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해 고분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5초

배전용 폴리머 피뢰기의 장기 신뢰성 평가 (Long-term reliability assessment of polymer housing distribution lightning arrester)

  • 김주용;송일근;정종욱;이동영;박대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753-1755
    • /
    • 2001
  • 최근 전력설비의 절연을 위해 고분자 재질의 절연물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분자 재료는 현재까지 주로 사용되어 온 세라믹 재질과는 달리 환경에 의한 열화를 동반하게 된다. 최근에 현장에 적용되기 시작한 고분자 재질의 절연물에 대한 장기 열화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들이 다수 진행되고 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피뢰기의 경우에도 기존의 세라믹 애관을 고분자 재질의 애관으로 대체하기 시작하여 일부 제품들이 현장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장기신뢰성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제작되어 현장사용중인 폴리머 피뢰기를 발취하여 사용기간중 성능상의 변화를 분석하고 가속열화시험을 통해 성능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 PDF

154kV 고분자 애자의 장기 성능평가 (Evaluation of Long Term Performance of 154kV Polymer Insulators)

  • 임윤석;원경배;이상윤;최인혁;신구용;안호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547-54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한국전력공사에서 장기열화 시험을 수행한 154kV 고분자애자의 성능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1999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전력공사154kV 송전선로에 시범 설치한 고분자애자의 주간코로나, 열화상 측정을 시행하고 제조회사/규격별 각 24련을 발취하여 총 168련에 대하여 한전 표준구매 규격에 따른 각종 시험을 수행하고 현 성능상태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잔존 수명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애자가 양호한 성능을 보이고 있으나 일부 애자에서는 부적합 결과를 보였으며 수명의 경우, 초기 품질계수 정보 부족 및 중간열화 상태의 데이터 부족으로 정확한 잔존수명 예측 데이터를 얻기에는 부족했으며 추가적인 가속열화시험 등의 데이터를 확보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용해(龍海) 발해 왕실고분 출토 유물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ostume Relics Excavated from Royal Family's Ancient Tombs of Balhae at the Runghai Sites)

  • 전현실;강순제
    • 복식
    • /
    • 제61권10호
    • /
    • pp.72-88
    • /
    • 2011
  • This study is about the costume relics that were excavated from M10 of the 6th site, M13 and M14 of the 8th site among all the Runghai(龍海) ancient tomb sites that were known as the royal family's tombs of Balhae, which were built from the late 8th century to the early 9th century. These costume relics were also introduced in the academic journal of Chinese archaeology(考古) 6 in 2009. The summary of the results that focused on finding features of the costume relics and its meaning were as follows: 1. Male and female statues, both of which were excavated from the Runghai ancient tomb sites, had the shape and composition of the government official's costumes such as the Danryeong(團領), Bokdu, and Gwadae. The female's hairstyle and accessories were quite similar to other costume relics of Balhae. In particular, the male statues wearing the Danryeong and Bokdu were considered as the normal figures of government officials of Balhaeafter the mid 8th century. 2. The female statue wearing the male attire is considered as a maid, and we can confirm that women dressing up like a man was a popular trend in Tang(唐), and this trend was introduced to Balhae. 3. The back flap(垂脚) of Bokdu that the male statue is wearing in M10 of the 6th site, has a shape that has not been found in the ancient relics of both Balhae and Tang. Therefore, it is considered as a unique shape of Bokdu of Balhae. However, it needs to be observed more and discussed in the future. 4. In regards to the Gwadae, the outside of the Gwadae is decorated with jade and has an embossed carving that is gold inside. The Gwadae of the Runghaisites has a unique design and i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ancient relics. 5. The gold trefoil crown and the leather conical hat that were found in M14 of the 8th site can be seen as the basic composition of official's hats in ancient Korea. Also, the motif of the gold trefoil is closely related to Anthemion that is often seen in the relics of the Three Kingdom period. Thus, we can assume according to this important finding that the style of ancient Korea official's hats came from either the king or a royal family of Balhae after the mid 8th century.

