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현

Search Result 11,26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Toll-like Receptor 9 Cytoplasmic Domain in Pichia patoris (Pichia pastoris로부터 Toll-like Receptor 9의 세포 내 도메인 단백질의 발현과 순수분리 정제)

  • Lee Kyun-Young;Lee Kon-Ho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v.32 no.4
    • /
    • pp.269-273
    • /
    • 2005
  • Toll-like receptors (TLR) are important components of innate immunity in the defense against pathogens. TLRs recognize pathogen-associated common molecular patterns. TLRs are similar to the receptors involved in defense responses in plants. TLR protein is a type 1 membrane protein, consisting of an extracellular domain containing leucine-rich repeats and a cytoplasmic domain. The cytoplasmic domain delivers ligand recognition signals that result in production of anti-microbial agents. The cytoplasmic domain (amino acid 858-1032) of toll-like receptor 9 has been expressed using methylotrophic yeast Pichia pastoris. The protein expression was confirmed by Western-blot, N-terminal sequencing and MALDl-TOF mass spectrometry. The proteins have been purified by nickel affinity, cation exchange and gel-filtration chromatography.

Spermatogonia 단계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유전자 동정

  • 옥도원;김진회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3.06a
    • /
    • pp.48-48
    • /
    • 2003
  • 본 실험은 spermatogonia 단계에 발현하는 유전자를 찾기 위하여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를 수행하였다. 기존에 mouse에서는 spermatogonia 특이적인 유전자들이 밝혀져 있기 때문에 pig에 특이적인 유전자를 찾기 위하여 pig 250days testis와 pig 60days testis를 재료로 하여 실험하였다. SSH를 통하여 254days testis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후보유전자를 7개 찾았고 25days testis와 60days testis 의 Northern blot을 통하여 25days에 과발현하고 60days에 발현의 양이 대폭 줄어드는 spermatogonia 유전자로 생각되는 후보유전자 2개를 선택하여 pig tissue northern blot, genomic DNA southern blot, RT-PCR 그리고 In-situ hybridization을 수행하였다. Tissue northern blot과 RT-PCR을 통하여 후보자 1번은 간과 폐, 난소, 정소에서 발현하고, 후보유전자 15번은 난소와 정소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함을 알았다. DNA sequence analysis와 NCBI Blast search를 통하여 후보자 1번은 다른 종에서 밝혀진 유전자였고 후보유전자 15번은 어느 종에서도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유전자였다. Degenerated primer를 통하여 후보자 1번의 pig full sequence를 밝히고 NCBI에 등록하였다. 그리고 In-situ hybridization을 통하여 후보유전자득이 20일째 testis의 Leydic cell에서 많이 발현되고 adult testis에서는 발현이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것으로 보아 위의 두 후보유전자는 spermatogonia에 직접 관련된 유전자이기 보다는 spermatogonia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leydic cell 특이발현을 가진 유전자로 사료되어진다.

  • PDF

GeneFishing PCR 기법을 이용한 한우 등심조직의 육질 등급 간 차등 발현 유전자의 발굴

  • Sin, Seong-Cheol;Sin, Gi-Hyeon;Park, Jong-Geun;Lee, Jun-Je;Baek, Myeong-Gi;Heo, Yeon-Beom;Chae, Ji-Seon;Jeong, Gu-Yong;Jeong, Ui-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10a
    • /
    • pp.119-122
    • /
    • 2005
  • 본 연구는 한우 근내 지방 축적 기작을 구명하고 고급육과 저급육에서 차등 발현되는 유전자를 발굴 동정하여 한우 육질 진단을 위한 분자 표지 마커로 활용하기 위해 GeneFishing PCR 기법을 이용하여 한우 육질등급에 따른 등심조직에서 차등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한우 육질 등급($1^+$ 등급 vs 3 등급)간에 총 10개의 차등 발현 유전자가 확인되었고 이 가운데 고급육 한우 등심에서 발현량이 높은 유전자가 4개 그리고 저급육 등심에서 발현량이 높은 유전자 6개가 각각 검출되었다. 발현량 차이 유전자를 cloning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상동성 검색을 실시한 결과 고급육에서 발현량이 높은 DEG는 주로 EST(expressed sequence tag) 유전자들로 밝혀졌고 저급육에서 발현량이 높은 DEG는 malate dehydrogenase 2(MDH2), myosin heavy chain 2a, triosephosphate isomerase 1(TPI 1), actin, alpha 1, skeletal muscle(ACTA1 ) 유전자들로 동정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우 육질간 차등 발현되는 유전자들은 한우 육질 및 등급판정을 위한 표지인자(marker)로 활용할 수 있어 유전자 마커를 이용한 고급육 생산 한우의 육질 조기진단이 가능할 것이다.

