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육단계별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9초

유소년 운동능력 발달을 위한 피트니스 관리 시스템 (Fitness Management System for the Enhancement of Exercise Capability in Youth)

  • 허명현;김동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30-632
    • /
    • 2019
  • 정부는 IT기술을 활용하여 국민의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체력 상태 측정 및 평가를 제공하는 체육복지 서비스가 수행하고 있다. 특히, 모든 성장발육발달이 이루어지는 유소년기는 성인의 생활체육과는 그 중요성이나 효과의 측면에서 다르게 다루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골연령에 따른 발육단계별 체력을 분석하여 유소년들에게 적합한 신체활동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피지컬 피트니스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골연령 평가를 위한 영상처리기술은 한국형 골연령 측정의 정확도를 높여주고, 유소년들에게 적합한 피트니스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온도별 구리금파리(Lucilia sericata)의 발육 (Development of the Greenbottle Blowfly, Lucilia sericata,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 김현철;김수정;윤지은;조태호;최병렬;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41-145
    • /
    • 2007
  • Maggot therapy는 1900년대 초부터 압박성 욕창, 당뇨나 괴사에 의한 궤양, 수술 후 감염된 상처, 화상 등의 상처치료에 다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환부에 처리할 적절한 발육단계의 무균유충을 생산하고, 증식 보존용 계통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온도별(15.4, 20.6, 22.5, 26.2, 29.1, $33.0^{\circ}C$) 발육실험을 수행하였다. 간배지(liver agar medium)에서 알기간과 1령 및 2령 기간은 $33.0^{\circ}C$에서 각각 9.0시간, 14.0시간, 18.6시간으로 가장 짧았다. 3령 기간과 번데기 기간은 $29.1^{\circ}C$에서 각각 285.0시간과 171.0시간으로 가장 짧았다. 온도별 발육기간을 기초로 각 발육단계의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를 산출하였다. 암수 성충은 대개 1개월 이상 생존하였고, 암컷은 일평생 2.7회 산란하였으며, 총 338.5개의 알을 낳았다.

면역황금표식법을 이용한 폐흡충의 발육단계별 충체조직내 항원성 부위에 관한 연구 (Antigenic localities in the tissues of Payagonimus westermani by developmental stages using immunogoldlabeling method)

  • 임한종;김수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1호
    • /
    • pp.1-14
    • /
    • 1992
  •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이 숙주의 폐조직 내에서 성숙하는 동안 숙주에게 항체생성을 유도하는 물질의 폐흡충 충체조직내 분포하는 부위와 성숙하는 동안 숙주가 생성하는 항체의 면역반응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폐흡충 피낭유충을 실험고양이에 감염시키고 발육단계 별 충체와 면역항체를 얻어 조직항원과 면역항체를 반응시켜 환금입자를 표지하였다. 황금입자가 표지된 조직 항원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황금입자의 밀도에 따라 조직성분의 항원성을 측정한 결과 감염군 면역항체를 반응시킨 경우 숙주체내에서 4 주 동안 성숙한 유약성충 조직항원은 표피충의 표피합포체에 높은 밀도의 황금입자가 표지되어 항원성이 강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8 주 이상 성숙한 충체부터 조직항원은 표피충에 환금 입자의 표지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12 주 이상 성숙한 충체 표피층은 항원성이 미약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12 주 이상 성숙한 충체는 난황세포의 구성물질들에 각각 항원성이 특이하게 나타나며 유연조직의 분비과립과 맹관 그리고 배설낭의 구성 물질들은 충체의 성숙정도에 상관없이 항원성을 포함하고, 숙주가 생성하는 항체는 감염 후 12 주부터 16 주사이에 항체생성이 극대 화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요충 초기 발육단계에 대한 구충제의 효과 (Effect of anthelmintics on the early stage of Enterobius vermicularis)

