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문전담간호사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3초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을 위한 간호사 인력의 적정 수요 추정 (Estimating need for Home Visiting Nurse from Public Health Centers)

  • 배현지;김진현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23-32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estimate the need for home visiting nurse at public health centers. Methods: A model was generated to estimate a community's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needs in 16 regions and a workload analysis was adopted to estimate the number of required Nurses. Data were collected from 16 public health centers using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open-information system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vulnerable social group, bottom 10% income group, and bottom 20% income group.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2,158 and 6,667 nurses were needed to provide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for the bottom 10% and 20% income groups, respectively. It was estimated that for the vulnerable social group, 10,336 nurses were needed to provide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implying that the need-based demand for nurses is well over 5 times the number currently employed.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number of currently employed nurses is insufficient for the health management of vulnerable social groups.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active employment policies to encourage nurses to apply for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노인전담 방문간호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Geriatric Visiting Nurses' Educational Program)

  • 백희정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40-248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an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for geriatric visiting nurses in Seoul by assessing their satisfaction level and level of learning goal achievement. Methods: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implement, and evaluate the educational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ADDIE Instructional System Model. Participants were 170 nurses hired for the 2016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visiting service for older people. Based on Kirkpatrick's Training Evaluation Model, reaction and learning evaluations were conducted during and after the educational program.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The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 consisted of basic and professional courses. The evaluations showed that participa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lectures and field placement. Over 90% of the participants achieved the learning achievement goals. Conclusion: The program developed for geriatric visiting nurses in Seoul is considered a valid educational program because of the participants' high levels of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상담매뉴얼 개발과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Counseling Manual for Community-based Visiting Nursing)

  • 최경원;임지영;김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226-233
    • /
    • 2012
  •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담당인력의 실무적 역량 강화를 위하여 가정 방문 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대상자와의 치료적, 공감적 의사소통 및 상담 능력 향상을 위한 상담매뉴얼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담매뉴얼은 1단계 상담준비, 2단계 신뢰형성, 3단계 진단발굴, 4단계 행동, 5단계 마무리 단계로 개발하였으며, 대상자의 상담요구에 따른 상담유형을 지지호소형, 문제해결요구형, 정보 및 조언요구형의 3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의 유형에 적합한 주요 상담 기법을 제시하였다. 주요 상담 기법은 지지호소형에서는 공감하기, 감정반응하기, 자기공개하기, 즉시 반응하기를, 문제해결요구형에서는 개방질문하기, 목표설정하기, 해결방안 모색하기, 요약하기를, 정보 및 조언요구형에서는 정보 제공하기, 제안하기, 해석하기 새로운 기술 가르치기를 중심으로 각각의 상담 예문을 제시하였다. 상담매뉴얼 교육 전, 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전담인력의 상담능력 향상 정도를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 척도(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Scales: CASE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조력기술 자기효능감과 회기관리 자기효능감 그리고 상담난제 자기효능감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상담매뉴얼 교육을 받은 후에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전담인력의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이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현황 조사: 실무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Home hospice palliative care service in Korea: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 고수진;김열;송미옥;최영심;최성은;조현정;허윤정;박명희;박선주;권소희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1호
    • /
    • pp.37-52
    • /
    • 2014
  • 본 연구는 가정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도입방안 연구의 일부로 가정호스피스 기관들의 실태를 파악하여 가정 호스피스완화의료 표준지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별도의 인력을 배정하고 지속적으로 가정호스피스를 운영하고 있는 7개 기관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개방식 서면조사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에 참여한 기관들은 24시간 on call 서비스, 의사와 간호사, 사회복지사, 사목자를 포함한 호스피스팀 구성, 정기적 팀회의, 사별가족관리 등을 가정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필수사항으로 여기고 있었고, 필수 시설은 방문간호사 사무실 및 물품준비 공간, 필수 장비는 방문용 가방으로 파악되었다. 방문을 가장 많이 하는 인력은 간호사였고, 가정방문서비스를 위한 전담인력을 두어야 한다는 데에 합의하였다. 가정호스피스 활성화의 장애요인으로 가정 호스피스에 대한 보험수가보상이 없어 팀원의 방문이 제한적이고, 집에서 처방변경이 어려우며, 24시간 주 7일 입원연계가 어려운 점, 가정 내 돌봄제공자가 없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점 등이 제시되었다. 가정호스피스 제도화를 위해 가정호스피스 서비스의 표준 개발은 매우 시급하고도 중요하며,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서비스 표준안의 초안 마련에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노인전담 방문간호사의 직무분석 (Job Analysis of Geriatric Visiting Nurses)

  • 백희정;문지현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0-8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uties and tasks of home visiting geriatric nurses using Development A Curriculum (DACUM) method. Method: The sample consisted of 107 geriatric visiting nurses who worked at community service cen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ob analysis was conducted at a DACUM workshop after that a web-based survey was given to participants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duties and tasks of geriatric visiting nurs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3. Results: A total of 8 duties and 56 tasks were identified as part of the job description of geriatric visiting nurses'. A task verification process was conducted. Overall mean ratings of the task importance were high. 'Recording' was identified as the most frequent duty, and 'Community program planning and operating' was identified as the most difficult duty. Conclusion: Duties and tasks that make up the job of geriatric visiting nurses were identified using the DACUM method. The resulting data will serve as the basis for the design of a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for nurses involved in geriatric home visiting education programs, and will also be used to identify training needs and establish a standardized job description for geriatric visiting nurses.