  • PDF

Inference of Gene Regulatory Program using Local Alignment (지역정렬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조절 프로그램 예측)

  • Lee, Ji-Yeon;Jin, Hee-Jeong;Cho, Hwan-Gu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a
    • /
    • pp.11-16
    • /
    • 2006
  • 세포의 활동은 단순히 하나의 유전자의 발현으로 설명되기보다 여러 유전자와 그로 인해 생성된 단백질의 상호 작용에 의해 나타난다. 또한 마이크로어레이 실험을 통해 세포 내의 유전자 발현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게 되고, Chromatin IP 마이크로어레이 실험을 통해 신뢰도가 높은 유전자 발현 조절 관계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되면서, 유사한 기능과 유사한 발현 패턴을 보이는 유전자들을 그룹으로 묶어 유전자 모듈로 규정하고 이를 하나의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로 구성하고, 분석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hIP 실험 데이터와 유전자 발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 정렬을 수행해 하나의 유전자 모듈을 조절하는 조절 프로그램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에 대해 기술한다. 조절 프로그램은 유전자 조절 모듈을 조절하는 조절자들의 역할 및 발현 여부에 따른 유전자 조절 모듈 내 유전자들의 발현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 PDF

Investigation of Growth Stage Related Genes in Dark-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볼락(Sebastes inermis)의 성장단계별 차등발현 유전자 탐색)

  • Jang, Yo-Soon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3 no.1
    • /
    • pp.21-29
    • /
    • 2011
  • Expression analysis of development-related genes was conducted using differential screening of 6-month-old [18M(-), 6M-18M] specific and 18-month-old [6M(-), 18M-6M] specific subtracted cDNA libraries constructed by subtractive hybridization using skeletal muscle of 6- and 18-month-old dark-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A total 202 cDNA clones displaying different expression levels in each stage were obtained; among them, 32 clones showing up-regulation were finally selected for further expression analysis. We sequenced the clones and analyzed individual sequences. Genes expressed specifically in 6-month-old skeletal muscle were identified as myosin, adenylate kinase, calsequestrin, dystrobrevin beta, and diphosphate kinase-Z1. Genes showing strong expression in 18-month-old rockfish were identified as desmin, TGFBR2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receptor), muscle-type creatine kinase, and cathepsin D. Expression of these genes was checked further in 6-18-30-42 month-old dark-banded rock fish. Rapid reduction of expression was observed in dystrobrevin beta and diphosphate kinase. However, expression of creatine kinase (muscle type) and cathepsin D increased as dark-banded rockfish grew, and remained even after 18 months. The results reported here demonstrate that genes related to muscles contract are expressed at an early stage of development, and genes controlling energy in muscles are predominantly expressed at a late developmental stage.

Regulation of LIF Gene Expression by Interleukin-1 in the Mouse Peri-implantation Embryos and Uterine Endometrial Cells (생쥐의 착상시기 배아와 자궁내막세포에서 IL-1에 의한 LIF 유전자 발현 조절)