졸-겔법을 이용한 PET섬유의 발수.방오.발유 특성 (Water repellent, Antisoil, Oil repellent Properties of PET fabric Using Sol-Gel Method)

  • 권일준;박성민;김지연;김창남;염정현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8년도 제39차 학술발표회
    • /
    • pp.123-124
    • /
    • 2008
  • 본 연구는 $TiO_2$ 졸을 제조한 후 폴리에스테르 표준백포에 1차로 패딩한 후 불소고분자의 탄소수가 6개인 플르오르 실란계 발수제(UNIDYNE TG-5521, DAIKIN)를 2차로 패딩하여 그에 따른 발수성과 방오성, 발유성 향상에 관한 연구이다.

  • PDF

불소화알콜의 에스텔화 막반응기를 위한 새로운 PVA막의 제조와 투과증발특성 (Preparation of novel PVA membranes and their pervaporation properties for esterification membrane reactor of TFEMA)

  • 안상만;장봉준;김정훈;이수복;이용택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2004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56-159
    • /
    • 2004
  • TFEMA(2,2,2-trifluoroethylmethacrylate)는 광섬유 코팅제, 발수 발유제, 기능성 페인트, 방오가공제, 고분자의 표면개질제 등의 많은 응용제품에 활용되는 단량체로 그 시장규모가 국내에서 600억원, 전 세계에서 8,000억에 해당하는 고부가가치의 화학원료이다. TFEMA는 현재 산촉매하의 8.$0^{\circ}C$의 고온에서 TFEA(2,2,2-trifluoroethaol)와 MA(methacrylic acid)와의 에스텔화 반응으로 제조된다.(중략)

  • PDF

효소식품:미생물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의 개발현황과 전망

  • 김일천
    • 미생물과산업
    • /
    • 제19권3호
    • /
    • pp.38-40
    • /
    • 1993
  • 효소는 일반적으로 건전한 생체에서는 원형질에서 충분히 생성되어진다. 또한 미생물의 배양조건을 달리하던가 씨앗의 발아 시기와 같이 생체가 특수한 상황일 때에는 급격히 증가하기도 한다. 이러한 효소는 주로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대부분의 아미노산이 peptide 결합을 하고 있는 고분자 화합물로서 효소의 종류에 따라 특정한 반응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기질특이성을 가지고 있다. 효소를 이용한 건강식품으로는 체내 과산화지질의 분해를 촉진하는 SOD(superoxide dismutase), 활성 산소나 과산화수소 등의 체외 배출을 돕는 글루타치온 생성효소를 이용한 제품 외에 야채의 미생물 발효를 통하여 미생물 자체나 효소를 이용하는 과채발효 음료 등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특별히 미생물 유래의 효소를 이용한 분말형 효소 제품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발해 묘지(墓誌) 양식의 형성배경과 영향 (The study on the formation and influence about the epigraph form the Bal-Hae Dynasty)