방문보건 전담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s of Visiting Nurses' Personality)

  • 박혜인;박경민;이경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7-86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s of personality in visiting nurses. Methods: Two hundred twenty six visiting nur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26 Public Health Centers in Korea. The Korean version of the Enneagram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was used to measure the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Results: The most common personality is type 9, a center of the Instinctive Center where energy tends to stress outwar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depending on the type of personality. The type 1, 2 and type 9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depending on the type of personality. There was but no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by depending on the type of personality. The nurses with the type 9 and type 1 of personal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e necessity of a self-understanding program to improve the working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profess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of visiting nurses.

일부 공공보건기관 방문보건요원의 교육요구도 조사 (Education Need of the Visit ing Health Service Work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Public Health Facilities)

  • 김영락;김신월;정은경;최진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1호
    • /
    • pp.51-64
    • /
    • 2002
  • 전라남도의 무작위 추출된 10개 시 군과 광주광역시 5개 구의 방문보건사업 담당직원 200명 중 우편설문조사에 응답한 14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방문보건 사업과 관련된 교육훈련경험 여부와 만족도, 응답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방문보건서비스 관리 지식 정도 그리고 향후 방문보건사업에 필요한 교육훈련에 대한 요구도에 대해 조사하여 향후 방문보건요원의 교육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 중 3년 동안 한가지 이상의 중앙교육 훈련 경험자는 43명(29.9%), 광역자치단체의 교육훈련 경험자는 57명(39.6%),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교육훈련 경험자는 53명(36.8%) 등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점수화 한 결과 중앙 교육($2.38{\pm}0.57$)이 광역자치단체 교육($2.18{\pm}0.57$)과 기초자치단체 교육($2.13{\pm}0.54$)보다 높았다. 2. 조사대상자의 방문보건서비스 관리 지식 정도는 환자 및 질병관리 영역 중 투약 및 검사, 상처 및 욕창 관리, 환자 개인위생, 고혈압환자 관리, 당뇨환자 관리, 관절염환자 관리 그리고 전염성질환자 관리, 고위험 가족 및 가정환경 관리 영역 중 환경위생 관리, 안전 및 사고 관리 그리고 감염관리, 건강증진관리 영역이 5점 만점에 평균 3점 이상이었으며, 재활 및 요양 영역은 전반적으로 평균 3점 이하의 점수를 보였다. 3. 조사대상자의 방문보건서비스 관리 지식 정도는 간호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 높았으며, 중앙 교육 중 노인보건, 재활 등 실무영역과 정신보건전문간호사, 광역자치단체 교육 중 보건진료원보수교육, 정신 보건교육, 그리고 기초자치단체 교육의 건강증진영역, 노인보건, 재활 등 실무영역, 정신보건영역과 급성질환 관리영역에 대한 교육훈련 경험이 있는 경우 높았다. 4. 조사대상자의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도는 노인건강 관리과정이 가장 높았고, 최근 업무가 새롭게 추진되고 있는 노인보건, 호스피스, 치매노인관리, 재활, 건강증진 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방문보건사업 업무별로는 방문보건사업전반이 가장 높았고 방문보건사업에서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가 교육의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방법으로는 공무원 집단교육(47.0%)을, 교육전담 주체는 광역자치단체 (30.4%)를, 교육방식은 실습(57.7%)을, 교육횟수는 년 2-3회(44.5%)를, 교육기간은 3-5일(41.0%)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지역사회 주민에게 효과적인 방문보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방문보건사업에 대한 지식 정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훈련의 기회를 확대하고 방문보건요원의 교육요구도에 근거하여 교육훈련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 PDF

전라남도 노인보건복지에 있어서 방문간호사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서비스 연계실태 및 관련요인 (The Linkage of Health Care and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in Jeonnam Province and its Related Factors)

  • 이정애;정은경;함철호;이영훈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1-53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linkage between health care and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in Jeonnam Province and its related factors. The subjects were 831 persons of visiting health service workers and social welfare workers in Jeonnam Province who responded the mail questionnaire (85.5% respondse rat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5th May to 30th June, 2004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It was composed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content and frequency of services referred between health care and social welfare workers, and interdisciplinary perception. Data was analysed by SPSS for Windows 12.0. 374(45.0%) reported having experience of service cooperation between health care and social welfare workers for the last three month. The most service that health care workers requested to social welfare workers was to get information for the client, on the other hand the most service that social welfare workers requested to health care workers was to visit and treat the elderly. These service providers in rural area and good attitude toward the cooperation between health care and social welfare service showed more link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coordinating program of health and welf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