  • Lee, Jung-Bok;Kim, Joung-Woul;Oh, Eun-Jeong;Yang, Hye-Young;Ryu, Hyoung-Eun;Lee, Ji-Youn;Gye, Myung-Chan;Yoon, Hyun-Soo;Kim, Moon-Ky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27 no.2
    • /
    • pp.183-190
    • /
    • 2000
  • 연구목적: 포유류의 착상은 배아가 모체의 자궁벽에 매몰되는 현상으로 부착과 침투 과정을 거쳐 진행되며, 이 과정은 스테로이드 호르몬, 성장인자, 세포점착분자, 그리고 cytokine 등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이 시기에 Interleukin-1 (IL-1)과 leukemia inhibitory factor (LIF) 등이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이들의 발현이 착상과정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착상 전후의 배아와 자궁내막세포에서 LIF 유전자의 발현양상과 $IL-1{\beta}$와 IL-1 receptor antagonist (IL-1ra)를 처리한 LIF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 (RT-PCR)을 통해 비교하였다. 결과: 배아에서의 LIF 유전자 발현은 in vivo와 in vitro 모두에서 상실기와 포배기에 발현되었고, 자궁내막에서는 임신 1일과 4일째에 발현되었는데, 상실기보다는 포배기에, 그리고 임신 1일보다는 착상시기인 4일째의 자궁내막세포에서 발현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궁내막세포를 배양한 경우 LIF 유전자는 in vivo에서의 발현양상과 동일하게 임신 1일과 4일에 발현되었으며, 배양액에 $IL-1{\beta}$(500pgml)를 처리하였을 경우 LIF 유전자가 초기 임신 (1~5일) 중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세포기 배아의 배양시에 $IL-1{\beta}$를 처리한 경우 8-세포기부터 LIF 유전자가 발현되었으며, 또한 IL-1ea(60 ng/ml)를 배양액에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임신1일째 자궁내막에서는 LIF 유전자가 발현되지 않은 반면, 임신 4일째의 자궁내막세포와 상실기, 포배기 배아 모두에서 LIF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착상 전후 배아와 자궁내막세포에서 IL-1에 의해 LIF 유전자 발현이 조절되며, 그 결과 착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배아와 자궁내막세포에서 IL-1이 LIF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아 착상을 위해 IL-1과 LIF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Mutation of the invF Gene Encoding a Salmonella Pathogenicity Island 1 (SPI1) Activator Increases Expression of the SPI2 Gene, sseA (Salmonella Pathogenicity Island 1(SPI1)의 발현조절 유전자 invF의 변이가 SPI2 유전자(sseA)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 Han, Ah-Reum;Joe, Min-Ho;Kim, Dong-Ho;Baik, Sang-Ho;Lim, Sang-Yong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40 no.1
    • /
    • pp.70-75
    • /
    • 2012
  • In Salmonella enterica, many genes encoded within Salmonella pathogenicity islands (SPI) 1 and 2 are required to cause a range of diseases in a variety of hosts. The SPI1-encoded regulator HilD activates both the SPI1 and 2 genes at different times during growth in Luria-Bertani (LB) media.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levels of hilD during growth in LB were investigated. The data suggest that hilD expression is induced in the early stationary phase and decreases in the late stationary phase, when sseA, an SPI2 gene, is maximally expressed. However, HilD could act as an activator of sseA expression in the late stationary phase despite being present at low levels. SseA expression was investigated in SPI1 regulator mutant strains, hilA, hilD and invF mutants. As expected, hilD mutation decreased sseA expression. However, we found that invF mutation caused a 1.5-fold increase in sseA expression in not only LB but also M9 minimal media, which is thought to resemble an intracellular environment. InvF overexpression restored sseA expression to wild-type levels in an invF mutant but did not cause an additional reduction in sseA 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I1 controls SPI2 expression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Expression of Antibacterial Protein, Nuecin, Using Baculorivus Expression Vector System in Bm5 Insect Cell and Bombyx mori (누에 배양세포(Bm5) 및 생체에서 베큘로바이러스 발현계를 이용한 누에신 단백질 발현 특성)

  • 윤은영;구태원;황재삼;김상현;강석우;김근영;진병래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44 no.2
    • /
    • pp.69-73
    • /
    • 2002
  • For the practical use of nuecin protein, we tried to overexpress nuecin using Bm5 insect cell and Bombyx mori. We inserted nuecin cDNA into pBm10po1-Xa vector derived from B. mori nuclear polyhedrosis virus (BmNPV), and expressed in Bm5 cells and B. mori respectively. SDS-PAGE and Northern blot analysis showed an expressed of the protein when baculovirus expression vector system (BEVS) was used. The amount of intracellular protein is abundant, but the amount of extracellular protein is poo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biologically active nuecin protein produced by using BEVS is poor because incresed level of misfolded nuecin by the strong promoter, polyhedrin and p 10 of BEVS, decrease the level of free chaperons and foldases by binding with them.

