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전시설물

Search Result 27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해양시설물용 하이브리드 전력생산시스템 기술 개발

  • O, Ji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78-280
    • /
    • 2011
  •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위해 해양시설물이 운용된다. 대부분의 해양시설물은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독립전원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해양시설물 내부에 통신장비와 제어시스템이 늘어나 전력소모가 증가되었다. 따라서 늘어난 수요전력을 충족하기 위하여 태양광 발전과 파력 발전, 풍력 발전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력생산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ower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Buoy System for Ocean Facilities (해상용 브이 시스템의 발전 특성에 관한 연구)

  • Jo, Kwan-Jun;Bae, Soo-Young;Kwak, Jun-Ho;Jung, Sung-Young;Oh, Ji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9.06a
    • /
    • pp.502-503
    • /
    • 2009
  • 해상용 브이 시스템은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필요하다. 현재 해양시설물은 독립적인 전력 시스템을 위해 태양광 발전을 많이 이용한다. 태양광 발전은 많은 분야에 쓰이고 있지만, 해상에서는 육상에서 만큼의 효율을 갖지 못한다. 또한, 날씨가 흐리거나 밤에는 발전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발전량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파력 발전과 태양광 발전을 함께 사용하여 복합발전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논문은 복합 발전 시스템을 통해 해상용 브이 시스템에 안정적인 전력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태양광 발전과 파력 발전이 상호 보완적임을 증명하였고, 해양 시설물에 복합 발전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Facility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Asset Management System for Power Generation Structures (발전구조물의 자산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설물분류체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Jeon, Seokhyeon;Jeong, Jeongsik;Ahn, Jinhee;Kim, Changha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0 no.2
    • /
    • pp.113-118
    • /
    • 2019
  • Recently, the maintenance concept of infrastructure has been changed from the stability management of the structure determined by the safety inspection of the existing facilities to the asset management related to evaluating and managing the performance of the facilities. For management of the property of the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classify their information for the maintenance and service level of the facilities and to manage them. In the case of power plant facility, especially, it is a complex structure, which is constructed in a various component and detail. In this study, therefore, the components of power plant facility were classified into facilities, spaces, parts, and elements considering the type of integrated construction classification system in Korea. To reflect the deterioration rate of the facility in accordance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airborne salt and humidity etc., it was classified by adding direction, interior, and exterior condition of each component not to be considered in the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 for its effective and systematic maintenance, since it is generally located in the coastal area due to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structure. The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of the computer system for asset management of power plant facility.

An Analysis on the Storage of Water Facilities in North Korea (북한 수리 시설물의 저수량 분석)

  • Ahn, Jaehyun;Jo, Ji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68-268
    • /
    • 2016
  • 우리가 알고 있는 북한 수리 시설물들의 용량은 대부분 일제 시기의 자료나 북한과 국제기구에서 발행하는 간행물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발전용량 및 저수용량은 기존 자료와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 수리 시설물들의 저수량을 재산정하고, 이를 추후 각종 조사 및 분석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지역의 위성자료와 DEM(Digital Elevation Model) 자료를 수집 및 활용하였다. 북한지역의 DEM은 격자 크기 $100m{\times}100m$로 분석하였다. 북한 수리 시설물의 저수량 파악을 위해 Global Mapper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DEM과 위성자료를 입력해서 분석하였다. 선정된 수리 시설물에 대한 유역경계를 설정하고, 수면표고별 저수면적 및 저수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통해 Hypsometric Curve와 수면표고-저수면적-저수량 곡선을 작성하였으며, 해당 시설물의 저수량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북한 금야강발전소의 저수량을 산정한 결과 약 19억7천만$m^3$으로 나타났다. 금야강발전소의 높이는 약 90m, 발전용량은 18만kW 정도이고, 우리나라 소양강댐의 높이가 123m, 발전용량이 20만kW일때 총 저수용량이 29억$m^3$인 점을 감안하면 적절한 산정결과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성과는 추후 북한의 분석 가능한 수력발전소들의 실제 저수용량을 계산하며, 주요 지점별로 개발 가능한 저수량을 산정해서 각종 개발사업 계획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design of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for Ocean facilities (해양시설물용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설계)

  • Jung, Sung-Young;Oh, Jin-Seok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3 no.6
    • /
    • pp.381-385
    • /
    • 2009
  • Generally power system of ocean facility composes a solar generation system.The power to be generated by the solar system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unlight of weather conditions. Output power of solar system is decreased with weather condition such as cloudy day and rainy day. And the power shortage of the ocean facility can occur due to the lack of solar energy.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the power control system for solar-wave hybrid system Wave generation system consists of wells turbine and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generator(PMSG). This propose system set the specific area and measures the solar generation power and wave generation power. As a result of experiment, the solar power is a more static source than wave power, but the wave power provides energy during periods of no sunshine. The power characteristic of propose hybrid system have been obtained high reliability than a solar generation system.

