiation Dosimeter by Using Microfilm and Carbon Elecrtode)

  • 신교철;윤형근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5권2호
    • /
    • pp.59-6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필름과 탄소막 전극을 이용하여 개발한 소형 방사선측정기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전극은 5 mm 직경의 고전압전극, 3.3 mm 직경의 수집전극, 그리고 넓이가 0.7 mm인 보호전극으로 구성되었으며, 이온수집 공동의 부피는 0.016 ㎤이었다. 6 MV X-선을 이용하여 제작된 측정기에 대한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는데, 누설전류는 0.1 pA, 재현 오차가 0.1% 이하, 선량률 효과는 1.5% 이하, 분극효과는 2.4% 이하로 나타났다. 개발된 측정기의 전기적 특성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며, 추후 깊이선량률, 빔측면도와 같은 선량분포에 대한 특성의 평가가 요구된다.

  • PDF

측정기에 따른 고에너지 X-선의 표면 선량 및 최대 선량 지점 고찰 (Consideration of Surface Dose and Depth of Maximum Dose Using Various Detectors for High Energy X-rays)

  • 이용하;박경란;이종영;이익재;박영우;이강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322-329
    • /
    • 2003
  • 목적 .: 고에너지 X-선의 표면 선량과 선량보강(build-up) 영역에서의 선량 분포는 일반적으로 방사선 계측에 사용되는 전리함 측정기로는 정확한 선량 분포를 얻기가 매우 어렵다. 본 연구는 고에너지 X-선 선량 계측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여러 측정기를 이용하여 팬톰 표면에서의 흡수선량과 최대 선량 지점(d$_{max}$)을 측정하여 측정기 사이의 정확성을 비교 분석하고, 각 치료 기관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측정기 중 표면 선량 측정에 적절한 측정장치를 제안하고 그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 실험에서는 6 MV와 IS MV X-선에 대해 조사면이 10$\times$10 cm$^{2}$, SSD=100 cm에서 TLD, 팀블형전리함(thimble type ion chamber), 다이오드 검출기, 다이아몬드 검출기와 Markus 평행판 전리함 등을 이용하여 심부선량백분율(percent depth dose: PDD)을 측정하여, 표면 선량(suface dose)과 최대 선량 지점(dnu)을 비교 분석하고, 또한 TLD 측정 시와 동일 조건으로 Monte Cario 계산을 실행하여 TLD의 측정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6 WV와 IS MV X-선에 대해 Markus 평행판 전리함을 이용하여 측정한 표면 선량은 각각 29.31$\%$와 23.36$\%$으로 측정되었으며, TLD는 37.17$\%$와 24.06$\%$, 다이아몬드 검출기는 34.78$\%$와 24.06$\%$, 다이오드 검출기는 38.18$\%$와 27.8$\%$, 팀블형 전리함은 47.92$\%$와 36.06$\%$ 였으며, Monte Cario 계산에 의한 표면 선량 값은 S MV X-선에 대해 TLD 측정 시와 동일한 조건으로 팬톰 내에 가상적인 TLD를 삽입한 경우 36.22$\%$로 실제 측정값 37.17$\%$와 유사하였다. 최대 선량 지점의 깊이는 모든 측정기에서 6 MV X-선에 대하여 14$\~$16 mm, IS MV X-선에서는 27$\~$29 mm사이의 측정기에 따라 작은 차이를 보였다. 결론 : 표면 선량의 경우에는 측정기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Markus 평행판 전리함이 사용된 측정기 중가장 정확한 결과를 보였고, 팀블형 전리함의 경우 다른 측정기에 비해 약 10$\%$ 이상 높은 선량을 보여 피부 표면에 가까이 위치한 종양에 대한 방사선 치료 계뵉 시에는 임상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팀블형 전리함의 선량 값을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많은 오류가 발생하므로 가능한 표면 선량 측정에 적절한 측정기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측정기 특성을 고려한 보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대 선량 지점(d$_{max}$)의 결과는 모든 측정기에서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본 실험에서 사용한 모든 측정기는 그 특성에 상관없이 최대 선량 지점 측정에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국내 방사선 측정장비 보유 현황 및 교정 현황 조사 (Report of Present Status of Calibration for Domestic Radiation Measurements Instruments)

  • 임상욱;최진호;안소현;조광환;이상훈;이레나;조삼주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7권1호
    • /
    • pp.46-53
    • /
    • 2016
  • 치료장비의 정확한 정도관리를 위해서는 선량측정기의 주기적 교정이 중요하다. 국내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사용하는 교정대상 측정기는 이온전리함, 온도계, 기압계 및 서베이미터 등이 있다. 현재 국내 교정기관에서 권고하고 있는 교정 유효 기간은 6개월에서 1년이나 최근 제조사 및 외국 교정기관에서는 2년의 유효기간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측정기의 특성에 따른 가장 합리적인 교정주기의 설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ILAC-G24 지침서(2) 등을 기반으로 국내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사용하는 측정기들의 최적의 교정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기초단계로 불확도, 측정기의 사용 빈도, 사용 방법, 장비의 안정도 등을 조사하여 향후 측정장비의 적절한 유효 기간 도출의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조사 방법은 온라인 설문조사도구인 SurveyMonkey를 이용하였으며 조상대상은 전국의 18개의 대학병원으로 이중 15개 기관에서 응답하였다. 설문조사 질의 내용은 작성자 정보, 온도계, 기압계, 서베이미터, 기준이온전리함, 소조사면 측정장비 및 근접치료용 우물형 전리함으로 구성하였고 총 64문항으로 모두 응답시 약 50분간의 시간이 소요된다. 조사대상의 과반수 기관에서 온도계와 기압계의 교정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서베이미터는 6개월에서 1년 정도로 교정주기가 비교적 짧았다. 본 조사를 바탕으로 측정장치별 최적의 교정주기를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