  • 조승열;강신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7-17
    • /
    • 1985
  • 이 실험의 목적은 요충감염에 있어 감염 일자별 충체의 구충제 감수성, 특히 초기단계 충체의 감수성을 관찰하는 것이다. 이와함께 각 감염 일자별로 배출되는 충체의 발육상태를 관찰하여 감염기간별 발육 양상을 관찰하는 것도 이 실험의 또 다른 목적이다. 경기도 안양시 소재보육원 원아에서 살아있는 요중 암놈을 수집, 충란을 분리하고 부란기에서 3∼5일이 경과하여 유충이 형성된 충란을 약 500개섹 세었다. 이 실험의 대상으로 자원한 남자 19명 (17∼45세)에게 세어 놓은 충란을 투여하였다. 감염자는 '절란텍"치료군, "메벤다졸"치료군 및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각 치료군에 대해서는 감염후 4일, 8일, 16일, 20일, 24일, 28일, 32일 및 35일에 각 구충제를 투여하였다. 실험감염후 40일째 되는 날 대조군을 포함한 대상자 모두에게 '지르비늄"을 투여하여 감염을 완전히 중단시켰다. 카 약제 투여 후에는 그후 3일간의 대변을 수집하고 배출되는 요충충체를 수집하였다. 그 숫자를 세고, 충체의 발육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 실험에서 감염율은 대조군에서 0.6∼13. l%이었다. 감염 일자별로 수집한 충체의 발육단계가 모두 일정한 단계의 범위안에 있어 이번 실험에서 얻은 충체는 모두 실험감염의 결과 감염되어 발육한 충체라고 판단하였다. 2. "메벤다졸"을 감염후 4일, 8일, 16일에 투여한 예에서는 대조군에서 배출한 충체수의 37.5%, 2.5%, 및 67.5%가 40일째에 배출되 었다. 그 이후에 투약한 예에서는 투약 직후에는 충체가 배출되 었으나 감염 40일째에 투약한 후에는 충체배출을 하지 않았다. 3. '지란텔"을 감염후 4일, 8일, 16일, 24일, 28일, 32일 및 35일에 투여한 예에서는 대조군에서 배출한 충체수 의 90.7%, 25%, 45.5%, 8%, 2.7%, 5% 및 29.3%를 배출하고 있었다. 4. 배출된 충체는 모두 암놈이 었다. 충체의 길이는 일자별로 20일에서 40일째까지 일정한 양상으로 발육하고 있었고, 각 일자별, 증례별로 충체 길이는 정규분포 형식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이상의 소견에서 요충 암놈의 인체내 발육기간은 40일 이상이고 감염후 16일째까지의 어린 충체는"메벤다졸"이 나 "피란텔"에 대해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치료에 저항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PDF

갈색날개매미충의 발육단계별 기주선호성 (Host Preference of Ricania spp. (Hemiptera: Ricaniidae)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 최용석;서화영;조신혁;황인수;이영수;박덕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19-329
    • /
    • 2017
  • 갈색날개매미충은 발육단계별로 선호하는 기주에 차이가 있었다. 약충기간에는 수목류에 서식하기 보다는 바람과 비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진 약충들이 1년생 초종부터 관목류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식물체를 섭식하였으며 특히 공주시 팔봉산 산림 속의 경우 노린재나무, 노박덩굴, 화살나무, 엄나무, 두릅나무, 때죽나무, 멍석딸기, 복분자, 산딸기, 상수리나무, 산수유, 싸리나무, 자귀나무, 조록싸리, 철쭉, 영산홍을 선호하였다. 성충 출현 이후 홍성군 용봉산 조사에서 산란전기간의 성충은 주로 해바라기, 달맞이꽃, 까마중을 가장 선호하였고 산란기에 접어 들면서 이들 해바라기, 달맞이꽃, 까마중 같은 1년생 초종에서의 거의 볼 수 없었고 대부분은 산란을 위하여 수목류나 관목류의 목본류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공주시 팔봉산 조사에서 산란기주는 주로 병꽃나무, 가죽나무, 갈참나무, 개모시, 고욤나무, 대추나무, 때죽나무, 매실나무, 벚나무, 조팝나무, 산딸기, 버드나무, 산철쭉, 층층나무 였다. 갈색날개매미충의 산란정도, 산란수, 성충수는 산림 속 음지보다는 양지에서 월등히 밀도가 높았으며 산란정도와 산란수의 경우 고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성충수는 고도가 낮을수록 발생량이 많았다. 본 결과는 갈색날개매미충의 발육단계별 선호기주에 관한 보고로서 특정 시기에 선호하기는 기주를 선발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추후 갈색날개매미충 유인트랩식물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발육단계(發育段階)에 따른 잣나무 자엽내(子葉內) 수지구(樹脂溝)의 위치(位置)와 수(數)의 변화(變化) (Position and Variation of Resin Canal Numbers of Cotyledon in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at Different Growing Stages)