7,12-Dimethylbenz(a)anthracene에 의한 흰주 골모세포유사세포의 악성형질전환과 특성에 관한 연구

  • Lee, J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7 no.7 s.362
    • /
    • pp.517-529
    • /
    • 1999
  • 본 연구는 태령 19일된 백서 태자 두 개관에서 분리한 골모세포유사세포에 화학발암물질인 7,12-Dimethylbenz(a)anthracene (DMBA: 0.5 ㎍/ml) 및 tumor promotor인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PA; 1.0 ㎍/ml)를 단독 혹은 복합 처리하여 PTRCC-DMBA, RCC-DMBA 및 RCC-DMBA-TPA 세포주를 확립시키고, 각 세포의 세포형태, 세포성장곡선, alkaline phosphatase와 acid phosphatase 활성 및 in vitro tumorigenicity를 연구하였다. 또한 c-myc, c-랜, c-jun, p53 및 Rb 유전자의 발현변화와 항암단백질인 p53 및 pRb 단백질의 발현변화를 관찰하여 골모세포유사세포가 악성형질전환되는 분자기전의 일단을 연구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모든 세포군에서 높은 aikaline phosphatase 활성과 낮은 acid phosphatase/alkaline phosphatase ratio를 보여 골모세포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RCC-DMBA와 RCC-DMBA-TPA 세포는 정상세포나 PTRCC-DMBA에 비해 빠른 성장속도를 보였으며, 또한 SOFT AGAR상에서 colony를 형성하여 anchorage-independent growth를 나타내었다. 화학발암 물질로 악성변형된 세포들은 정상세포나 PTRCC-DMBA 세포에 비해 c-myc 유전자의 과발현이 관찰되었다. 정상세포에서 p53 유전자의 발현은 1.9 kb의 message만이 발현되었다. 그러나 화학발암물질로 형질전환된 세포에서는 1.9 kb message외에도 1.6 kb의 message가 더 발현되었으며, message의 양도 현저히 증가되었다. p53 단백질의 발현은 RCC-DMBA-TPA 세포에서 정상세포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RCC-DMBA 세포에서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Rb 유전자의 발현은 RCC-DMBA-TPA 세포에서만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Rb 단백질의 발현은 정상세포에 비해 형질전환된 세포들에서 모두 현저히 감소되었고, 특히 RCC-DMBA-TPA 세포에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백서 태자 두 개관에서 분리한 골모세포유사세포는 화학발암물질인 DMBA에 의해 악성형질전환이 유도되었으며, c-myc의 과발현 및 p53과 Rb 단백질의 발현감소가 정상 골모세포유사세포의 악성변형과정에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Control Mechanisms of Ovulation by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에 의한 배란 조절에 관한 연구)

  • Lee, Yu-Il;Kim, Hyoung-Choon;Kim, Mi-Young;Chun, Sang-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2 no.2
    • /
    • pp.101-111
    • /
    • 2005
  • 배 경: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 (PACAP)은 양의 시상하부에서 추출된 신경펩타이드 호르몬으로 난소에도 존재하여 배양된 과립막 세포에서 스테로이드합성과 cyclic AMP 형성을 촉진함이 보고되었다. 목 적: 흰쥐 난소를 실험 모델로 사용하여 배란시 황체화호르몬 (luteinizing hormone; LH)에 의해 유도된 PACAP과 PACAP 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양상과 신호 전달경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미성숙 흰쥐의 배란전 난포를 체외 배양하면서 LH로 처리하고 PACAP 및 PACAP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을 보기 위해서는 Northern blot 분석과 in situ hybridization (ISH)을, 그리고 단백질 수준의 PACAP 검색을 위해서는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분석을 이용하였다. 결 과: LH 처리 후 Northern blot상의 PACAP 유전자 발현은 6~9시간에 일시적으로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ISH로 보아 과립막 세포에서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ELISA 분석 상 PACAP 단백질도 LH처리 후 6~12시간에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PACAP 수용체 mRNA 역시 3~9시간에 최고치로 과립막 세포에서 발현되었다. Adenylate cyclase (AC) 억제제인 MDL12330A 처리시 LH로 발현된 PACAP mRNA가 감소되며, AC의 활성제인 forskolin 처리에는 LH시와 유사한 PACAP mRNA의 발현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protein kinase C (PKC)의 억제제인 chelerythrine과 2-0-tetradecanolphorbol-13-acetate (TPA) 처리로는 PACAP 의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5-lipoxygenase의 억제제인 MK886이나 nordihydroguaiaretic acid (NDGA)로 처리한 결과 LH로 유도된 PACAP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되었으나, cyclooxygenase의 억제제인 indomethacin은 별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MEK와 p38의 억제제인 PD98059와 SB203580도 LH로 촉진 된 PACAP의 유전자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결 론 : 배란전 난포에서 PACAP과 PACAP 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은 모두 LH의 폭발적 분비에 의해 유도되어 일시적으로 과립막 세포에서 나타나 배란을 위한 국소적인 조절 작용을 할 것으로 추정되며, LH로 촉진된 PACAP 유전자 발현을 위한 신호전달은 cAMP-PKA, lipoxygenase 및 MAP kinase 경로를 통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