A study on solar-wind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태양광 및 풍력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에 관한 연구)

  • Oh, Jin-Seok;Jo, Kwan-Ju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3 no.8
    • /
    • pp.1226-1231
    • /
    • 2009
  • In this paper, a solar-wind hybrid system is decsribed for Stand-Alone(SA) power generation system. Mostly SA power generation system for ocean facilities composes a solar system. Normally, the output power of solar system is decreased with weather condition as cloudy and rainy. Solar-wind hybrid system can be operated as complement system each other.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 simulation of solar and wind is performed by LabVIEW. The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is designed according to simulation results, and is tested for checking the complement characteristic.

Development of Small Wave Power Controller for Ocean Facilities (해양 시설물용 소형 파력발전 전력제어기 개발)

  • Jo, Kwan-Jun;Oh, Jin-Seok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5 no.6
    • /
    • pp.835-841
    • /
    • 2011
  • Wave power generation systems operated in the ocean, has been developed as large power and grid power connection systems in general. However, small wave power generation systems offer operational efficiency for the lighted (navigation aids) buoy. They simply adopts a full-wave rectification for charging battery (direct connection method). In this paper, a wave power controller based on a booster converter is developed by considering a characteristic of the wells turbine. Both direct connection and booster converter power controller is designed and test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Experiments demonstrate that the output of the proposed controller has improved the characteristic of output power, when generator output voltage is low.

파의 유동을 이용한 등부표용 Motion Generator 연구 개발

  • Yang, Seong-Sik;Kim, Ji-Yeong;Jeong, Hae-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147-149
    • /
    • 2018
  • 파력발전은 파도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 방식을 사용하여 무한한 에너지원으로 친환경적이다. 기존에 있는 파력발전기는 대체적으로 큰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며 이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큰 시설물과 대형 발전기 등이 중심이 되어있다. 항로표지와 같은 해양안전유도시설은 비교적 큰 에너지 보다는 적은 에너지원을 필요로 하기에 기존의 파력에너지와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는다. 별도의 시설물 없이 작은 파도에서도 위치의 변화에 따라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방식의 Motion Generator를 연구하였다.

  • PDF

Classification and Water Supply Capacity Evaluation of Hydropower Dams: A Case Study of North-Han River Basin (발전용댐의 유형구분 및 용수공급능력 산정 방안: 북한강수계 발전용댐을 중심으로)

  • Choi, Jeongwook;Jeong, Gimoon;Kang, Doosun;Ahn, Jeonghwan;Kim, Tae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08-108
    • /
    • 2021
  • 최근 국내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지역별·계절별 강수편차가 커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상습가뭄지역(충남 서부, 경기 남부, 전라 등)의 가뭄 피해가 확대되는 등 수자원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협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14-2015년 발생한 가뭄으로 인해 충남·경기지역 일부에서 수 개월간 생·공용수 공급이 제한된 바 있다. 기후변화에 대비한 국내 수자원의 추가 확보 및 효율적인 활용 방안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신규 수공시설물(댐, 저수지 등)을 건설하기 힘든 국내 개발 여건상 기존 수공시설물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기존 댐의 용수공급 능력을 재평가하거나, 댐·보 시설물의 연계운영을 통한 용수공급능력의 분석은 대부분 다목적댐 및 용수공급댐을 대상으로 수행되어 왔으며, 발전용댐을 활용한 용수공급능력 평가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최신화된 데이터 및 발전용댐 특성을 고려한 객관적인 평가방법을 통해 발전용댐의 용수공급능력을 새롭게 평가할 필요가 있다. 당초 수력발전이라는 단일목적으로 건설된 발전용댐은 다목적댐 대비 구조적 특성과 운영 측면에서 상이한 부분이 많아, 용수공급능력 평가 시 발전용댐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발전용댐의 구조 및 운영특성을 고려하여 발전용댐 별 유형(저류형 및 비저류형)을 구분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발전용댐 유형별 용수공급능력 산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북한강수계에 위치한 발전용댐에 적용하여 정량적인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연구가 미흡하였던 발전용댐을 대상으로 댐 이수능력을 검토하였으며, 향후 국가 수자원 계획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Study on Sensor based Service Model of Traffic Facilities (센서 기반의 교통시설물 서비스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Lee, Yong-Joo;Kim, Jy-So;Chang, Hoon;Jeong, Jin-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6 no.4
    • /
    • pp.415-42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ensor based service model for traffic facilities in u-City through analysing the present condition of urban infrastructure, especially traffic facilities manage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did a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 of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and classified service for traffic facilities to 3 categories, namely traffic flow management, traffic information offering, formation of road structure. Also, we examined technological trend of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Through this process, we present a sensor based service model of traffic facilities for building sustainable road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