  • 이강영;임경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3-48
    • /
    • 1972
  • 잣나무 치묘(稚苗)의 제특성(諸特性)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자엽(子葉)의 횡단면상(橫斷面上)에 나타나는 수지구수(樹脂溝數)를 발육(發育)단계 따른 변화상태(變化狀態)와 횡단면상(橫斷面上)의 제형질(諸形質)과의 관계(關係)를 알고자 본실험(本實驗)을 수행(遂行)하였든바 그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잣나무 자엽(子葉)의 수지구(樹脂溝)는 포장(圃場)에서 발아(發芽)되기전(前)의 자엽(子葉)과 발아후(發芽後) 1~2주(週)까지는 형성(形成)되지않고 발아후(發芽後) 1개월(個月)이 경과한 6월경(月頃)부터 형성(形成)되기 시작하여 9월경(月頃)에는 그 수(數)가 평균(平均) 3.26으로 최고치(最高値)에 달(達)하고 그 이후(以後)에는 증가(增加)되지 않었다. 2. 자엽(子葉)에 있어서 수지구(樹脂溝) 위치(位置)는 외위(外位)로서 본엽(本葉)이 중위(中位)인데 비(比)하여 다른 특성(特性)을 보였으며 수지구수(樹脂溝數)는 엽당(葉當) 1~5개(個)이다. 3. 발육단계(發育段階)와 수지구수(樹脂溝數), 엽후(葉厚), 엽단면적(葉斷面積) 간(間)에는 높은 상관(相關)을 보였고 수지구수(樹脂溝數)와 엽폭(葉幅), 단면적(斷面積) 간(間)에서도 고도(高度)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다. 4. 치묘(稚苗)의 자엽수(子葉數)와 수지구수(樹脂溝數) 사이에는 유의차(有意差)는 없었다. 이상(以上)에서 잣나무 자엽(子葉)의 수지구수(樹脂溝數)는 발육(發育)경과에 따라 증가(增加)되고 엽폭(葉幅)과 단면적(斷面積)도 높은 상관(相關)에 있는 결과(結果)는 주목(注目)된다.

  • PDF

쥐와포자충에서 acin과 tropomyosin의 분포 (Distribution of actin and tropomyosin in Cryptosporidium muris)

  • Jae-Ran YU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4호
    • /
    • pp.227-234
    • /
    • 1998
  • 쥐와포자충의 운동에 관여하는 구조에 대하여 다른 구충류에서와 마찬가지로 알려진 바가 없다. 이 연구에서는 쥐와포자충에서 microfilament와 그 결합단백질의 분포를 관찰하여 이 기생충의 운동기전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Actin의 분포를 보기 위해 두 종류의 actin, 즉 닭 골격근과 평활근의 actin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였고, tropomyosin의 관찰을 위해서는 닭 골격근의 tropomyosin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황금표지법으로 관찰하였다. 관찰된 모든 발육단계의 쥐와포자충이 actin과 tropomyosin을 가지고 있었는데 두 종류의 actin은 서로 다른 부위에서 관찰되었다. 즉, 골격근에 대한 항체는 주로 세포질과 세포막 구조에 표지되었고, 평활근에 대한 항체는 feeder organelle과 숙주세포 사이의 섬유질 구조 (filamentous cytoplasm)에 주로 표지되어 서로 다른 actin이 상이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포 위치로 미루어 볼 때 골격근형 actin은 기생충의 세포질 내 여러 가지 현상에, 평활근형 actin은 쥐와포자충과 숙주세포 부착을 유지시키는데 주요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Tropomyosin은 쥐와포자충 모든 발육단계에서 관찰되었는데 세포막에 주로 분포하였고 세포질 내의 소공포 (vacuole) 막 주위 및 핵 주위에서도 관찰되었다. Tropomyosin은 쥐와포자충의 발육단계가 변함에 따라 끊임없이 분포를 달리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막구조에 다수 분포하므로 항원으로서 숙주세포를 자극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

돼지수정란의 체외발육에 있어서 Growth Factors와 Hexoses의 영향 (Effects of Growth Factors and Hexoses on In Vitro Development in Porcine Embryos)