  • 박재복
    • 동양고전연구
    • /
    • 제34호
    • /
    • pp.225-255
    • /
    • 2009
  • 본고에서는 정혜(貞惠) 정효(貞孝)공주의 묘지(墓誌)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발해 묘지 양식의 형성 배경과 특징 그리고 후대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발해의 묘지 양식은 다음과 같은 고고학적인 특징과 역사적인 의의를 지니고 있다. 첫째, 발해의 묘지는 규형(圭形)의 비갈(碑碣) 형태를 띠고 있는데, 규형으로 된 비(碑)는 동한(東漢) 시대에 처음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위진(魏晉) 시대에 이르러 무덤 앞에 묘비 세우는 것을 엄격하게 규제함에 따라 무덤 안에 규모가 작은 비갈 형태의 묘지가 출현하였다. 그러나 출토된 발해의 묘지 2점은 동시대의 당나라나 통일 신라의 그것과는 달리 규형의 비갈 양식을 띠고 있다. 이는 위진 남북조 시기의 비갈 양식이 고구려에 영향을 끼쳤고 다시 고구려의 비갈 양식이 고분벽화와 함께 발해의 묘지 제작 방식에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인근 왕조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발해는 스스로의 독특한 묘지 양식을 발전시켜왔다. 발해의 묘지 형태는 전형적인 규형(5각형)에서 뾰족한 윗부분을 다시 반으로 나누고 가로로 윗부분을 잘라 내어 사다리꼴의 변형된 규형(6각형)으로 변화 되었는데, 이는 이전과 동시대의 주변국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고유한 양식이다. 셋째, 정혜공주묘지 정면의 테두리선과 문양도 새롭게 등장하는 양식으로, 발해의 묘지에서는 미학적인 기준이 중요하게 고려되었던 듯하다. 정혜공주의 묘지는 우선 비 몸돌의 정면에 실선을 새겨 넣어 장방형의 몸체와 사다리꼴의 이수(?首) 부분으로 구분하고, 다시 사면의 가장자리에서 두 선을 긋고 그 사이에 식물의 덩굴문양을 새겼으며, 윗부분의 사다리꼴 안에는 꽃문양을 새겨 넣음으로써 한층 화려한 모습을 보인다. 넷째, 발해의 묘지 양식은 인근 지역에 성립된 후대 왕조의 묘지 양식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발해의 영향을 받은 고려는 물론 요, 송, 금, 원 등의 묘지에서도 발해묘지 양식의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다.

함경북도 화대군 금성리 발해 벽화 고분의 복식 (A Study on the Costume of Kumseong-li Fresco, North Korea)

  • 김민지
    • 복식
    • /
    • 제57권9호
    • /
    • pp.16-31
    • /
    • 2007
  • This study is about the costume depicted upon the fraction of fresco which was excavated from Kumseong-li, Hwadae-Gun, Hamkyungbuk-Do, North Korea in 2004.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ts relics, this tomb was reported to belong to Parhae Dynasty(698-926). The fraction of fresco only shows below part of the knees of a man. A light red colored robe reaches down to his ankles on the back, whereas front part of it looks tucked up, which is likely to have slits on both side seams. Although tightly wrapped shins were reported as a pair of gaiters, there is no decisive evidence on the fresco. I suggest another possibility that this man wore slim pants. Also in order to figure out if these shins are considered as gaiters, I proceed comparative research on the historical sources about gaiters of countries and eras adjacent to Parhae. Consequently the idea that people of Parhae might have used gaiters turned out to be acceptable. The black boots show rather basic style: the toe tips are not pointed up, boot leg doesn't look either wide or long. These boots can not be identified with Ammohwa(暗摸靴) which the envoy Yang(楊) gave the protocol Miyakoyoshika(都良香) at his official visit to Japan, because Ammohwa has not yet been properly defined.

얇은 필름 형태의 알파선 측정용 ZnS(Ag) 섬광 검출소재 제조 연구 (Study on preparation of a thin film type of ZnS(Ag) scintillator sheet for alpha-ray detection)

  • 서범경;정연희;김계홍;이근우;정종헌;한명진
    • 분석과학
    • /
    • 제19권5호
    • /
    • pp.389-393
    • /
    • 2006
  • ZnS(Ag) 섬광체와 광전자증배관(PMT)으로 구성된 검출기는 원자력시설에서 알파선 측정용 장치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검출기는 대부분이 분말 상태의 ZnS(Ag) 섬광체를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 위에 얇게 발라서 제조한다. 본 연구에서는 간단한 방법을 이용하여 ZnS(Ag) 섬광 검출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건을 확립하였다. 검출소재는 지지체 고분자 필름과 ZnS(Ag) 섬광층로 구성된 이중구조로 제조하였으며, 지지체 필름은 고분자 소재를 녹인 후 casting 방법으로 제조하였고, ZnS(Ag) 섬광층은 접착제에 ZnS(Ag) 분말을 첨가하여 screen printing 기법으로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제조공정을 이용하여 다양한 소재에 대한 평가 결과, 지지체 필름의 고분자 소재로서는 PSf이 가장 우수하였고, 접착제로서는 cyano resin이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조한 섬광 검출소재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와 섬광체로서의 우수한 투명도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알파선 검출 성능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