  • 윤선영;이상영;정희태;양부근;김정익;박춘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9-258
    • /
    • 2003
  • 본 연구는 돼지 미성숙 난자를 체외에서 성숙, 수정시킨 뒤, 체외 수정란의 배양 시 성장인자와 6탄당의 첨가에 따른 체외 발육율을 검토하였다. 체외수정란의 발육을 위한 기본 배양액인 NCSU-23에 각각 0, 1, 5, 10 및 20ng/ml의 IGF-I과 EGF를 각각 첨가하여 농도의 차이에 따른 발육율을 검토하였다. 또한 5.56mM의 glucose, mannose, galactose 및 fructose에 5ng/ml의 IGF-I 또는 10ng/ml의 EGF 첨가 유, 무에 따른 초기배 발육율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6탄당에 위와 같은 농도의 IGF-I와 ECF 공동 첨가 유, 무에 따른 초기배 발육율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돼지 체외 수정란의 체외 발육 시 배양액 내에 서로 다른 농도의 IGF-I과 EGF를 첨가하였을 때 IGF-I은 5ng/ml(12%)에서, EGF는 10ng/m1(10%)의 실험구에서 가장 높은 배반포기 배의 발육율을 나타냈다. (p<0.05) 또한 각각의 6탄당과 IGF-I 또는 EGF 유, 무에 따른 초기배 발육율을 검토한 결과 IGF-I과 ECF모두 glucose 첨가시 타 첨가구에 비해 초기 발육 단계의 수정란 발육뿐만 아니라 배반포까지의 배발육(10∼11%)이 타 첨가구(3∼8%)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p<0.05) 한편, 각각의 6탄당이 첨가된 배양액 내에 ICF-I과 EGF 공동첨가 유, 무에 따른 초기배 발육율을 검토한 결과 모든 실험구에서 EGF와 IGF-I 첨가 시 무첨가보다 높은 초기배 발육율을 나타냈으며 특히 초기 분열단계 수정란에서는 발육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성장인자와 6탄당의 첨가는 돼지 수정란의 체외배양 시 초기배 배발육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체외 발육율이 타 가축에 비해 낮은 돼지의 수정란 생산에 있어 체외배양체계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복숭아혹진딧물에 기생하는 목화면충좀벌의 발육단계별 온도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t Different Performance Stages of Aphelinus varipes (Hym. Aphelinidae) Parasitizing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 최용석;황인수;박덕기;최광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43-348
    • /
    • 2012
  • 복숭아혹진딧물에 기생하는 목화면충좀벌의 발육기간, 머미율, 번데기 사망률, 성비를 20, 25, 30, $25^{\circ}C$ 인큐베이터에서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피망잎이 놓인 콤팩트샤레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4개 온도에서 발육단계별로 복숭아혹진딧물을 사육하였고 기생을 유도하기 위하여 12시간 동안 목화면충좀벌에 제공하였다. 목화면충좀벌의 알에서 성충까지 발육기간은 $20^{\circ}C$ 18.3일, $25^{\circ}C$ 14.7일, $30^{\circ}C$ 10.4일, $35^{\circ}C$ 9.3일이었다. 복숭아혹진딧물에 기생한 목화면충좀벌의 머미율은 $20^{\circ}C$$25^{\circ}C$, 1령과 2령에서 가장 높았으나 $30^{\circ}C$$25^{\circ}C$에서는 3령충에서 84.4~85.0%로 가장 높았다. 목화면충좀벌의 기주섭식률은 $20{\sim}35^{\circ}C$까지 각각 12.5%, 17.3%, 16.0%, 10.9%였다. 목화면충좀벌 암컷의 성비는 온도별로 각각 49%, 46%, 69%, 60% 였다.

까나리 발육단계에 따른 이석의 형태 변화

  • 김영혜;강용주;류동기;장대수;김용민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96-297
    • /
    • 2000
  • 어류의 이석에 나타나는 불투명대와 투명대가 교대로 형성되는 원인을 살펴보면, 연륜은 섭이량, 산란 및 월동에 의한 기호로서 어류의 생활주기인 계절변동과 깊은 관계가 있다(전중, 1985). 이석의 구조는 탄산칼슘(CaCo3)의 결정체와 유기물질로 구성되어 있는데 경골어류에서 탄산칼슘의 결정체는 aragonite이고, 유기물질은 otolin이라 불리는 단백질이다. (중략)

  • PDF